읽기장애와 다른 장애의 관련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관

2.읽기장애와 쓰기장애

3.읽기장애와 ADHD

4.읽기장애와 수학장애

본문내용

적 사실 재생의 결함은 언어적 결함과 함께 발생하는 반면 수 정보에 대한 공간적 표상의 결함은 언어적 결함과 함께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절차적 결함과 언어적 기능간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는데 Anderson(1982)은 언어적 기능이 수학 철자의 초기학습을 중재하지만 연습이 거듭될수록 절차는 분리된기억체계에 표상되므로 기능적으로 언어적 기능과는 분리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4) 읽기 및 수학 장애의 공존성
Share 등(1988)은 수학에서 낮은 성취도를 나타내는 아동은 낮은 읽기 성취도를 가져오게 한 언어 관련 결함 때문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Rourke와 Strang(1983)은 읽기 및 수학 장애를 가진 아동은 일반적인 언어와 구어장애로 인해 산술표와 문제해결 단계를 기억하는데 어려움을 가진다고 제안하였다. Lerner(1989)는 읽기 및 수학의 공존 결함을 설명할 수 있는 대안적 가정으로 구어적 단기 및 장기기억 재생에 있어서의 전반적인 결함을 포함하였다.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연구들은 비록 학습장애 아동이 흔히 읽기 및 수학의 공존결함을 경험하는 것으로 지적하고 있지만 관찰된 공존결함의 본질은 잘 이해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장애아동의 읽기 및 수학결함 간의 관찰된 공존성에 관한 중요한 쟁점을 언급한다. 즉, 공존된 읽기 및 수학결함이 독립된 장애인지 혹은 공유된 원인이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공존된 읽기 및 수학결함은 부분적으로 읽기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소에 의한 것일 수도 있으며 또한 환경적 영향에 의해 올 수도 있다고 본다.
학습장애 아동 중 대대수가 읽기장애를 경험하고 있지만 읽기장애와 수학장애를 동시에 갖고 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먼저 읽기와 수학기능의 획득에서 볼 때, 두 가지 기능의 획득은 서로 비슷한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초기의 기초적인 과정전략으로부터 점차 자동적 재생단계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이 같은 기능 획득에 있어서 정상아동과 차이가 나는 것이 지체로 인한 것인지 근본적인 결함 때문인지는 상당히 논란되는 쟁점이다. 학습장애는 분명 이질적인 집단이다. 읽기장애, 수학 장애 혹은 읽기 및 수학 장애를 동시에 갖고 있든 간에 우선 아동이 갖고 있는 어떤 장애에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공존결함의 경우 상호 공통적인 요인을 갖고 있을 수도 있으며 상관요인이 서로 관련될 수 도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4.09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4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