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읽기 능력향상을 위한 일대일 개인교수프로그램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미국에서 현재 이 프로그램은 학업성휘가 낮은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알파벳에 대한 학습, 책 읽기, 글 쓰기 등의 활동을 통해 일기 관련 능력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Successful for All 프로그램은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의 “불우학생을 위한 성공적 학교교육 연구소”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학교 학습에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정규수업에서 다루어지는 읽기 교재를 중심으로 일대일, 소집단 수업을 별도로 실시하며,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학습활동이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7.학습장애 학생들을 위한 구체적학습전략 프로그램
학습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서는 Palinscar & Brown(1984)의 호혜적교수법(reciprocal teaching), Ashman & Conway(1989)의 과정중심교수법(process-based instruction), Deshler et al.(1996)의 전략중재모형(strategies intervention model), 그리고, Ellis(1993a,1993b)의 통합전략 교수법(integrative strategy instruction)에대해 살펴보자.
1)호혜적 교수법
호혜적 교수법은(reciprocal teaching)은 구조화된 토론중심 학습활동을 통해 학습과제의 내용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Palinscar & Brown,1984). 이교수법은 네 가지 읽기 이해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2)과정중심교수법
과정중심교수법(process-based instruction)은 임상적 상황이나 특수학급에서 사용되는 학습전략 프로그램을 일반 학급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학급 통합모형(classroom integrated model)이다(Ashman & Conway,1989). 과정중심교수법은 전략계획(plan),부호화전략(coding strategy),협동적 교수-학습활동(cooperative learning and teaching),교과내용(curriculum content)을 프로그램의 구성요인으로 포함하고 있다.
3)전략중재형모형
전략중재모형(strategies intervention model)은 주로 중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습장애 학생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이모형에는 읽기,수학,내용교과,시험준비,노트필기,시간관리와 같은 전반적인 학습활동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구체적 학습전략을 포함하고 있다.
4)통합전략 교수법
통학전략 교수법(integrative strategy instruction)은 네 단계로 구성되는데, 첫 단계는 학습내용에 대한 소개(orientation), 두 번째 단계는 구조화(framing)단계, 세 번째 단계는 적용(application),네 번째 단계는 확장(extending)으로 되어 있다.
8. 학습활동별 학습전략에 대한 소개
학습 장애 학생들은 읽기 , 쓰기, 계산하기와 같은 기본 학습활동에서 일반 학생들에 비해 낮은 학업성취를 나타내 보이며, 이러한 낮은 학업성취는 부분적으로 비효율적인 학습전략 사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장애 학생들의 학업성취향상과 가자기 조정학습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전략을 학습활동에 적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1)읽기학습활동을 돕기 위한 학습전략
읽기활동은 크게 문자인식과 읽기이해의 두 영역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는데, 그에 따른 전략으로는 읽기 학습활동에는 문맥분석(context analysis)전략과 사전읽기 전략(text perusal strategy)이 있다. 먼저 문맥분석은 문자인식과 관련하여 글을 읽는 동안 의미를 모르는 낯선 단어를 만났을 때 학습장애 학생들이 적용할 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는 전략이다. 다음으로 사전읽기전략은 읽기활동을 수행하는 개인 자신의 목적이 무엇인지 결정하기, 전체 제목이나 장·절 제목, 그림, 표 등을 이용해 전체적인 내용 분석하기, 글의 서론이나 요약부분을 중심으로 전체 개요 파악하기,글내용에 대한 질문 만들기, 다른 단원이나 이전 학습내용과 관련성파악을 하기 등의 활동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읽기 활동을 진행하는 동안 전체적인 글의 내용이해를 돕기 위해 글의 구조를 반영하는 그래픽 자료를 이용하는 것 은 생각해 볼 수 있다.
2)쓰기학습 활동을 돕기 위한 학습전략
학습장애학생들의 글쓰기 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학습전략으로서 많이 언급되는 것이 DEFENDS 글쓰기 전략이다(Deshler,Ellis,&Lenz,1996). 이 글쓰기 학습전략은 글쓰기의 준비, 글의 전체적 구성, 쓰기활동의 전개, 글에 대한 교정활동으로 구성된다. 이 글쓰기 전략에 포함되어 있는 단계별활동은 7단계로 이루어 져있는데, 1단계로는 글쓰기의 목표와 주제를 결정하기, 2단계는 주요아이디어와 세부적 사실들을 생각하기,3단계는 주요아이디어와 세부적 사실들의 순서를 결정하기,4단계는 첫 문장에 글의 주제를 분명하게 표현하기,5단계는 각각의 주요 아이디어와 이를 뒷받침하는 사실들을 기술하기,6단계는 전체적인 글의 주제글 마지막 문장에 다시 한번 진술하기, 7단계는 쓴 읽으면서 잘못된곳을 교정하기로 이루어 져있다.
3) 수학학습활동을 돕기 위한 학습 전략
학습장애 학생들의 수학관련기능을 향상 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학습전략 프로그램으로는 단순계산을 돕기 위한 학습전략 , 자릿값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학습전략, 그리고 문장제 수학문제 해결을 돕기 위한 단계적 계열화 전략(graduated word-problem sequence)을 들 수 있다.
참고 문헌
김동일,이대식,신종호 공저.2003.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교육.학지사
김용욱.. 편저.2002.학습장애아교육의 이론과 실제.대국대학교 출판부
김승국.1997.학습장애아동교육의 이론과 실제.교육과학사
마지막으로 Successful for All 프로그램은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의 “불우학생을 위한 성공적 학교교육 연구소”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학교 학습에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정규수업에서 다루어지는 읽기 교재를 중심으로 일대일, 소집단 수업을 별도로 실시하며,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학습활동이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7.학습장애 학생들을 위한 구체적학습전략 프로그램
학습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서는 Palinscar & Brown(1984)의 호혜적교수법(reciprocal teaching), Ashman & Conway(1989)의 과정중심교수법(process-based instruction), Deshler et al.(1996)의 전략중재모형(strategies intervention model), 그리고, Ellis(1993a,1993b)의 통합전략 교수법(integrative strategy instruction)에대해 살펴보자.
1)호혜적 교수법
호혜적 교수법은(reciprocal teaching)은 구조화된 토론중심 학습활동을 통해 학습과제의 내용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Palinscar & Brown,1984). 이교수법은 네 가지 읽기 이해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2)과정중심교수법
과정중심교수법(process-based instruction)은 임상적 상황이나 특수학급에서 사용되는 학습전략 프로그램을 일반 학급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학급 통합모형(classroom integrated model)이다(Ashman & Conway,1989). 과정중심교수법은 전략계획(plan),부호화전략(coding strategy),협동적 교수-학습활동(cooperative learning and teaching),교과내용(curriculum content)을 프로그램의 구성요인으로 포함하고 있다.
3)전략중재형모형
전략중재모형(strategies intervention model)은 주로 중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습장애 학생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이모형에는 읽기,수학,내용교과,시험준비,노트필기,시간관리와 같은 전반적인 학습활동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구체적 학습전략을 포함하고 있다.
4)통합전략 교수법
통학전략 교수법(integrative strategy instruction)은 네 단계로 구성되는데, 첫 단계는 학습내용에 대한 소개(orientation), 두 번째 단계는 구조화(framing)단계, 세 번째 단계는 적용(application),네 번째 단계는 확장(extending)으로 되어 있다.
8. 학습활동별 학습전략에 대한 소개
학습 장애 학생들은 읽기 , 쓰기, 계산하기와 같은 기본 학습활동에서 일반 학생들에 비해 낮은 학업성취를 나타내 보이며, 이러한 낮은 학업성취는 부분적으로 비효율적인 학습전략 사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장애 학생들의 학업성취향상과 가자기 조정학습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전략을 학습활동에 적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1)읽기학습활동을 돕기 위한 학습전략
읽기활동은 크게 문자인식과 읽기이해의 두 영역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는데, 그에 따른 전략으로는 읽기 학습활동에는 문맥분석(context analysis)전략과 사전읽기 전략(text perusal strategy)이 있다. 먼저 문맥분석은 문자인식과 관련하여 글을 읽는 동안 의미를 모르는 낯선 단어를 만났을 때 학습장애 학생들이 적용할 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는 전략이다. 다음으로 사전읽기전략은 읽기활동을 수행하는 개인 자신의 목적이 무엇인지 결정하기, 전체 제목이나 장·절 제목, 그림, 표 등을 이용해 전체적인 내용 분석하기, 글의 서론이나 요약부분을 중심으로 전체 개요 파악하기,글내용에 대한 질문 만들기, 다른 단원이나 이전 학습내용과 관련성파악을 하기 등의 활동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읽기 활동을 진행하는 동안 전체적인 글의 내용이해를 돕기 위해 글의 구조를 반영하는 그래픽 자료를 이용하는 것 은 생각해 볼 수 있다.
2)쓰기학습 활동을 돕기 위한 학습전략
학습장애학생들의 글쓰기 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학습전략으로서 많이 언급되는 것이 DEFENDS 글쓰기 전략이다(Deshler,Ellis,&Lenz,1996). 이 글쓰기 학습전략은 글쓰기의 준비, 글의 전체적 구성, 쓰기활동의 전개, 글에 대한 교정활동으로 구성된다. 이 글쓰기 전략에 포함되어 있는 단계별활동은 7단계로 이루어 져있는데, 1단계로는 글쓰기의 목표와 주제를 결정하기, 2단계는 주요아이디어와 세부적 사실들을 생각하기,3단계는 주요아이디어와 세부적 사실들의 순서를 결정하기,4단계는 첫 문장에 글의 주제를 분명하게 표현하기,5단계는 각각의 주요 아이디어와 이를 뒷받침하는 사실들을 기술하기,6단계는 전체적인 글의 주제글 마지막 문장에 다시 한번 진술하기, 7단계는 쓴 읽으면서 잘못된곳을 교정하기로 이루어 져있다.
3) 수학학습활동을 돕기 위한 학습 전략
학습장애 학생들의 수학관련기능을 향상 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학습전략 프로그램으로는 단순계산을 돕기 위한 학습전략 , 자릿값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학습전략, 그리고 문장제 수학문제 해결을 돕기 위한 단계적 계열화 전략(graduated word-problem sequence)을 들 수 있다.
참고 문헌
김동일,이대식,신종호 공저.2003.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교육.학지사
김용욱.. 편저.2002.학습장애아교육의 이론과 실제.대국대학교 출판부
김승국.1997.학습장애아동교육의 이론과 실제.교육과학사
키워드
추천자료
학습장애아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 및 요약과 함께 학습장애아를 가르치기 위한 연구자료입니다
학습장애와 언어장애의 특성및 지도법
장애아동학습계획안.장애아동교육지도안,종이로 만들어진 물체 알아보기 교수학습과정안
[사회적 책임][교회 사회적 책임][민영방송 사회적 책임][학습장애아 사회적 책임][광고][기...
의사소통장애와_학습장애
학습장애_학생들을_위한_학습전략_개발하기
장애개념의 정의와 우리나라 장애개념의 변천 과정을 설명하고, TV나 영화 등 매스컴에서 비...
아동의 발달장애 유형 (정신지체, 학습장애, 의사소통장애).ppt
[학습장애평가방법] 학습장애의 진단 평가
★ 청소년상담심리 - 학습장애 치료방법 ( 난독증에 대한 맞춤법 기술, 미술을 통한 수학학습,...
[이상심리학] 아동기 · 청소년기 장애의 치료 - 행동수정(행동형성, 행동연쇄, 소거, 고립, ...
학습장애 아동의 특징 및 지도(치료)방법, 잠재적 학습장애 아동의 행동특징
학습장애의 정의와 진단 및 특성, 학습장애 원인과 치료방법
아동기 발달장애의 기질적 요인(학습장애,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실행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