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처음하는 말
2. 금강경의 반야사상에 대한 소고
3. 금강경에서 말하는 반야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
4. 육근을 통해 본 반야사상
5. 마무리하는 말
2. 금강경의 반야사상에 대한 소고
3. 금강경에서 말하는 반야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
4. 육근을 통해 본 반야사상
5. 마무리하는 말
본문내용
한 것임을 느끼고 또한 꿈속의 일들에 대해선 미련을 가지지 않는다.
꿈속에선 무엇이든 가져올 수 없고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꿈은 잠자면서 꾸는 것이 아니라 우리 중생의 삶이 곧 꿈인 것이다.
망상과 번뇌로 만든 꿈인 것이다. 이제 우리는 그 꿈에서 깨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금강경을 통해서 다시 만나게 되는 반야사상을 어떻게 중생계에 회향하고 사는가?
또한 현재 우둔한 나의 삶을 금강경의 단 한구절로 인하여 바꿔갈 수도 있는 것이다.
철저한 空性과 般若를 터득하면서 나와 남이 둘이 아닌 不二의 실천방안에 대한 연구와 구체적 행위가 가장 절실하다고 생각하며 이번 과제는 본인부터 그러한 의지와 사명감에 대한 신심을 북돋는 계기로 삼는다.
▶ 참고자료
각묵스님 저 『금강경역해』불광출판부, 2001 서울
이시다미즈마로이원섭 옮김 『반야유마경의 지혜』현암사, 1976 서울
남회근 지음신원봉 옮김 『금강경강의』문예출판사, 1999 서울
정대관 지음 『나와너 우리가 없다.』을지출판공사, 1994 서울
이현주 『이 아무개목사의 금강경 읽기』호미, 2001,서울
법정스님 서문김용옥 지음 『금강경강해』통나무, 1999 서울
석진오 지음 『금강경에세이』시학사, 2000 서울
이제열 지음 『금강경대강좌』여시아문, 1996 서울
고은 지음 『내가 가는 금강경』불지사, 1993 서울
오쇼라즈니쉬 강의손민규 옮김 『금강경』태일출판사, 1995 서울
이기영 번역해설 『반야심경금강경』한국불교연구원, 1978 서울
심가정 지음임우재 옮김 『금강경의 연구』미주현대불교, 2000
무비스님 『금강경 강의』불광출판부, 1994 서울
꿈속에선 무엇이든 가져올 수 없고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꿈은 잠자면서 꾸는 것이 아니라 우리 중생의 삶이 곧 꿈인 것이다.
망상과 번뇌로 만든 꿈인 것이다. 이제 우리는 그 꿈에서 깨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금강경을 통해서 다시 만나게 되는 반야사상을 어떻게 중생계에 회향하고 사는가?
또한 현재 우둔한 나의 삶을 금강경의 단 한구절로 인하여 바꿔갈 수도 있는 것이다.
철저한 空性과 般若를 터득하면서 나와 남이 둘이 아닌 不二의 실천방안에 대한 연구와 구체적 행위가 가장 절실하다고 생각하며 이번 과제는 본인부터 그러한 의지와 사명감에 대한 신심을 북돋는 계기로 삼는다.
▶ 참고자료
각묵스님 저 『금강경역해』불광출판부, 2001 서울
이시다미즈마로이원섭 옮김 『반야유마경의 지혜』현암사, 1976 서울
남회근 지음신원봉 옮김 『금강경강의』문예출판사, 1999 서울
정대관 지음 『나와너 우리가 없다.』을지출판공사, 1994 서울
이현주 『이 아무개목사의 금강경 읽기』호미, 2001,서울
법정스님 서문김용옥 지음 『금강경강해』통나무, 1999 서울
석진오 지음 『금강경에세이』시학사, 2000 서울
이제열 지음 『금강경대강좌』여시아문, 1996 서울
고은 지음 『내가 가는 금강경』불지사, 1993 서울
오쇼라즈니쉬 강의손민규 옮김 『금강경』태일출판사, 1995 서울
이기영 번역해설 『반야심경금강경』한국불교연구원, 1978 서울
심가정 지음임우재 옮김 『금강경의 연구』미주현대불교, 2000
무비스님 『금강경 강의』불광출판부, 1994 서울
추천자료
신회의 선사상에 나타난 반야에 관한 고찰
금강경 소고-공사상을 중심으로-
금 강 경 (金 剛 經),전파지와 번역
금강경경해
[반야심경][반야심경의 배경][반야심경의 구조][반야심경의 원문][반야심경의 사상][반야심경...
[불교학과] 대승불교 사상사 중간고사 예상문제
신라 원효, 설총, 최치원의 교육사상, 고려 최충과 안향의 교육사상, 고려 이색과 정몽주의 ...
[장자][장자 道(도)개념][장자 예술관][비유][노자][노자 사상][노자 도덕경]장자의 일생, 장...
대승불교의 철학(보상사상, 반야사상, 유식사상, 중관사상, 이제설, 아뢰야식, 여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