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와 의상 비교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장성이 있다 하여도 재앙을 면하지 못할 것입니다. -삼국유사
☞ 문무왕이 거대한 성곽을 쌓고자 하자 왕에게 위 글을 보내 만류함.
- “그는 실천을 귀하게 여겨 강의를 하는 일 외에는 수련을 부지런히 하였다.”
- 의상은 676년(문무왕 16년) 부석사를 창건하여 화엄의 종종지를 편 이래 오늘까지 화엄종의 종조로 숭앙받고 있는데, 그는 원효와는 달리 조직 체계를 갖추고 체계적으로 화엄 사상을 폈다.
- 의상은 화엄종을 폄으로써 통일 신라의 정신적 토대를 제공하고 호국 불교의 기틀을 세웠다. 또 원효와는 달리 저술보다는 화엄 사상을 심는 일, 제자를 길러 내는 일, 사찰을 세우는 일 등 불교의 기초를 닦는 데 힘썼다. 그리하여 그는 원효와 더불어 한국 불교의 가장 우뚝한 봉우리가 되었다. 의상은 노후에 원효와 함께 강원도를 돌며 조용한 산사를 물색하던 중 동해 용왕에게 여의주를 받았다고 하며 관세음보살이 나타나 일러준 장소에 낙산사를 지었다고 하는데, 이 설화를 통하여 신라가 원래 불국토였다는 사상을 확인하게 된다. 의상은 이러한 사상을 정교한 논리로 체계화하여 모든 것은 하나로 통일되고 이 현실이 부처의 이상이 실현되는 불국토라는 사상으로 정립하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4.19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1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