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원반 던지기
Ⅱ. 창 던지기
Ⅲ. 포환던지기
Ⅳ. 해머 던지기
Ⅱ. 창 던지기
Ⅲ. 포환던지기
Ⅳ. 해머 던지기
본문내용
5㎜
두부의 직경
100∼120㎜
105∼125㎜
110∼130㎜
95∼110㎜
3. 두부 중심 (重心, Centre of gravity of head)
구체(球體)의 중심으로부터 6mm이내이어야 한다. 핸들과 손잡이를 제외한 두부는 수평으로 된 지름 12mm의 수평끝이 뾰족한 관구(管口)위에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그림 참조].
4. 해머던지기 그물장 (Hammer Cage)
가. 모든 해머던지기는 관중과 임원 및 선수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울타리나 그물장 안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본조에서 상술한 그물장은 투척장 주변의 관중과 경기장내에서 행해지는 타종목의 안전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조에서 제시한 규격이 적용되지 못할 경우, 특히 연습장에서는 훨씬 간단한 구조로도 충분하다. 본 연맹 또는 IAAF사무국에 요청하면 필요한 지도조언을 받을 수 있다.
나. 그물장은 초속 32m로 움직이는 중량 7.260kg의 해머 두부를 막아 낼 수 있도록 설계, 제작,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그물장은 해머가 그물장에 스치거나 튕겨서 선수에게 되돌아오거나, 그물장 너머로 날아가는 위험이 없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 규칙의 모든 요건에 합치되는 한은 어떠한 형태의 설계나 구조라도 무방하다.
다. 그물장은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면도로 보면 U자형을 갖추고 있다. 문구(門口)의 너비는 6m가 되어야 하고 투척서클의 중심부에서 전방으로 4.2m 떨어진 곳에 설치되어야 한다. 그물틀의 높이는 최소한 7m가 되어야 한다.
해머가 그물장의 이음부분이나 그물장 자체 또는 그물틀의 밑으로 뚫고 나가지 못하도록, 그물장의 설계와 구조에 충분한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주-IAAF〕서클 뒷쪽의 그물틀/매단 그물망의 설치방법은 그물망이 서클의 중심에서 최소 3.50m이상 떨어져 있으면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라. 너비 2m의 이동식 그물틀 2개가 그물장의 전방에 준비되어 해머를 던질때마다 이중 1개만을 활용한다. 이동식 그물틀의 높이는 9m이상이어야 한다.
[주1-IAAF] 왼쪽 그물틀은 오른손잡이 선수가 투척시 사용하고, 오른쪽 그물틀은 왼손잡이 선수 투척시 사용한다. 오른손 투척선수와 왼손 투척선수가 섞여 있을 때는 경기중에 그물틀을 좌우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만큼, 힘들이지 않고 최소한의 시간으로 그물틀을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주2-IAAF] 설계도에는 경기진행중에 설치하는 양쪽 그물틀의 위치를 예시하고 있다.
[주3-IAAF] 이동식 그물틀을 작동할 경우에는 설계도에 예시된 위치에 따라 정확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동식 그물틀은 경기중에 이동시킬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주4-IAAF] 이러한 이동식 그물틀의 구조와 작동은 그물장의 전반적인 설계에 따라 좌우되는데, 수평이나 수직축에 밀어넣거나 접어놓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쉽사리 떼어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요건은 이러한 이동식 그물틀이 해머의 충격을 충분히 막아낼 수 있고 또한 해머가 고정그물틀과 이동식 그물틀 사이를 뚫고 나갈 위험이 없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주5-IAAF] 현재의 그물장은 낙하구역의 각도가 40.일 경우 설계이다. 새로운 그물장의 설계는 낙하구역의 각도가 34.92.로 좁아진 것을 감안하여 그물장의 문구(門口)의 너비를 좁히거나, 또는 투척서클을 그물장쪽으로 더 뒤로 설치하고, 이동식 그물틀의 너비를 더 넓힐 수 있도록 개선하여야 한다.
[주6-IAAF] 전통적인 그물장의 설계와 비교하여 보호각도가 동일하고 위험범위가 더 넓어지지 않게 만든 개선된 설계는 IAAF와 KAF의 공인을 받을 수 있다.
라. 그물장의 그물망은 적절한 천연 또는 인조섬유줄이나, 아니면 부드럽거나 장력도(張力度)가 높은 강찰제 철사로 만들도록 한다. 그물코의 최대크기는 철사의 경우 50mm, 섬유줄인 경우 44mm이어야 한다. 줄이나 철사의 최소 굵기는 그물장의 구조에 따라 좌우되지만, 최소 300kg의 파괴강도를 견디어 낼 수 있어야 한다. 그물장의 지속적인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철사 그물망은 최소한 12개월마다 점검하여야 한다. 섬유줄로 만든 그물망은 육안으로 점검해서는 불충분하다. 그 대신 제작자가 기준이 되는 몇가닥의 ‘검사용’ 줄을 그물망에 덧붙여 짜넣은 다음 12개월마다 한가닥씩 뽑아서 검사하여 그물망의 강도를 확인하여야 한다.
마. 같은 그물장을 원반던지기에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2가지 방법중 하나를 선택해서 그에 필요한 설비를 갖춘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지름 2.135m/2.5m의 동심원의 서클을 설치하여 각각 해머던지기와 원반던지기용 서클로 활용하는 것이다.
해머 그물장의 문(이동식 그물틀)은 문의 앞쪽 가장자리를 낙하구역 표시라인의 위에 설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해머던지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원반던지기에도 사용하여야 한다. 동일한 그물틀안에 해머던지기와 원반던지기 서클을 별도로 설치할 경우에는 낙하구역의 중심선상에 두 서클을 설치하되, 해머던지기 서클을 앞에 설치하고 그 서클의 중심점으로부터 원반던지기 서클의 중심점이 2.37m 떨어지게 설치한다. 이때 그물장 후방의 형태는 최소 8개이상의 고정 그물틀 또는 매단 그물장을 확대해서 설치하고 다시 너비 2m의 이동식 그물틀을 2개 준비하여야 한다. 해머던지기 전용 그물장보다 약간 확대된 이 그물장은 고정그물틀(7m)이나 이동식 그물틀(9m)이나 다같이, 그물장의 최소 높이는 표준그물장의 높이와 똑같아야 한다.
[주-IAAF] 서클 뒤쪽의 그물틀/매단 그물망의 설치방법은 해머던지기와 원반던지기의 서클을 별도로 설치할 경우에는 그물망이 동심원 서클의 중심에서 해머서클은 최소 3.50m이상, 원반 서클은 최소 3.00m이상 떨어져 있으면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규칙 제192조 4항 (v), (vi) 참조).
바. 이 그물장에서의 해머던지기에서 동일경기대회에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 선수가 다 참가할 경우 최대위험각도는 약 85 이다. 따라서 경기장내의 그물장 설치위치와 배열은 안전확보를 위하여 충분한 배려가 필요하다.
해머던지기 그물장
두부의 직경
100∼120㎜
105∼125㎜
110∼130㎜
95∼110㎜
3. 두부 중심 (重心, Centre of gravity of head)
구체(球體)의 중심으로부터 6mm이내이어야 한다. 핸들과 손잡이를 제외한 두부는 수평으로 된 지름 12mm의 수평끝이 뾰족한 관구(管口)위에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그림 참조].
4. 해머던지기 그물장 (Hammer Cage)
가. 모든 해머던지기는 관중과 임원 및 선수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울타리나 그물장 안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본조에서 상술한 그물장은 투척장 주변의 관중과 경기장내에서 행해지는 타종목의 안전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조에서 제시한 규격이 적용되지 못할 경우, 특히 연습장에서는 훨씬 간단한 구조로도 충분하다. 본 연맹 또는 IAAF사무국에 요청하면 필요한 지도조언을 받을 수 있다.
나. 그물장은 초속 32m로 움직이는 중량 7.260kg의 해머 두부를 막아 낼 수 있도록 설계, 제작,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그물장은 해머가 그물장에 스치거나 튕겨서 선수에게 되돌아오거나, 그물장 너머로 날아가는 위험이 없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 규칙의 모든 요건에 합치되는 한은 어떠한 형태의 설계나 구조라도 무방하다.
다. 그물장은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면도로 보면 U자형을 갖추고 있다. 문구(門口)의 너비는 6m가 되어야 하고 투척서클의 중심부에서 전방으로 4.2m 떨어진 곳에 설치되어야 한다. 그물틀의 높이는 최소한 7m가 되어야 한다.
해머가 그물장의 이음부분이나 그물장 자체 또는 그물틀의 밑으로 뚫고 나가지 못하도록, 그물장의 설계와 구조에 충분한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주-IAAF〕서클 뒷쪽의 그물틀/매단 그물망의 설치방법은 그물망이 서클의 중심에서 최소 3.50m이상 떨어져 있으면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라. 너비 2m의 이동식 그물틀 2개가 그물장의 전방에 준비되어 해머를 던질때마다 이중 1개만을 활용한다. 이동식 그물틀의 높이는 9m이상이어야 한다.
[주1-IAAF] 왼쪽 그물틀은 오른손잡이 선수가 투척시 사용하고, 오른쪽 그물틀은 왼손잡이 선수 투척시 사용한다. 오른손 투척선수와 왼손 투척선수가 섞여 있을 때는 경기중에 그물틀을 좌우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만큼, 힘들이지 않고 최소한의 시간으로 그물틀을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주2-IAAF] 설계도에는 경기진행중에 설치하는 양쪽 그물틀의 위치를 예시하고 있다.
[주3-IAAF] 이동식 그물틀을 작동할 경우에는 설계도에 예시된 위치에 따라 정확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동식 그물틀은 경기중에 이동시킬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주4-IAAF] 이러한 이동식 그물틀의 구조와 작동은 그물장의 전반적인 설계에 따라 좌우되는데, 수평이나 수직축에 밀어넣거나 접어놓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쉽사리 떼어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요건은 이러한 이동식 그물틀이 해머의 충격을 충분히 막아낼 수 있고 또한 해머가 고정그물틀과 이동식 그물틀 사이를 뚫고 나갈 위험이 없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주5-IAAF] 현재의 그물장은 낙하구역의 각도가 40.일 경우 설계이다. 새로운 그물장의 설계는 낙하구역의 각도가 34.92.로 좁아진 것을 감안하여 그물장의 문구(門口)의 너비를 좁히거나, 또는 투척서클을 그물장쪽으로 더 뒤로 설치하고, 이동식 그물틀의 너비를 더 넓힐 수 있도록 개선하여야 한다.
[주6-IAAF] 전통적인 그물장의 설계와 비교하여 보호각도가 동일하고 위험범위가 더 넓어지지 않게 만든 개선된 설계는 IAAF와 KAF의 공인을 받을 수 있다.
라. 그물장의 그물망은 적절한 천연 또는 인조섬유줄이나, 아니면 부드럽거나 장력도(張力度)가 높은 강찰제 철사로 만들도록 한다. 그물코의 최대크기는 철사의 경우 50mm, 섬유줄인 경우 44mm이어야 한다. 줄이나 철사의 최소 굵기는 그물장의 구조에 따라 좌우되지만, 최소 300kg의 파괴강도를 견디어 낼 수 있어야 한다. 그물장의 지속적인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철사 그물망은 최소한 12개월마다 점검하여야 한다. 섬유줄로 만든 그물망은 육안으로 점검해서는 불충분하다. 그 대신 제작자가 기준이 되는 몇가닥의 ‘검사용’ 줄을 그물망에 덧붙여 짜넣은 다음 12개월마다 한가닥씩 뽑아서 검사하여 그물망의 강도를 확인하여야 한다.
마. 같은 그물장을 원반던지기에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2가지 방법중 하나를 선택해서 그에 필요한 설비를 갖춘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지름 2.135m/2.5m의 동심원의 서클을 설치하여 각각 해머던지기와 원반던지기용 서클로 활용하는 것이다.
해머 그물장의 문(이동식 그물틀)은 문의 앞쪽 가장자리를 낙하구역 표시라인의 위에 설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해머던지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원반던지기에도 사용하여야 한다. 동일한 그물틀안에 해머던지기와 원반던지기 서클을 별도로 설치할 경우에는 낙하구역의 중심선상에 두 서클을 설치하되, 해머던지기 서클을 앞에 설치하고 그 서클의 중심점으로부터 원반던지기 서클의 중심점이 2.37m 떨어지게 설치한다. 이때 그물장 후방의 형태는 최소 8개이상의 고정 그물틀 또는 매단 그물장을 확대해서 설치하고 다시 너비 2m의 이동식 그물틀을 2개 준비하여야 한다. 해머던지기 전용 그물장보다 약간 확대된 이 그물장은 고정그물틀(7m)이나 이동식 그물틀(9m)이나 다같이, 그물장의 최소 높이는 표준그물장의 높이와 똑같아야 한다.
[주-IAAF] 서클 뒤쪽의 그물틀/매단 그물망의 설치방법은 해머던지기와 원반던지기의 서클을 별도로 설치할 경우에는 그물망이 동심원 서클의 중심에서 해머서클은 최소 3.50m이상, 원반 서클은 최소 3.00m이상 떨어져 있으면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규칙 제192조 4항 (v), (vi) 참조).
바. 이 그물장에서의 해머던지기에서 동일경기대회에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 선수가 다 참가할 경우 최대위험각도는 약 85 이다. 따라서 경기장내의 그물장 설치위치와 배열은 안전확보를 위하여 충분한 배려가 필요하다.
해머던지기 그물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