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한 결단을 가로막는 고정관념 5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언

의사결정 속도를 늦추는 고정관념들

고정관념 1: 의사결정은 심사숙고 해야 한다

고정관념 2: 조직간 견제를 통해 리스크를 철저하게 통제해야 한다

고정관념 3: 현장의 업무권한을 확대해 주면 된다

고정관념 4: 의사결정에는 인간 관계가 개입되어서는 안된다

고정관념 5: 일사분란한 조직 체계가 필요하다

의사결정의 속도를 높이기 위한 조직 개선 포인트

본문내용

이다. 진정한 의미의 권한위임은 자유방임이 아니다. 현장에 권한을 위임하는 대신 회사가 추구하는 가치에 대해서는 엄격한 규율(Discipline)이 있어야 한다. 규율이 없으면 간부들이 현장 담당자의 결정에 대해서 오류를 지적할 때, 담당자들은 의사결정 결과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게 되고, 상급자에게 어떻게 해야 할 지 물어보게 될 것이다. 현장 담당자들과 엄격한 규율을 공유함과 동시에 일부 잘못된 결정으로 인한 손실은 감수하겠다는 경영자의 의지가 병행될 때 고객 대응 속도가 빠른 조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의사결정에 대한 역할과 책임 규정, 그리고 의사결정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등을 구축해야 한다. 판매 생산 계획처럼 여러 부문이 개입되어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경우 누가, 어떤 결정을 해야 할 지 명확한 역할이 정의되어야 한다. 역할이 모호하고 필요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의사결정자들은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책임을 미루게 될 수 밖에 없다.
P&G는 GE의 CEO인 제프 이멜트, 이베이(eBay)의 맥 휘트먼 등 걸출한 CEO를 배출하였다. 훌륭한 경영자를 육성하게 된 원동력으로 P&G의‘옵션 회의’제도를 꼽을 수 있다. ‘옵션 회의’에 참여한 사람들은 “이 사업의 전략은 어떠한가?”, “3가지 전략 대안을 설명하고, 가장 바람직한 대안을 선택한 이유를 제시하시오.”등의 복잡한 의사결정 옵션에 대해 30초 안에 결단을 내리고 답변해야만 한다. 이제 우리 기업도 의사결정의 오류를 최소화하면서 신속한 결단을 내릴 수 있는 세계적인 인재를 길러내는 튼실한 체계를 구축해야 할 때가 되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5.02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67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