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불평등 문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평등이념에 관한 세가지 관점
(1)기회의 평등
(2)결과의 평등
(3) 조건의 평등

2.한국의 불평등 구조

3.학력과 소득의 불평등

4.성과 직업에 의한 불평등

※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점차 여성이 능력을 인정받고 전문 경영자로 승진 될 수있는 기회가 확대되어 가느 추세이긴 하지만 , 앞에서 예시한 리크루트사의 조사에서도 알수있듯이, 전문직 여성의 자리는 아직도 능력보다는 가족,가문,혈연 드의 귀속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2001년 통계청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00년 현재 중학교 졸업 이하 남성의 월평균 임금은 121만원인데 비하여 여성의 임금은 75만원이다. 고등학교 졸업자의 남성임금은 132만원인데 여성의 임금은 88만원 이다. 마찬가지로 전문대 졸업생의 남성임금이 137만원인데 비해 여성의 임금은 98만원 밖에 되지 않는다.
물론, 남녀간의 직종 성격이 다르긴 하지만 비슷한 노동조건으로 보더라도 여성이 임금이 낮은 경향이 있다. 최근에는 비정규직의 확대로 정규직 직원과의 임금격차문제가 심각히 대두되고 있다. '동일노동 동일임금'이라는 상식적인 기준을 넘어서서 동일한 노동을 동일한 시간에 하더라도 정규직과 비정규직이라는 차이 때문에 크게는 임금이 배나 차이가 난다.
비정규직의 불평등 문제는 이제까지의 불평등문제보다 어쩌면 더 심각하게 우리사회가 겪어야 될 문제일지도 모른다. 선진국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처우와 임금이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고 한다. 한국도 점차 이 비정규직 문제를 개선해서 모든 사회구성원들이 평등한 사회생활을 할수 있도록 힘써 나가야 할것이다.
참고문헌
1.신광영. 1997. 『한국의 계급과 사회불평등』. 한완상 편.『한국사회학』. 민음사.
2.김대환. 1989. 『경제 발전론』.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5.01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70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