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녹차의 효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품]녹차의 효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Ⅰ. 녹차의 분류
1) 건조방법에 따른 분류
2) 발효 정도에 따른 분류
3) 제조 방법에 따른 분류
4) 찻잎 채취시기와 품질에 의한 분류
5) 색상에 따른 분류
6) 차의 이름
Ⅱ. 녹차의 화학 성분
1. 특수 성분
① Tannin (polyphenol, catechins의 기능)
② Caffeine의 기능
③ Vitamin
2. 휘발성 향기성분과 색소
① 차의 향과 향기성분의 특징
② 향기 성분의 생성
③ 향기를 좌우하는 조건
④ 향기의 좋고 나쁨과 화학성분
3. Polyphenols
4. Alkaloidv
Ⅲ. 조건에 따른 차의 성분 변화
1. 채엽시기에 따른 화학성분의 차이
2. 온도 변화에 따른 녹차의 vitamin C 추출량
1) 일반성분
2) 무기성분
3) Tannin과 Caffeine
4) Vitamin C
5) 색도변화
6) 최대흡수파장 및 흡광도 변화
7) 관능검사

Ⅲ.녹차의 생리 활성과 관련 실험
1. 녹차의 생리 활성
1) 항산화효과
2) 항 돌연변이 효과
3) 항암효과
4) 기타 생리 활성 효과
2. 녹차 효과 증명 실험
1) 녹차의 혈관형성 차단 물질
2) 피부암 예방
3) 항암 효과
4) 위염 예방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건강한 세포와 암세포 모두에 존재하는 NOX는 건강한 세포의 경우 성장호르몬의 신호를 받을 때만 생성되지만, 암세포는 항상 이 효소(tNOX)를 만들어 비정상적으로 성장하게 한다. 도로시 모어라이교수는 “녹차의 EGCg가 tNOX 활동을 억제시켜 암세포가 생존할 수 있을 만큼 성장하지 못해 저절로 죽게 만드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홍차는 농도를 1백분의1 정도로 했을 때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가 있었으나, 녹차는 1천분의1∼1만분의1로 희석해도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홍차보다 녹차에 암세포 억제성분이 많다는 것으로, 찻잎을 발효시키는 홍차와 발효시키지 않는 녹차의 제조법 차이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3.결론
1) 논문 요약
녹차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녹차의 특수 성분들과 녹차가 인체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과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밝혀내기 위한 다양한 실험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녹차의 다양한 건강 관련 성분들과 각각의 성분들의 식품학적인 특성, 효능 등을 살펴볼 수 있었고, 과연 녹차가 건강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녹차의 탄닌, polyphenol, caffeine, vitamin 등의 특수 성분들과 채엽 시기, 온도 변화 등에 따른 성분 변화, 녹차의 항산화 효과, 항돌연변이 효과, 항암 효과, 위염 예방 효과 등을 다룸으로써 상당량의 녹차 관련 지식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차의 특수 성분을 과학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차의 각각의 성분들과 관련된 건강효과를 연관시켜서 객관적으로 얼마나 건강에 좋은가를 밝혀낼 수 있는 바탕이 되기 때문에 매우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현대인들에게 차가 각광받는 기호 음료로 발전해 온 가장 큰 원동력은 차가 갖는 화학성분의 특이성과 이로 인한 건강상의 뛰어난 효과들 때문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제언
그러나 우리가 주위에서 손쉽게 살펴볼 수 있는 녹차 관련 자료들은 우리나라나 미국, 일본 등과 같은 선진국의 연구 자료들이 대부분이다. 차는 커피, 초콜렛과 함께 세계 3대 기호식품이며, 현재 약 160개국에서 즐기고 있으므로 차는 선진국들 외에도 전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식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와 가까운 선진국 몇 나라의 연구 자료만을 접하다 보니 다른 나라들에서는 어떠한 연구결과를 얻었고, 어떠한 연구들이 진행되며, 어떠한 분야에서 녹차의 효능이 인정받는지 궁금했다. 앞으로 지금까지 우리나라와 교류가 적었던 나라들의 연구 자료들과 민간 요법 등에 대해서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새로운 연구 아이디어나 상품화 노하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녹차가 오랜 세월 동안 인류 역사와 함께 하였기 때문에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것 외에도 많은 민족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녹차를 민간 요법에 활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녹차가 대중적인 음료로 확산되게 된 것은 녹차를 편하게 접할 수 있도록 상품의 유형이 바뀌었기 때문이라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미국의 한 차 가게에서 면직물에 찻잎을 넣어 사용했는데 이것이 현재 편리함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회용 tea-bag의 시초이다. 지금의 녹차 열풍에는 소포장의 티백이 가져다주는 편리성도 크게 기여하였다. 따라서 일상생활 속에서 녹차를 편리하게 접하도록 하기 위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3) 마무리
녹차를 보다 널리 보급하기 위해서는 차의 효과를 더욱 다양하게 연구해야 한다. 식품과학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경험에 의한 식재료에 대한 평가에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임상 데이터로까지 입증하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현대인들은 물 한 잔을 마시더라도 기능성을 생각하므로 녹차의 효능이 과학적으로 검증될 때 더욱 사랑받을 것이다. 녹차와 관련된 연구 결과들은 현대인들에게 녹차를 꾸준하게 마시도록 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다. 녹차는 단순한 먹거리나 음료 차원에서 녹차를 생각하기보다는 보다 나은 인간의 삶을 만들어나가는데 있어 소중한 자원으로 여겨져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1) 신미경 : 한국산 야생녹차의 품질에 관한 종합적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2) 이미경, 이성우, 김성수, 이상효, 오상룡 : 침출조건에 따른 녹차의 성분 함량변화. 한국식문 화학회지. 4(4), (1989)
3) 은종방, 이종욱, 김동연 : 한국 야생차의 성분에 관한 연구. 제1보 전질소, 회분, 가용분, 탄닌, caffeine 및 vitamin C에 관하여. 한국농화학회지. 28(3), (1985)
4) 정재기, 유춘희, 정태영, 나상무 : 한국산 녹차에 대한 연구(제2보). Free amino acid와 무기 성분에 대하여. 한국영양학회지. 6(3), (1973)
5) 김권 : 차엽의 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9(1), (1977)
6) 김동영, 정지흔, 김권, 이종옥, 박근형 :한국산 차엽의 특수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22(2), (1979)
7) 김창목, 최진호, 오성기 : 차 제조 중의 주요성분의 화학적 변화.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 2(2), (1983)
8) 신미경, 이성우 : 한국산 야생녹차의 데오브로민 및 caffeine 조성. 한국차문화학회지. 1(2), (1986)
9) 신미경, 이성우 : 침출조건에 따른 녹차의 L-Ascorbic acid 용출량에 관한 연구. 한 국식품과학회지. 12(1), (1983)
10) 신미경, 남창우 : 녹차중의 L-Ascorbic acid의 정량법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 지. 11(2), (1979)
11) 이순재, 김미지, 윤연희 : 한국산 녹차, 우롱차 및 홍차 원료의 중금속 제거 및 해독 작용, 식품과학과 산업, 28 (4), 17∼32 (1995)
12) Graham, Harold N. : Green tea composition, consumption, and polyphenol chemistry, preventive medicine, 21, 334∼350 (1992)
13) Kim, Jong Tae : Science and culture of tea, 保林社 (1996)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6.05.12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83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