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요동공략과 대중국 외교에 대한 의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1. 요동 공략의 배경

2. 요동공략의 과정
1)대무신왕 대의 요동 공략과정
2)태조왕 대의 요동 공략 과정
3)미천왕-고국원왕 대의 서안평점령과 낙랑, 요동 정벌
4)소수림왕 이후의 요동 공략

3. 요동공략의 결과

4. 요동공략 시기의 대중외교의 그 의의

맺음말

본문내용

격적으로 외교관계를 전개하게 된다. 특히 영토확장과 실리 외교라는 능동적인 양면 정책을 통해 자주적인 성격을 갖게 된다.
공손씨의 요동 진출로 중단된 요동 공략은 미천왕이 서안평을 완전 공략하면서 박차를 가하게 된다. 또한 서안평의 공략은 기존의 한사군 세력들을 중국과 완전히 단절시킴으로서 고구려와 중국 세력간의 관계에도 많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후 고국원왕은 5호 시대로 넘어가면서 모용씨와 연을 견제하기 위해 후조, 동진에 사신을 파견하기도 했다. 하지만 연의 침입과 백제의 침입으로 고국원왕이 전사하면서 대외정책에도 수정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소수림왕의 문화정책으로 다시 국력을 회복하는 고구려는 고국양왕에 이르러 다시 요동으로 진출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이어 광개토왕이 들어서면서 철 산지인 요동의 이점을 십분 살려 고구려를 최대 전성기로 이끌게 된다.
고구려의 요동 공략은 당시의 불리한 상황에도 자주적이고 냉철한 국제 정세의 판단으로 중국의 분열의 혼란기를 잘 이용한 외교 정책의 한 본보기를 보여주고 있다. 지금이야말로 당시의 고구려인의 모습을 본 받아 빠르고 올바른 판단으로 급변하는 세계 정세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할 때가 아닌가?

키워드

  • 가격6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5.11
  • 저작시기200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89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