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서지_고려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헌의 편찬

2. 판본과 유통

3. 저자

4. 구성과 주요 내용

5. 가치

본문내용

를 보이기도 한다. 그렇지만 국왕과 관련된 용어들을 직서주의에 의해 그대로 적고 있으며, 예지에서는 천자의 의식인 원구(丘)·방택(方澤)을 길례대사(吉禮大祀)로서 제일 먼저 기록하였다. 그리고 전통문화를 이단으로 배척하지 않고 많이 수록하였다. 고려시대사에 대한 인식태도는 고려 말기의 정치사 서술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는데, 즉 조선의 건국을 합리화하려는 것이었다. 그리고 고려시대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때 고려 초기의 정치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무인집권기 이후에는 전기의 제도가 문란해지면서 멸망으로 이어졌다고 파악하였다.
이 책은 고려의 역사를 최초로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는다. 고려사는 집대성과 망라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데, 편찬에 참여한 사학자들이 유교주의에 젖어 있어 관념과잉(觀念過剩)에서 오는 냉정성을 잃은 대목들이 많으나, 이것은 조선 초기 문화에 대한 비판이 정립되지 못한 데서 온 하나의 과오일 뿐이다. 고려사가 이러한 결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자료가 모두 인멸된 오늘날에 와서는 기본 자료가 되고 있으며, 또한 시대를 전폭적으로 이해·정리하려 한 사관(史觀)은 <삼국사기(三國史記)> 등에 비할 바가 아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5.22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6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