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도교거집》과 《구선집》이 있으나 전하지 않는다. 지청천(池靑天)
김좌진(金佐鎭)
곽재우(郭再祐)
권 율 (權 慄)
김종서(金宗瑞)
양헌수(梁憲洙)
이순신(李舜臣)
전봉준(全琫準)
최윤덕(崔潤德)
강감찬(姜邯贊)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를 보이기도 한다. 그렇지만 국왕과 관련된 용어들을 직서주의에 의해 그대로 적고 있으며, 예지에서는 천자의 의식인 원구(丘)·방택(方澤)을 길례대사(吉禮大祀)로서 제일 먼저 기록하였다. 그리고 전통문화를 이단으로 배척하지 않고 많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종서(金宗瑞)
(6) 소춘풍(笑春風)
(7) 성종(成宗)
3) 발전기(16,17C)
(8) 송순(宋純)
(9) 이황(李滉)
(10) 이이(李珥)
(11) 조식(曺植)
(12) 이순신(李舜臣)
(13) 효종(孝宗)
(14) 정철(鄭澈)
(15) 정철(鄭澈)
(16) 정철(鄭澈)
(17) 윤선도(尹善道)
(18)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종서(金宗瑞)는 조선 초의 무신(武臣)으로서 세종(世宗) 때에 함경도의 육진(六鎭)을 개척하는 등 북벌 정책을 수행하면서 많은 공을 세운 인물이다.
이 작품에는 그의 무인(武人)다운 호방(豪放)한 기상(氣象)이 잘 나타나 있다. 이 작품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8.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