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의 동의보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동의보감이란 무엇인가.

2. 저자인 허준은 누구인가.

3. 동의보감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4. 동의보감의 구성.

5. 동의보감의 내용.

6. 동의보감에 대한 후대의 평가

7. 조선 전기의 의학과 동의보감, 조선 후기에 미친 영향력과 그 가치.

본문내용

되어졌다. 국내 의사들이 목말라하던 이론적 부분을 금원사대가의 이론을 삽입하 여 충족시켰으며, [의방류취]에서 문제로 지적된 분량의 방대함도 25권으로 일목요연하 게 정리함으로써 해결되었다. 중국에서 유래된 처방도 민족 체질에 맞도록 150여년간 축적된 경험을 집약시켜 수정하였다. 또한 유교, 불교, 도교에서 응용되던 의학 관련 내 용을 첨가 하였고 당시 유행하던 전염병의 치료와 예방법, 각종 응급처치법, 향약의 사 용법도 수록하였다. 따라서 당시의 의학 역량을 집대성한 의학 백과사전인 셈이다.
동의보감은 조선 후기의 의학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특히 다양한 의학 계파 형성에 기폭제 역할을 했는데, 이 계파는 오늘날까지 이어져오고 있는데 이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내경 학파’로 [황제내경]의 이론을 숭배하는 부류이다. 이 이론은 음양오행 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이론적으로는 동의보감보다 훨씬 더 논리적이고 치밀하다는 게 특징이다.
[동의보감]은 인간의 몸을 새로운 각도에서 재해석한 의학서이다. 여기에는 인간과 자연 환경 그리고 사회 구조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질병과 건강에 대한 문제를 풀어나가고 있 다. 그 25권 속에는 인간, 자연, 사회가 어우러져야 완전한 건강을 얻을 수 있다는 철학 적 해답이 담겨져 있다 하겠다. 정신과 육체를 분리시키고, 인간과 자연을 분리시키며, 사회와 자연을 별개의 존재로 취급하면서 파생되는 요즘 문제들의 해답을 여기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호, 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김주영, 허준의 동의보감 25권의 비밀.
-송효정, 알기쉬운 동의보감.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5.22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6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