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최인훈을 통해 본 작품 '광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작가 자신의 이미지가 투영된 인물, <광장>의 이명훈
2.유년시절 북한에서의 삶 : 낙동강 독후감
3.유년시절 북한에서의 삶 : 자아비판회

*이명준의 현실인식과 이상(理想)
1.남과 북의 현실
2.이명준의 이상(理想)
3.제3국행과 바다에 투신

*참고문헌 :

본문내용

개의 광장 모두에 대해서 환멸을 느끼며 제3국을 선택한다.
명준이 절망하는 것은, 대결하는 어느 한 이념 체제의 선택에 대한 주저로 말미암은 것이 아니라, 남과 북 어디에서도 명준의 실제화(實際化)를 가능케 하는 ‘개인과 공동체의 화해’를 보장해 줄 수 없다는 순수한 지적 딜레마에서 빚어진 것이다. 결국 명준은 절망하고 동굴이라는 원시의 공간에서 살아있음을 다짐하는 마지막 광장을 은혜와 함께 나눈다. 그리고는 중립국 인도로 가는 타고르 호에 마지막 몸을 맡긴다.
타고르 호에서 명준은 바다의 이미지를 통해 부활을 꿈꾼다. 앞에서 지적했듯이 명준의 갈등은 결코 끝낼 수 없는 것이고, 현실세계에서 구현할 수 없는 이상이기 때문에 그는 바다에 투신한다.
은혜와 그의 딸이 죽음을 통해 절대 자유와 평화로 재생되었듯이, 그는 부활의 공간인 바다에 뛰어들어 새롭게 소생하고자 하였다. 소설 말미에서 ‘그녀들이 마음껏 날아다니는 광장을 명준은 처음으로 알아본다.’는 구절을 볼 때, 이명준은 인도로 가는 배 위에서 진정한 광장을 발견한 듯 보인다. 그것은 정말로 사랑이라는 것이 무엇인가를 투철하게 깨달은 자기가 사랑한 여자와의 합일, 작가의 표현으로는 “무덤 속에서 몸을 푼 여자의 용기”에 해당하는 것이다. 작가는 이데올로기나 정치 체제 대신에 ‘사랑’을 선택한 것이다. 동굴에서 은혜와 나눈 대화 중 ‘공민은 삶을 사랑하는 의무를 진다’는 부분에서도 확인되듯이 은혜와의 사랑이, 명준을 이데올로기의 성벽에서 자유롭게 만들어 주었다. 결국 ‘사랑의 재확인’ 이라는 것이 작가가 보이고자했던 마지막이었던 것 같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 약간의 어색함을 느낀다. 자신의 이상향을 찾아 자유롭고자 했던 이명준에게서 사랑이라는 것이 어떻게 광장으로 가는 열쇠가 될 수 있을까 의문이 든다. 명준에게 중립국이란 어떤 의미이고, 또 명준이 결국에는 바다에 투신한 이유가 무엇인지는 좀 더 생각해 보아야할 문제인 것 같다.
*참고문헌 :
최인훈. <<광장>> 문학과 지성사.
최인훈. <<화두>> 문인재.
조갑상. 최인훈의 화두연구 - 낙동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2002
*목 차
1.작가 자신의 이미지가 투영된 인물, <광장>의 이명훈
2.유년시절 북한에서의 삶 : 낙동강 독후감
3.유년시절 북한에서의 삶 : 자아비판회
*이명준의 현실인식과 이상(理想)
1.남과 북의 현실
2.이명준의 이상(理想)
3.제3국행과 바다에 투신
*참고문헌 :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5.26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15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