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렇구나‘ 하고 책을 덮어버리고 말게 만든다.
무정은 참으로 정이 없는 글이다. 읽는 내내 번번이 끼어드는 동떨어진 얘기들과, 앞뒤가 석연치 않은 대목들이 난무하고 있다. 그래도 갈수록 기구해지는 영채의 삶이 궁금해서, 두 여자 사이에서 온통 고민만하고 있는 형식의 선택이 궁금해서 그 재미로 끝내 소설을 다 읽고야 말았다. 소설의 결말은 참으로 무정했다. 백미라 여겼던 형식의 선택은 뜻밖이지만 통속적이라 할만하고, 영채의 삶이건, 선형이의 삶이건, 우선이나, 병욱이나 모두가 뜻을 이루는 해피엔딩으로 치달리고만 있다. 안된 것은 오직 배학감뿐이다. 다정하게 영채의 손한번 잡아주지 않았던 형식더러 무정하다, 무정하다 한 소설이지만 오히려 끝까지 기대하며 읽은 마음을 저버리는 결말이 더욱 무정하다고 하겠다.
무정은 참으로 정이 없는 글이다. 읽는 내내 번번이 끼어드는 동떨어진 얘기들과, 앞뒤가 석연치 않은 대목들이 난무하고 있다. 그래도 갈수록 기구해지는 영채의 삶이 궁금해서, 두 여자 사이에서 온통 고민만하고 있는 형식의 선택이 궁금해서 그 재미로 끝내 소설을 다 읽고야 말았다. 소설의 결말은 참으로 무정했다. 백미라 여겼던 형식의 선택은 뜻밖이지만 통속적이라 할만하고, 영채의 삶이건, 선형이의 삶이건, 우선이나, 병욱이나 모두가 뜻을 이루는 해피엔딩으로 치달리고만 있다. 안된 것은 오직 배학감뿐이다. 다정하게 영채의 손한번 잡아주지 않았던 형식더러 무정하다, 무정하다 한 소설이지만 오히려 끝까지 기대하며 읽은 마음을 저버리는 결말이 더욱 무정하다고 하겠다.
추천자료
김유정 소설의 문명 비판 연구
김동리 소설 연구-작품내 인물분석을 중심으로
염상섭 소설 연구 - <표본실의 청개구리>, <만세전>, <삼대>를 중심으로
김동인 소설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고찰
[소설창작론]상허 이태준의( `꽃나무는 심어 놓고`, `촌띄기`, `봄`, `농군`)작품에 대한 고찰
1930년대 근대소설의 발전
1930년대 소설을 통한 근대정신의 심층 탐구
황순원의 단편소설(술, 집, 황소들, 목 넘이 마을의 개)을 통해 본 『해방직후의 삶의 모습과...
1920년대 소설의 특성
한설야 소설 과도기 연구
이인직의 소설세계
성장 소설 『데미안』연구
박태원의《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