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Shutter(셔터)
2.Aperture(조리개)
3.Film(필름)
2.Aperture(조리개)
3.Film(필름)
본문내용
나타낸 곡선인데 시성 곡선 또는 H&D곡선이라고 한다. 일정한 조건하에서 단계적으로 노광하여 현상했을 때 노광량을 횡축에, 농도를 종축에 그린 곡선으로 전문적으로는 이 곡선의 모양과 경사도에서 감도,콘트라스트,관용도 등을 알 수 있다. 또 현상 조건이 바뀌었을 때 곡선에서 그 필름의 응용적인 용도를 판단할 수 있다.
곡선 아래부분(발 부분):새도우 부분을 나타내고 은의 she도가 가장 낮은 부분이다.
중간의 직선 부분:이론상 인화의 중간 톤이다.
곡선의 상부(어깨 부분):하이라이트를 나타내고 은의 농도가 가장 높은 부분이다.
9.필름의 사진적 성질
1.감광도:감광재료가 일정한 빛에 대해 반응하는 속도.
감도의 표시법 ASA(American Standard Association)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일정한 빛에 대해 어느 정도 바르게 작용하는가 하는 필름의 감광능력을 수치 화시켜 표시한 것.
감도에 다른 필름의 종류
①저감도
입상성이나 선예성을 주목적으로 설계된 필름.
할로겐 입자가 뛰어나게 작으며 확대율이 좋다.
해상력을 개선시키기 위해 유제가 아주 얇게 코팅이 되어 있고 콘트라스트가 강하며 노출의 관용도가 좁다.
정교한 디테일을 재현하고자 하는 사진에 적합한 필름으로 ISO 수치 100이하인 필름.
②중감도
감도,입상성,선예도,감색성,노출관용도 등 종합적으로 볼 때 가장 사용하기 쉽고 일반 촬영에도 폭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미립자 현상액에 잘 반응하여 상당한 확대를 가능 하게 하는 높은 해상력을 가지고 있는 필름.
ISO수치 100, 200 정도의 필름
③고감도
야간이나 실내에서 움직이는 피사체를 빠른 속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높은 감도를 주 체로 설계된 것이다. 동시에 광량이 부족할 때를 고려하여 증감 현상액이나 현상 시간 연장에 따라서 감도가 증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어두운 피사체를 대비하여 새도우부 계조가 잘 재현되고 하이라이트부가 날아가지 않게 설계되어 있다. 단점은 다른 감도 의 필름에 비해 입자가 거칠고 콘트라스트가 떨어진다. 노출의 관용도는 넓은 편이다.
2.콘트라스트
피사체의 밝고 어둠을 나타내는 데 있어 그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명암의 차이가 강한 것을 경조, 적은 농도차를 나타내는 것을 연조, 계조가 가장 풍부한 것을 중간조 라고 한다. 고감도는 저감도에 비해 연조이며 반대로 저감도는 고감조에 비해 경조이 다.
3.관용도
필름이나 인화지 같은 감광재료의 노출 관용도 즉, 노출의 과부족을 어느 정도 허용하 느냐 하는 허용 범위를 말한다. 필름의 관용도는 피사체의 콘트라스트에 따라 달라지 는데 콘트라스트가 강하면 노출 관용도가 좁아지고, 슬라이드 필름은 네가 필름에 비 해 관용도가 좁으므로 노출을 정확히 맞추지 못하면 제 색을 얻지 못 할 수 있다.
흑백 필름이 관용도가 가장 넓고 다음이 컬러 네가, 마지막이 컬러 슬라이드이고 고감 도보다는 저감도 필름이 관용도가 좁다.
4.선예도(sharpness)
어큐턴스(acutance)는 가장자리의 선예도, 혹은 두 톤간의 선을 구분 짓는 필름의 능력 을 말하고, sharpness, 혹은 해상력은 피사체를 정밀하게 나타내는 정도를 말한다.
입자가 가늘고 고운 필름(저감도)은 해상력이 좋으며 입자가 거칠고 큰 필름(고감도) 은 해상력이 떨어진다.
5.채도
필름이 지닌 컬러의 강도로써 결정되는데, 어떤 컬러 필름은 원래보다 컬러가 더 현란 하게 나타나는데 비해서 또 다른 종류는 파스텔조의 차분히 가라앉은 쪽으로 가는 경 향이 있다.
채도는 콘트라스트와 반드시 상관되지는 않는다.
6.그레인(Grain)
필름의 감광유제에 있는 은의 작은 알갱이들로서 이 입자들이 모여 필름 자체의 이미 지를 형성하는데,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필름을 스크린에 비추어서 보거나 프린트를 볼 때 위의 현상을 ‘그레이니(grainy)'하다고 말한다.
그레인의 크기나 양은 사용되는 필름의 종류, 노출, 그리고 필름 현상에 따라 결정된 다.
필름을 과도하게 노출시키거나 현상시키면 그레인이 심해진다. 실수로 필름에 빛을 받 게 하였거나 필름 보관이 잘못되었을 때도 그레인 때문에 사진 전체가 흐리게 나타난 다. 그리고 네가티브에 중간치 회색의 톤이 넓으면 톤이 다양하게 나올 때보다 그레인 이 더 심하게 보이게 된다.
그레인이 모든 필름의 자연적인 요소로서 이것 없이는 화상도 가능하지 않다.
7.최대 농도(Maximum Density, D-Max)
D-Max는 필름에서 가장 적게 노출된 부분의 농도를 말하는데 필름의 불투명 ,혹은 검게 나온 부분은 화상의 질적인 문제에 있어서 무척 중요하다.
반투명이거나 낮은 D-max의 원인은 필름이 잘못 현상되거나, 오랜 된 필름이거나 보 관이 잘못되거나, 실수로 빛이나 화학 약품에 접촉이 되었거나, 현상 중 잘못으로 반전 이 되거나, 필름 제조 과정이 잘못된 경우 등이다.
필름을 눈으로 살펴보아도 D-max의 정도를 대충은 알 수 있다. 필름을 확대기 아래 비춰보아서 어두운 부분의 농도가 부족하게 보이거나 슬라이드의 어두운 그림과 부분 을 통해 볼 수 있다든지, 혹은 이 부분이 짙은 초록이나 갈색을 띤다면 D-max가 상당 히 낮음을 의미하며, 또한 콘트라스트도 약한 문제에 있는 필름임이 분명하다.
8.감색성
감광재료가 빛의 파장 즉 색에 대해 느끼는 성질을 말한다.
①청감성
가시광선 중에서 파장이 짧은 남색, 시안, 파랑 등과 자외선에 반응하는 감색성으로 주로 청색광에 반응한다 하여 청감성이라 한다. 남색, 시안, 파랑 이외의 장파장 광 에는 색맹이다. 초창기 사진 감광재료로 개발이 되었으나 다른 파장에 대한 반응을 하지 못해 현재는 일반 흑백 인화지 감색성에만 사용하고 있다.
②정색성
청감성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청색보다 좀더 장파장인 초록, 노랑까지 느낄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나 이것 또한 장파장인 빨강에는 반응을 하지 못하므로, 현재는 거의 사용 되는 경우가 없고 인쇄 제판용 필름에만 사용되고 있다.
③진정색성
사람의 육안에 느끼는 것과 같이 모든 가시광선에 반응을 하는 감색성으로 일반 흑백 인화지 이외의 대부분의 모든 감광재료에 사용되고 있다.
곡선 아래부분(발 부분):새도우 부분을 나타내고 은의 she도가 가장 낮은 부분이다.
중간의 직선 부분:이론상 인화의 중간 톤이다.
곡선의 상부(어깨 부분):하이라이트를 나타내고 은의 농도가 가장 높은 부분이다.
9.필름의 사진적 성질
1.감광도:감광재료가 일정한 빛에 대해 반응하는 속도.
감도의 표시법 ASA(American Standard Association)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일정한 빛에 대해 어느 정도 바르게 작용하는가 하는 필름의 감광능력을 수치 화시켜 표시한 것.
감도에 다른 필름의 종류
①저감도
입상성이나 선예성을 주목적으로 설계된 필름.
할로겐 입자가 뛰어나게 작으며 확대율이 좋다.
해상력을 개선시키기 위해 유제가 아주 얇게 코팅이 되어 있고 콘트라스트가 강하며 노출의 관용도가 좁다.
정교한 디테일을 재현하고자 하는 사진에 적합한 필름으로 ISO 수치 100이하인 필름.
②중감도
감도,입상성,선예도,감색성,노출관용도 등 종합적으로 볼 때 가장 사용하기 쉽고 일반 촬영에도 폭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미립자 현상액에 잘 반응하여 상당한 확대를 가능 하게 하는 높은 해상력을 가지고 있는 필름.
ISO수치 100, 200 정도의 필름
③고감도
야간이나 실내에서 움직이는 피사체를 빠른 속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높은 감도를 주 체로 설계된 것이다. 동시에 광량이 부족할 때를 고려하여 증감 현상액이나 현상 시간 연장에 따라서 감도가 증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어두운 피사체를 대비하여 새도우부 계조가 잘 재현되고 하이라이트부가 날아가지 않게 설계되어 있다. 단점은 다른 감도 의 필름에 비해 입자가 거칠고 콘트라스트가 떨어진다. 노출의 관용도는 넓은 편이다.
2.콘트라스트
피사체의 밝고 어둠을 나타내는 데 있어 그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명암의 차이가 강한 것을 경조, 적은 농도차를 나타내는 것을 연조, 계조가 가장 풍부한 것을 중간조 라고 한다. 고감도는 저감도에 비해 연조이며 반대로 저감도는 고감조에 비해 경조이 다.
3.관용도
필름이나 인화지 같은 감광재료의 노출 관용도 즉, 노출의 과부족을 어느 정도 허용하 느냐 하는 허용 범위를 말한다. 필름의 관용도는 피사체의 콘트라스트에 따라 달라지 는데 콘트라스트가 강하면 노출 관용도가 좁아지고, 슬라이드 필름은 네가 필름에 비 해 관용도가 좁으므로 노출을 정확히 맞추지 못하면 제 색을 얻지 못 할 수 있다.
흑백 필름이 관용도가 가장 넓고 다음이 컬러 네가, 마지막이 컬러 슬라이드이고 고감 도보다는 저감도 필름이 관용도가 좁다.
4.선예도(sharpness)
어큐턴스(acutance)는 가장자리의 선예도, 혹은 두 톤간의 선을 구분 짓는 필름의 능력 을 말하고, sharpness, 혹은 해상력은 피사체를 정밀하게 나타내는 정도를 말한다.
입자가 가늘고 고운 필름(저감도)은 해상력이 좋으며 입자가 거칠고 큰 필름(고감도) 은 해상력이 떨어진다.
5.채도
필름이 지닌 컬러의 강도로써 결정되는데, 어떤 컬러 필름은 원래보다 컬러가 더 현란 하게 나타나는데 비해서 또 다른 종류는 파스텔조의 차분히 가라앉은 쪽으로 가는 경 향이 있다.
채도는 콘트라스트와 반드시 상관되지는 않는다.
6.그레인(Grain)
필름의 감광유제에 있는 은의 작은 알갱이들로서 이 입자들이 모여 필름 자체의 이미 지를 형성하는데,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필름을 스크린에 비추어서 보거나 프린트를 볼 때 위의 현상을 ‘그레이니(grainy)'하다고 말한다.
그레인의 크기나 양은 사용되는 필름의 종류, 노출, 그리고 필름 현상에 따라 결정된 다.
필름을 과도하게 노출시키거나 현상시키면 그레인이 심해진다. 실수로 필름에 빛을 받 게 하였거나 필름 보관이 잘못되었을 때도 그레인 때문에 사진 전체가 흐리게 나타난 다. 그리고 네가티브에 중간치 회색의 톤이 넓으면 톤이 다양하게 나올 때보다 그레인 이 더 심하게 보이게 된다.
그레인이 모든 필름의 자연적인 요소로서 이것 없이는 화상도 가능하지 않다.
7.최대 농도(Maximum Density, D-Max)
D-Max는 필름에서 가장 적게 노출된 부분의 농도를 말하는데 필름의 불투명 ,혹은 검게 나온 부분은 화상의 질적인 문제에 있어서 무척 중요하다.
반투명이거나 낮은 D-max의 원인은 필름이 잘못 현상되거나, 오랜 된 필름이거나 보 관이 잘못되거나, 실수로 빛이나 화학 약품에 접촉이 되었거나, 현상 중 잘못으로 반전 이 되거나, 필름 제조 과정이 잘못된 경우 등이다.
필름을 눈으로 살펴보아도 D-max의 정도를 대충은 알 수 있다. 필름을 확대기 아래 비춰보아서 어두운 부분의 농도가 부족하게 보이거나 슬라이드의 어두운 그림과 부분 을 통해 볼 수 있다든지, 혹은 이 부분이 짙은 초록이나 갈색을 띤다면 D-max가 상당 히 낮음을 의미하며, 또한 콘트라스트도 약한 문제에 있는 필름임이 분명하다.
8.감색성
감광재료가 빛의 파장 즉 색에 대해 느끼는 성질을 말한다.
①청감성
가시광선 중에서 파장이 짧은 남색, 시안, 파랑 등과 자외선에 반응하는 감색성으로 주로 청색광에 반응한다 하여 청감성이라 한다. 남색, 시안, 파랑 이외의 장파장 광 에는 색맹이다. 초창기 사진 감광재료로 개발이 되었으나 다른 파장에 대한 반응을 하지 못해 현재는 일반 흑백 인화지 감색성에만 사용하고 있다.
②정색성
청감성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청색보다 좀더 장파장인 초록, 노랑까지 느낄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나 이것 또한 장파장인 빨강에는 반응을 하지 못하므로, 현재는 거의 사용 되는 경우가 없고 인쇄 제판용 필름에만 사용되고 있다.
③진정색성
사람의 육안에 느끼는 것과 같이 모든 가시광선에 반응을 하는 감색성으로 일반 흑백 인화지 이외의 대부분의 모든 감광재료에 사용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