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과]공범과 신분에 대한 조사 및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법학과]공범과 신분에 대한 조사 및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序論

Ⅱ 身分의 意味와 種類

Ⅲ 刑法 第33條의 解釋

Ⅳ 眞正 身分犯과 共犯

Ⅴ 不眞正 身分犯과 共犯

Ⅵ 消極的 身分과 共犯

본문내용

정하여야 한다고 입법론을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 임 웅, 427
2. 身分者가 非身分者에게 加功한 경우
신분자가 비신분자의 범행에 가공하여 부진정 신분범을 범한경우에는 어떻게 벌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학설이 대립한다. 소수설은 제33조 단서는 신분자가 정범일 경우에만 한하여 적용되며 신분자가 교사범 또는 방조범일 때에는 이론으로 해결한다고 주장하면서 공범종속성설을 근거로 통상범죄의 공범이 성립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 학설은 제한종속형식의 책임개별의 원칙에 반하며 단서가 신분관계로 인하여 형의 경중이 있는 경우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신분이 정범에게 있는지 공범에게 있는지를 불문할 것이다. 따라서 죄명과 과형을 개별화하는 통설이 타당하다.
) 정성근·박광민, 600; 이재상, 502; 김일수, 552; 임 웅, 427
Ⅵ 消極的 身分과 共犯
형법은 구성적 신분과 가감적 신분에 대한 제33조의 규정을 두고 있을 뿐 消極的 신분, 즉 범죄의 성립이나 형벌이 조각되는 신분에 대해서는 규정이 없다. 따라서 소극적 신분과 공범에 대해서는 이론적 해결에 맡겨져 있다. 소극적 신분에 대해서 공범종속성설의 제한종속형식과 그에 따른 책임 개별화의 원리가 관철되어야 한다.
1. 違法性阻却的 身分
비신분자가 신분자의 행위에 가공한 경우 신분자의 행위는 원칙적으로 범죄가 성립하지 아니므로 비신분자도 아무런 처벌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반대로 신분자가 비신분자의 행위에 가공한 경우에는 비신분자의 행위가 정범으로 위법하고 그 효과가 신분자에게도 미친다고 보아야 한다.
) 정성근·박광민, 601; 이재상, 503; 김일수, 553; 임 웅, 428
따라서 신분자의 공동정범, 교사범 또는 방조범의 성립이 가능하다.
2. 責任阻却的 身分
비신분자가 신분자의 행위에 가공한 경우 신분자는 책임이 조각되어 범죄가 불성립하지만 위법하므로 그 위법성은 비신분자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공범이 성립한다. 다만 비신분자의 의사지배가 있었다면 간접정법의 성립도 가능하다. 반대로 신분자가 비신분자에게 가공한 경우에는 비신분자의 범죄만이 성립하고 신분자는 책임 개별화의 원칙에 따라 책임이 조각된다고 본다.
) 정성근·박광민, 602; 이재상, 503; 김일수, 553; 임 웅, 428
3. 刑罰阻却的 身分
책임조각적 신분의 경우와 대체로 일치한다. 비신분자가 신분자에게 가공한 경우 신분자의 범죄가 성립하지만 형벌이 조각되고 비신분자는 공범으로 처벌된다. 반대로 신분자가 비신분자에게 가공한 경우 비신분자는 정범으로 처벌되고 다만 신분자에 대해서는 타인을 교사 또는 방조한 경우 공범으로 처벌해야 한다는 학설도 있지만 제한종속형식에 따라 이 경우에도 신분자의 처벌은 조각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비신분자만이 정범으로 처벌된다.
) 정성근·박광민, 602; 이재상, 503; 김일수, 553; 임 웅, 428
참고서적
정성근·박광민, 형법총론, 삼지원, 2005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05
김일수, 형법총론, 박영사, 2004
임 웅, 형법총론, 법문사, 2003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6.05
  • 저작시기200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0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