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움과 우리사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름다움과 우리사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우리는 지금 세상을 살아감에 우리의 모습이 뭔가 틀에 박혀있다는 생각을 한적이 있을 것 이다. 누가 시키지도 강요한 일도 없지만 우리들의 모습을 보면 다들 똑같은 모습으로 만들어지는 로봇과 같다. 겉치장은 물론이거니와 하물며 우리의 체형이나 얼굴 역시 똑같은 모습으로 만들어가고 있다. 그 중 자신의 체형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우리의 전통적인 미인의 모습은 동그란 얼굴에 약간 통통한 체형이었다. 그렇지만 지금은 동그란 것 에서 갸름한 모습으로 통통한 체형에서 마른 체형으로 바뀌게 되었다. 예전에는 살이 많은 것이 풍족함과 지위 등을 나타냈지만 20세기가 되면서 마른 체형이 건강하고 품위가 있는 사람으로 여겨지면서 우리의 머리 속에는 날씬한 것이 좋은 것이라는 생각이 차지하게 되었다. 길을 가다 마네킹을 본적이 있다. 작은 머리, 가느다랗고 긴 팔다리 삐쩍 마른 몸이다. 지금 우리가 추구하는 아름다움이 이런 모습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이렇게 아름다움의 기준이 변화된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첫 번째로 텔레비전이 있다. 텔레비전 드라마에는 뚱뚱한 사람이 주인공으로 나오지 않는다. 언제나 악당이나 악역으로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 이다. 주인공은 날씬하고 학벌도 좋으며 집안도 좋다. 그것과 정반대의 프로는 코미디 프로일 것이다. 예전에 영자의 전성시대라는 코미디 프로가 있었다. 그때 당시 이영자는 뚱뚱한 몸에도 불구 하고 꽉 맞는 옷과 과장하는 몸짓 뚱뚱한 몸은 그녀를 최고의 코미디언으로 만들어 주었고 당연히 뚱뚱한 몸은 웃음거리가 되었다. 요즘 코미디 프로그램도 역시 뚱뚱한 사람의 명칭은 끔찍이 마른 사람의 명칭은 깜찍이가 되는 이런 프로들에 익숙한 사람들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날씬해져야 하고 날씬한 것이 당연한 일이 되어 버리는 것이다. 이렇듯 날씬한 몸은 드라마 속의 주인공이 되는 것이고 뚱뚱한 몸은 코미디 속의 웃음거리라는 인식이 생기는 것이다. 또한 각종 광고를 도배하고 있는 몸짱과 얼짱, 연예인들의 연이은 누드 프로젝트, <비타민>이나 <생로병사의 비밀>과 같은 공중파 텔레비전 프로그램, 웰빙, 각종 다이어트 상품, 화장품 광고, 운동기구 등 역시 아름다움은 날씬한 몸이라고 강요하고 있다.
또 다른 원인으로는 사회적 인식이다. 예전에는 입은 옷이 자신의 품위와 지위를 나타내어 주었지만 이제는 옷이 품위와 지위의 수단이 되는 시대는 옛말이다.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6.08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538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