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암시된 성적인 경향에 따라 방향이 정해지지만, 나중에 가서는 그 방향이 근친상간을 막는 장벽 때문에 그들과 닮은 다른 사람들에게 돌려진다. 마지막으로 사춘기라는 과도기 동안에 신체적 심리적 발달 과정이 한동안 독립적으로 나란히 계속되고, 마침내는 생식기의 신경감응으로 이르는 강력한 정신적 성충동이 생겨나 정상이 되는데 필요한 성기능의 통합이 이루어진다는 말을 덧붙여야 할 것이다.
※성적인 발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방해하는) 요인들
1)기질과 유전 - 성적인 기질의 선천적인 다양성
2)부수적인 변화들 - 성생활의 형태가 성적인 기질의 다른 구성 요소들로 인해 단 한번에 확실하게 결정된다는 견해는 받아들일 수가 없다. 그와는 반대로 제각기 분리된 요소에서 솟아나는 성욕의 지엽적인 흐름이 변화함에 따라 더 많은 가능성들이 생겨난다.
①다른 소인들 사이의 관계가 계속있었고, 성숙기가 되면서 더 강해져서 그 결과 성욕도착적인 성생활만을 영위하는 경우
②억압 - 기질적으로 지나치게 강한 구성 요소들 가운데 어떤 것이 발달과정에서 억압을 받게되면 다른 결과가 생겨난다. 그 결과는 정상에 가까운 성생활이 될 수는 있지만, 거기에 더하여 정신 신경증 질환이 생긴다.
③승화 - 성욕의 특별한 요소에서 생겨나는 지나치게 강한 흥분이 배출구를 찾아 다른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 그 자체로는 위험한 소인에서 심리적 효율성이 상당히 증가된 결과를 이끌어낸다.
3)우발적인 경험들
4)조숙 - 이 요인은 유아기의 잠복기를 중단 시키거나 단축시키거나 끝냄으로 분명해지며, 성도착적 성질을 띨 수밖에 없는 성적인 조짐들을 불러일으킹으로써 장애의 원인이 된다. 성적인 조숙은 종종 조숙한 지적발달과 병행한다.
5)일시적인 요인들
6)유아기에 받은 느낌의 고착
▶나중에 신경증 환자들과 성욕도착자들에게서 관찰되는, 정상적인 성생활에서 일탈하는 모습 가운데 상당 부분은 맨 처음부터 유아기에 받은 느낌들에 의해 확립된다. 그리고 발병 원인은 유순한 기질과 조숙, 유아기에 받은 느낌의 고착성을 증가시키는 특성, 그리고 외부영향에 의한 성본능의 우발적인 자극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성생활의 장애에 관한 연구에서 얻은 불만족스러운 결론은, 성욕의 본질을 구성하는 생물학적 과정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이 너무 적은 탓으로, 우리의 단편적인 지식으로는 정상적이고 병리적인 조건들을 모두 이해하는 데 적절한 이론을 구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성적인 발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방해하는) 요인들
1)기질과 유전 - 성적인 기질의 선천적인 다양성
2)부수적인 변화들 - 성생활의 형태가 성적인 기질의 다른 구성 요소들로 인해 단 한번에 확실하게 결정된다는 견해는 받아들일 수가 없다. 그와는 반대로 제각기 분리된 요소에서 솟아나는 성욕의 지엽적인 흐름이 변화함에 따라 더 많은 가능성들이 생겨난다.
①다른 소인들 사이의 관계가 계속있었고, 성숙기가 되면서 더 강해져서 그 결과 성욕도착적인 성생활만을 영위하는 경우
②억압 - 기질적으로 지나치게 강한 구성 요소들 가운데 어떤 것이 발달과정에서 억압을 받게되면 다른 결과가 생겨난다. 그 결과는 정상에 가까운 성생활이 될 수는 있지만, 거기에 더하여 정신 신경증 질환이 생긴다.
③승화 - 성욕의 특별한 요소에서 생겨나는 지나치게 강한 흥분이 배출구를 찾아 다른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 그 자체로는 위험한 소인에서 심리적 효율성이 상당히 증가된 결과를 이끌어낸다.
3)우발적인 경험들
4)조숙 - 이 요인은 유아기의 잠복기를 중단 시키거나 단축시키거나 끝냄으로 분명해지며, 성도착적 성질을 띨 수밖에 없는 성적인 조짐들을 불러일으킹으로써 장애의 원인이 된다. 성적인 조숙은 종종 조숙한 지적발달과 병행한다.
5)일시적인 요인들
6)유아기에 받은 느낌의 고착
▶나중에 신경증 환자들과 성욕도착자들에게서 관찰되는, 정상적인 성생활에서 일탈하는 모습 가운데 상당 부분은 맨 처음부터 유아기에 받은 느낌들에 의해 확립된다. 그리고 발병 원인은 유순한 기질과 조숙, 유아기에 받은 느낌의 고착성을 증가시키는 특성, 그리고 외부영향에 의한 성본능의 우발적인 자극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성생활의 장애에 관한 연구에서 얻은 불만족스러운 결론은, 성욕의 본질을 구성하는 생물학적 과정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이 너무 적은 탓으로, 우리의 단편적인 지식으로는 정상적이고 병리적인 조건들을 모두 이해하는 데 적절한 이론을 구축할 수 없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