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요체로서 주돈이는 이것을 정(靜)에 두었고, 정호는 성(誠)에 두었으며 정이와 주자는 경(敬)에 두었다. 정이는 “수양에는 경이 필요하며 학문의 발전에는 치지(致知)가 중요하다”고 하였으니, 이들 성리학자들의 정(靜) ·성(誠) ·경은 필연코 인(仁)과 의(義)로 귀일되는 것이다. 즉, 인 ·의의 인식 파악은 성 ·경에 의하여 비로소 가능함을 말하였다.
성리학은 주자 생존시에는 이것을 위학(僞學)이라 하여 박해를 받았으나 송나라 멸망 후 원대(元代)에 이르러 관학(官學)으로 채택되고 과거(科擧)의 교재로 사용되면서 크게 번성하였다. 청대(淸代)에 이르러 고증학(考證學:實學)이 대두되면서 귀족의 학문이니 실속 없는 공론(空論)이니 하여 배척되었으나 교과 과목으로서의 성리학은 여전히 그 지위가 높았다.
성리학은 주자 생존시에는 이것을 위학(僞學)이라 하여 박해를 받았으나 송나라 멸망 후 원대(元代)에 이르러 관학(官學)으로 채택되고 과거(科擧)의 교재로 사용되면서 크게 번성하였다. 청대(淸代)에 이르러 고증학(考證學:實學)이 대두되면서 귀족의 학문이니 실속 없는 공론(空論)이니 하여 배척되었으나 교과 과목으로서의 성리학은 여전히 그 지위가 높았다.
키워드
추천자료
정약용의 실학사상에 대한 개념 및 특징
[훈민정음] 훈민정음 창제 배경, 의의, 동기
김천택과 김수장의 해동가요, 청구영언으로 본 의의
신라인의 화랑정신과 화랑도 교육사상의 교육사적 의의
[교육학]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특징 및 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적 시사점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일반적 특징,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교육적 정당성, 초...
가족의 개념, 기능, 특징, 유형, 형태 및 가족학과 가족관계학
고려 말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특징
연암 박지원의 양반전 시사분석 및 양반전이 가지는 문학사적 의의
조선시대의 교육의 내용과 목적 및 교육사적 의의 조사분석
조선시대의 교육의 내용과 목적 및 교육사적 의의 조사분석
(A+자료) 세종대왕의 사법정책 업적의 특징 및 사례들과 법 적용 원칙, 부패한 관리 처벌에 ...
한국 근현대사(근대사) 특징, 약력, 한국 근현대사(근대사) 5 18광주민중항쟁 인권담론, 한국...
[유학과 직업윤리] 호락논쟁의 의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