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 이론(파블로브, 스키너, 반두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행동주의 이론(파블로브, 스키너, 반두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1) 조건반사 실험
(2) 기본원리와 개념
(3) 고전적 조건형성의 학습원리

2. Skinner의 작동적 조건형성
(1) 스키너의 실험
(2) 작동조건형성의 주요원리
(3) 간헐적 강화의 종류
(4) 소거와 자발적 회복

3. Bendura의 관찰학습(사회적 학습)
(1) 관찰학습의 단계
(2) 관찰학습의 전형

본문내용

관찰하고 모델이 한 행동을 그대로 시행함으 로써 보상을 받는 것을 그 기본전제로 한다.
* 관찰자가 쉽게 모방할 수 있는 반응을 요구하거나, 실제로 행동함에 있어서 연습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가장 효과적이다.
ㄴ. 동일시 전형
* 관찰자가 모델의 비도구적인 행동유형을 습득하는 것이다.
* 모델의 일반적인 행동스타일을 모방하는 것이 동일시 학습의 초점이다.
ㄷ. 무시행학습전형
* 행동을 미리 할 기회가 없거나 모방에 대한 강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관찰자가 학습을 하는 것이다.
* 동일시학습과 다른점은 모방된 행동이 도구적인 반응이라는 것과 모델 자신이 보상을 받는다는 점이다.
ㄹ. 동시학습전형
* 모델과 관찰자가 동시에 동일한 학습을 하는 상황에서, 관찰자가 모델의 행동을 보고 그대로 행동하는 기회를 가지게 되는 경우이다.
관찰자의 행동과 같은 행동을 모델이 할 때 관찰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촉 진이라고 하고, 관찰자의 행동과 같은 행동을 하는 모델이 있을 때 행동이 촉진되는 현 상을 동시학습이라고 한다.
* 동시학습은 관찰자로 하여금 학습과제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무시 행학습과 다르며, 모델의 행동이 정확하든 정확하지 않든 간에 관찰하게 되고 관찰된 행 동을 그대로 정확하게 복사했다고 해서 반드시 보상을 받지 않는다는 점 에서 직접모방 학습과 다르다.
ㅁ. 고전적 대리조건형성
관찰학습은 작동적 행동의 학습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고 정서적 반응의 습득에도 일어 나는 현상이다. 타인이 정서적으로 경험하는 것을 관찰하고 그와 비슷한 정서적 반응을 학습하는 것을 말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10.03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5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