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이론과 원칙
실험 재료와 방법
실험 결과
고찰과 결론
참고문헌
실험 재료와 방법
실험 결과
고찰과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이 변형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단백질의 변성 실험에서 계란난백에 각각 HCl, NaOH, 증류수를 넣고 실온 방치하였고, 다른 한쪽에는 증류수를 처리한 후 중탕을 시켰다. 그 결과, HCl을 넣고 실온 방치한 경우에는 흰색으로 응고가 되었고, NaOH를 넣고 실온 방치한 경우에는 Gel상태가 되어 시험관을 흔들어도 안의 내용물은 흔들리지 않았다. 그리고 무색의 엉김이 일어났다. 여기서 단백질은 산, 염기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계란난백에 증류수를 처리한 후 실온 방치했을 때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이것을 중탕시킨 결과 흰색으로 응고가 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여기서 단백질은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우리는 두 번째로 닌히드린 반응실험을 하였다. 1%의 BSA, 전분, 글리신, 우유와 증류수에 닌히드린을 첨가한 결과 전분과 증류수를 제외한 시료에서는 청남색, 보라색으로 발색하였다. 이것은 전분가 증류수를 제외한 시료는 아미노산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우유에서 연보라색을 나타낸 것은 우유에 있는 단백질이 색변화를 야기시킨 것이다. 여기서는 색깔의 짙은 순서대로 단백질이 많이 들어있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뷰렛 반응실험을 하였다. 뷰렛 시약은 원래 푸른색이지만 단백질과 반응하면 자주색이 되고 짧은 폴리펩티드와 반응하면 분홍색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BSA와 Glycine에 뷰렛반응을 해본 결과 BSA는 보라색으로 나타났고, Glycine에서는 푸른색이 타나탔다. 이것은 BSA는 펩티드 결합을 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Glycine은 펩티드 결합을 하지 않는 것의 의미한다.
마) 참고 문헌
아주대학교 교수, 생물학 실험, 제6판, 아주대학교출판부, 경기도 수원, 2004년 출판 13~16p ☞ 실험준비물, 실험방법
http://blog.naver.com/ymmj80love.do?Redirect=Log&logNo=100001132779 ☞ 단백질, 단백질의 기능, 단백질의 변성
http://bio.123study.org/study/BIOLOGY/4/4-1/%BF%B5%BE%E7%BC%D2%B0%CB%C3%E2.htm ☞ 닌히드린반응, 뷰렛반응
http://blog.naver.com/givetime.do?Redirect=Log&logNo=60000877085 ☞ 단백질정량법(Lowry-method, Bradford-method)
우리는 두 번째로 닌히드린 반응실험을 하였다. 1%의 BSA, 전분, 글리신, 우유와 증류수에 닌히드린을 첨가한 결과 전분과 증류수를 제외한 시료에서는 청남색, 보라색으로 발색하였다. 이것은 전분가 증류수를 제외한 시료는 아미노산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우유에서 연보라색을 나타낸 것은 우유에 있는 단백질이 색변화를 야기시킨 것이다. 여기서는 색깔의 짙은 순서대로 단백질이 많이 들어있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뷰렛 반응실험을 하였다. 뷰렛 시약은 원래 푸른색이지만 단백질과 반응하면 자주색이 되고 짧은 폴리펩티드와 반응하면 분홍색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BSA와 Glycine에 뷰렛반응을 해본 결과 BSA는 보라색으로 나타났고, Glycine에서는 푸른색이 타나탔다. 이것은 BSA는 펩티드 결합을 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Glycine은 펩티드 결합을 하지 않는 것의 의미한다.
마) 참고 문헌
아주대학교 교수, 생물학 실험, 제6판, 아주대학교출판부, 경기도 수원, 2004년 출판 13~16p ☞ 실험준비물, 실험방법
http://blog.naver.com/ymmj80love.do?Redirect=Log&logNo=100001132779 ☞ 단백질, 단백질의 기능, 단백질의 변성
http://bio.123study.org/study/BIOLOGY/4/4-1/%BF%B5%BE%E7%BC%D2%B0%CB%C3%E2.htm ☞ 닌히드린반응, 뷰렛반응
http://blog.naver.com/givetime.do?Redirect=Log&logNo=60000877085 ☞ 단백질정량법(Lowry-method, Bradford-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