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식증과 폭식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거식증과 폭식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식사장애의 유형 및 정의
2.식사장애의원인
3.피해
4.위험신호
5.진단

Ⅲ.결론
6.치료

*소감문

*참고자료

본문내용

할까 혹은 식사전에 할까) 등으로 고민하지 않는다.
⑧ 일생동안 꾸준히 할 수 있는 운동을 생각한다.
⑨ 운동을 의무로 생각하지 않고 즐긴다.
소감문
이번 사회문제에 대한 레포트를 쓰면서 나에게 가장 가까운 사회문제는 무엇일까? 생각을 해보았다. 그러던 중 TV프로그램인 “추적60분”을 통해 거식증과 폭식증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고 자각할수 있는 기회였다.
다이어트는 중요하다. 건강의 파수꾼이어서다.
하지만 비정상적인 다이어트는 정신건강의 훼방꾼이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전체 중 9%가 비만이며, 13%가 과체중이며, 12%가 저체중이다. 다이어트에 관한 강박관념 때문에 식사장애를 가져오는 등 3명중 1명이 신체적인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2005.09.29 SBS 8시뉴스)
미국에선 지금 약물 중독과 과도한 다이어트 등 비정상적인 다이어트가 사회 문제로 대두됐다. 그 바람에 할리우드 스타들이 비정상적이 다이어트를 부추긴다는 비판 여론이 사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특히 틴에이저의 우상인 올슨 쌍둥이 자매 중 매리-케이트 올슨이 거식증으로 치료를 받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판여론에 더욱 힘이 실리는 추세다.
먹지 말아야 한다는 강박증 메리-케이트 올슨이 거식증에 걸렸다는 사실이 알려지자(현재 그녀는 거식증이 아닌 약물중독이란 의혹도 받고 있다) 한 연예주간지는 메리-케이트의 친구의 말을 빌려 그녀가 친구들을 만나 폭식한 후 화장실에 들어가 구토를 하기도 했다는 비화를 털어놓기도 했다.
약물중독 치료학자들은 매스컴을 통해 유명 여성스타들의 깡마른 몸매가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면서 10대에게 잘못된 자아상을 심어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필라델피아 렌프레 센터에서 거식증 환자 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수잔 사빈 디렉터는 "10대 스타들의 환상을 쫓고 있는 젊은이들은 자유나 오락, 행복 등을 마음껏 누리지 못한 채 완벽하고 비쩍 마른 몸매만을 추구하며 삶의 어려움을 겪는다"는 설명이다.
현재 미국 10대에게는 메리-케이트 올슨과 애슐리 올슨 자매를 비롯해 영국인 출신 키이라 나이틀리, 가수 제시카 심슨 등 `말라깽이` 스타들의 몸매가 `닮고 싶은 이상형`이 되어가고 있다.
스타의 사진 속에 숨겨진 진실 미국 10대 소녀들이 추종하는 섹시 팝스타 제시카 심슨도 자신의 틴에이저 시절을 회상하며 자신의 몸매에 대한 불만족에 사로잡혀 있었다고 밝혔다. 그녀는 "나는 10대의 고민을 이해한다. 나 역시 조금 더 마르기 위해 늘 노력했다"며 "지금의 사회는 세상의 모든 여자에게 잡지 표지모델이 될 것을 요구하는 분위기"라고 꼬집었다.
그러나 심슨은 잡지에 나온 팝스타들의 모습은 현실이 아니라며 10대가 겉으로만 보이는 모습에 현혹돼 그릇된 이상형을 쫓지 않길 바란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심슨은 "잡지 표지사진을 찍기 위해 2시간 동안 머리를 하고 화장을 한다. 특별한 조명 아래 찍은 것이며 수정이 가미된 사진이다. 이런 사진들은 젊은 소녀들에게 상상 이상의 높은 기대치를 심어줄 뿐"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메리-케이트 올슨의 거식증 치료소식이 알려진 뒤 언론은 "그럴 줄 알았다"는 반응을 보이며 메리-케이트의 1년 전 사진부터 들춰내며 올 4월부터 위험 수위에 올라 있었다고 연일 보도했다. 그러나 10대 여성들은 오히려 메리-케이트의 과도한 체중 감소에 예찬을 보냈다.
잘못된 다이어트 거식증과 약물중독으로 약물중독 환자들을 치료한 의사들은 10대 환자 중 대다수가 연예인들의 환상을 쫓느라 거식증에 걸렸으며 이것이 얼마나 위험한 병인지조차 자각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실제 캐나다의료협회지가 미국 내 2279명의 소녀를 대상으로 조사해 밝힌 자료에 따르면 10~14세의 소녀 중 29%는 정상체중인데도 자신이 다이어트를 더 해야 된다고 믿고 있다.
또한 콜롬비아대학의 국립 중독치료센터는 거식증 환자의 50% 정도는 알콜이나 마약중독에 빠져든다며 10대의 과도한 다이어트는 마약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브룩데일 병원의 아이레 새커 의사는 "10년 전만 해도 10대의 중독은 큰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요즘에는 점차 이슈화되고 있다. 나의 환자 2명 중 한명은 마약 중독"이라고 밝혔다.
10대의 다이어트 붐에 가수 겸 영화배우인 맨디 무어는 "누구든 언제 어디서든 아름답고, 완벽하고, 눈길을 받고 싶은 부담감에 시달린다"고 공감한 뒤 "그러나 진짜 중요한 건 스스로 존재감을 지니는 것이며 나는 다른 사람들의 기준에 별로 신경쓰지 않는다"며 10대의 올바른 가치관 정립을 강조했다.
이렇듯 빗나간 다이어트는 우리들 중 누구하나 다이어트를 해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다이어트에 대한 강박관념이 심한 사회에 살고 있고,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사회적인 문제로 확산될만큼 심각한 문제이지만, 우리는 미쳐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태 이다.
마음의 병인 거식증에 걸린 환자들은 자신은 환자가 아니라는 생각 때문에 잠복기도 2~3년으로 길고, 주변의 도움도 잘 없어서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자신 뿐만 아니라 주변에서도 많은 도움이 필요하다.
그중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자신을 믿고 자신을 사랑하는 것부터 다시 생각하고 배워야 병의 치유에 한걸음 더 다가갈수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참고자료
http://jjang.richis.org/HRIC/health/sig8/overeat.htm
http://www.tellmemind.com/4main-2.htm
http://iitech.shingu.ac.kr/%7E200325020/Theme/main_6_4.html
http://211.46.97.3/eating/eating2.htm
http://www.stopdiet.co.kr/menu3/menu3_7.htm
정신과의사 배종훈의 밝은마음 고민상담
http://www.diet-clinic.com/
http://www.healthkorea.net/Library/Disease/가/거식증.htmhttp://www.guidance.co.kr/corner/youth_world/yt/yt08170.htm
http://www.dietdisorder.co.kr/
http://www.slim4u.co.kr/
  • 가격2,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6.07.18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94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