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Title
1.Principle
2.Material, Reagents & Apparatus
3.Procedure
4.Results
5.Discussion
1.Principle
2.Material, Reagents & Apparatus
3.Procedure
4.Results
5.Discussion
본문내용
00이다.
skim milk에서 casein을 뺀 것을 whey라 하므로 사진에서 ②번 band에서 ④번 band를 뺀 것이 ③번이 되어야 하나 ②번 band에는 작은 분자량의 band(③번 band)가 나타나지 않았다.
Whey의 경우 wkey를 이루는 성분(α-lactalbumin, β-lactoglobulin, Blood serum albumin, Immunoglobulin, Proteosepeptone)의 분자량이 casein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사진에서 band가 아래쪽에서 관찰되었다.
αs-casein은 이론상 6개의 분리도(αs0-,1-,2-,3-,4-,5-,6-)가 나타나야 하나 실험결과에서는 두꺼운 하나의 band만 관찰되었다. 6개의 성분의 분자량이 거의 비슷해 하나로 섞여 나온 것으로 보인다.
β-casein의 경우 이론상 이동거리가 다른 3개의 분리대가 관찰되어야 하고, 실험결과 3개의 band가 관찰되었다
αs-casein(⑤, ⑥band)과 β-casein(⑦, ⑧band)에서 농도가 높은 sample의 band가 더 두껍게 나타났다..
Slab gel 사진에서 ① skim milk ② whey ③ casein ④αs-casein 1/10 ⑤αs-casein 1/100 ⑥ β-casein 1/10 ⑦ β-casein 1/100이다.
Slab gel은 성분의 이동도를 비교하는 것이므로 marker는 사용하지 않았고, 유단백의 분리도는 SDS-PAGE에 비해 잘 나타나지 않았다. 분자량이 비슷한 성분은 섞어서 하나의 band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 Gel 염색이 잘 안되는 이유
① SDS 농도가 높을 경우 Coomassie Blue염색이 잘 안될 수도 있다.
② 고르지 못한 염색은 색소가 불충분했거나 잘 흔들어주지 못했을 경우 gel속으로의 염 색액의 불완전한 투입에 기인한다.
③ 비정상적인 Coomassie Blue 염색은 용해되지 않은 색소의 집적에 기인하는 수가 있 다. 이 경우 염색액을 여과지로 걸러내야 한다.
④ Coomassie Blue 염색소는 양의 하전을 띤 group에 이끌리는 경향이 있으므로 염기성 단백질인 경우 강하게 염색되고, 몇몇 산성인 단백질인 경우 염색이 잘 안될 수도 있 다.
⑤ 만일 Coomassie Blue 염색이 충분히 민감하지 않을 경우 gel을 물로 2-3번 씻은 후 silver염색을 해도 된다.
※ 다음 표는 casein과 whey의 함유율 및 분자량을 나타낸 것이다.
protein fraction
% of total milk protein
Molecular weight ×10³
1. casein
80
15.4-24.1
αs1
34
23
αs2
8
23
β
25
24.1
κ
9
19
γ
4
21
2. Whey protein
20
14-1000
α-lactalbumin
4
14.4
β-lactoglobulin
9
36.0
Blood serum albumin
1
69.0
Immunoglobulin
2
150-1000
Proteosepeptone
4
4-20
skim milk에서 casein을 뺀 것을 whey라 하므로 사진에서 ②번 band에서 ④번 band를 뺀 것이 ③번이 되어야 하나 ②번 band에는 작은 분자량의 band(③번 band)가 나타나지 않았다.
Whey의 경우 wkey를 이루는 성분(α-lactalbumin, β-lactoglobulin, Blood serum albumin, Immunoglobulin, Proteosepeptone)의 분자량이 casein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사진에서 band가 아래쪽에서 관찰되었다.
αs-casein은 이론상 6개의 분리도(αs0-,1-,2-,3-,4-,5-,6-)가 나타나야 하나 실험결과에서는 두꺼운 하나의 band만 관찰되었다. 6개의 성분의 분자량이 거의 비슷해 하나로 섞여 나온 것으로 보인다.
β-casein의 경우 이론상 이동거리가 다른 3개의 분리대가 관찰되어야 하고, 실험결과 3개의 band가 관찰되었다
αs-casein(⑤, ⑥band)과 β-casein(⑦, ⑧band)에서 농도가 높은 sample의 band가 더 두껍게 나타났다..
Slab gel 사진에서 ① skim milk ② whey ③ casein ④αs-casein 1/10 ⑤αs-casein 1/100 ⑥ β-casein 1/10 ⑦ β-casein 1/100이다.
Slab gel은 성분의 이동도를 비교하는 것이므로 marker는 사용하지 않았고, 유단백의 분리도는 SDS-PAGE에 비해 잘 나타나지 않았다. 분자량이 비슷한 성분은 섞어서 하나의 band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 Gel 염색이 잘 안되는 이유
① SDS 농도가 높을 경우 Coomassie Blue염색이 잘 안될 수도 있다.
② 고르지 못한 염색은 색소가 불충분했거나 잘 흔들어주지 못했을 경우 gel속으로의 염 색액의 불완전한 투입에 기인한다.
③ 비정상적인 Coomassie Blue 염색은 용해되지 않은 색소의 집적에 기인하는 수가 있 다. 이 경우 염색액을 여과지로 걸러내야 한다.
④ Coomassie Blue 염색소는 양의 하전을 띤 group에 이끌리는 경향이 있으므로 염기성 단백질인 경우 강하게 염색되고, 몇몇 산성인 단백질인 경우 염색이 잘 안될 수도 있 다.
⑤ 만일 Coomassie Blue 염색이 충분히 민감하지 않을 경우 gel을 물로 2-3번 씻은 후 silver염색을 해도 된다.
※ 다음 표는 casein과 whey의 함유율 및 분자량을 나타낸 것이다.
protein fraction
% of total milk protein
Molecular weight ×10³
1. casein
80
15.4-24.1
αs1
34
23
αs2
8
23
β
25
24.1
κ
9
19
γ
4
21
2. Whey protein
20
14-1000
α-lactalbumin
4
14.4
β-lactoglobulin
9
36.0
Blood serum albumin
1
69.0
Immunoglobulin
2
150-1000
Proteosepeptone
4
4-20
추천자료
식물의 색소분리
[예비레포트]원형질 분리와 복귀
고분자 분리막
생물 공학적 분리정제 공정.
아미노산의 분리 및 정성분석(Ninhydrin이 작용하는 원리를 알고 glycine을 이용하여 실험)
카페인의 추출과 분리 보고서
[광합성][광합성이론][광합성실험][광합성속도실험][광합성색소분리실험][기포발생실험]광합...
아가로스 전기영동 실험보고서(DNA분리)
플라스미드 DNA 분리
예비실험보고서_카페인의 추출과 분리
실험 10. Plasmid 분리 실험 & Agarose gel을 이용한 plasmid 전기영동 : 실험결과
식물의 색소분리(크로마토그래피)
LAB 02: 대장균으로부터 chromosomal DNA의 분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