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50㎕으로 만든 뒤 10㎕를 취해서 로딩하였으므로 약 5㎕의 실제 DNA양이 들어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DNA양은 많이 취해서 전기영동을 하면 너무 크게 나와 마크와 비교하여 크기를 재는 것은 더 불편하여 적게 들어가서 눈에 보일만큼이면 충분하다. DNA의 이동속도는 분자량의 선형대수에 반비례하여 분자량이 크면 천천히 이동하고 가벼우면 빨리 이동한다. 또 아가로스 농도가 낮을수록 분자량이 큰 것이 좋고 농도가 높으면 더 촘촘해지므로 작은것에 적당하다. 이 번 실험 결과 6조의 경우가 가장 잘 분리되어 알아보기 쉬었고, 4조의 경우는 실수를 하여 다른 조에 비해 시간이 짧다보니 DNA 가 덜 분해되었던거 같다. 우리조의 경우 제대로 된 결과값을 알아보지 못해서 아쉽다. DNA와 RNA를 염색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EtBr (Ethidium Bromide)은 돌연변이원 (mutagen)이면서 발암물질(carcinogen)이므로 항상 비닐장갑을 끼고 다루어야 한다.
* 참고문헌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
http://www.knou.ac.kr/%7Ebhkim/note/4--2.htm
실험생화학 - 지구문화사
* 참고문헌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
http://www.knou.ac.kr/%7Ebhkim/note/4--2.htm
실험생화학 - 지구문화사
추천자료
[생화학]생화학 용어 정리
분자생물학 실험보고서
Real-time PCR 실험 중 문제 해결
단백질 정량, SDS-PAGE의 원리 및 SDS-polyacrylamide gel의 제조
proteomics summary
생화학) 단백질정제
세포생물학- PCR-Southern hybridization
Northern blotting과 Western blotting
Western blot
SDS PAGE와 Western Blotting에 관하여
SDS-PAGE 레포트 자료
SDS-PAGE 레포트 자료
Agarose gel electrophoresis
유전공학 실험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