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정량, SDS-PAGE의 원리 및 SDS-polyacrylamide gel의 제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단백질 정량, SDS-PAGE의 원리 및 SDS-polyacrylamide gel의 제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Date
 
2. Subject
 
3. Object
 
4. Introduction
 ① 전기영동법
 ② SDS-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SDS-PAGE)
 ③ Disc gel 전기영동의 원리
 ④ 단백질의 염색
 ⑤ Purification of hTrx1 (hTrx1 정제)
 
5. Materials & Apparatus
 ※ 5x Protein sample buffer의 조성 및 역할
 ※ 원심분리기 (centrifuge)
 ※ Coomassie brilliant blue(CBB) 염색
 
6. Methods
 ※ 주의사항
 
7. Results
 
8. Discussion
 
9. Reference
 

본문내용

1. Date
 14 April 2006
2. Subject
 단백질 정량, SDS-PAGE의 원리 및 SDS-polyacrylamide gel의 제조
3. Object
 전기영동에 관한 원리 및 기본적인 지식을 익히고, 지난 실험에서 만들어 놓은 Buffer 용액들을 정량 하여 Gel-loading sample을 제작한다. 또한 SDS-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해 단백질을 분리 한다. 마지막으로 분리된 단백질을 염색하여 Prestained Protein marker와 비교하여 단백질의 분자량을 추정해본다.
4. Introduction
 ① 전기영동법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이란 하전된 입자가 전기장에서 양극 또는 음극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 이동하는 속도는 입자의 전하량, 크기와 모양, 용액의 pH와 점성도, 용액에 있는 다른 전해질의 농도와 전하량, 지지체의 종류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어떤 용액과 지지체에서 하전된 입자의 이동속도는 분자 자체의 성질에 따라서 결정된다. 그러므로 전기영동법은 아미노산, 단백질, 핵산들과 같은 하전된 물질들을 분리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수단으로 이용된다.일반적으로 단백질을 분리하는 것은 단백질이 가진 2가지 특징, 다시 말하면 전하와 분자량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2차원 전기영동은 통상 1차원적으로 등전점 전기영동(Iso Electric Focusing: IEF)을 하고, 단백질을 등전점으로 분리해서 다시 2차원적으로 SDS-전기영동(SDS-PAGE)으로 등전점이 같은 단백질을 분자량을 기준으로 분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최초 O’Farell1)이 고안하였지만 지금은 1차원에서 높은 재현성을 얻을 수 있는 고정화 pH 구배(immobilized pH gradient: IPG) gel을 사용하므로 고도의 기술적 숙련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② SDS-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SDS-PAGE)
겔 내에서 하전된 분자의 이동도는 분자의 크기와 전하에 의해 결정되며 상대적인 분자량이 다르더라도 특정 상황 아래서는 동일한 전기영동적 이동도를 가질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5.15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4096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