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우병(BSE: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광우병(BSE: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의 정의

2) 광우병의 원인: 병원체 Prion

3) 감염경로 및 전파방법

4) 임상증상 및 잠복기간

5) 광우병의 진단 및 치료

6) BSE와 CJD 그리고 vCJD의 차이점

7) 방역대책

8) 광우병에 대한 국내 축산물의 안정성

본문내용

1. 9. 12. 일본 추가 ('01. 10. 12. 잠정추가에서 추가로 변경), '02. 6. 10. 이스라엘 추가, 03. 5. 21. 캐나다 추가, 03. 12. 24 미국 추가(잠정)
* 미국이 "BSE 발생국가 및 발생위험국"으로 잠정 지정됨에 따라 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반추동물 유래 의약품, 의약외품, 화장품, 의료용구 및 그 원료는 '03.12.24자 선적분부터 전염성해면상뇌증(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y, TSE) 미감염증명서를 제출하는 경우에만 수입가능하게 된다.
Table 3. CJD와 vCJD의 특징비교
CJD(Creutzfeldt-Jakob disease)
vCJD (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발견
-1920년대 독일 정신과의사 Hans Gerhard Creutzfeldt와 Alphons Maria Jakob이 발견
-1996년 3월 영국에서 최초 보고됨
발생
-매년 전세계적으로 백만명당 1명꼴로 발병하며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발병률이 높음
-일반적으로 55세 이상에서 발병
-2001년 1월 3일 현재 영국 88명, 프랑스3명, 아일랜드 1명으로 총92명의 의사환자발생
-일부 10대를 포함하여 대부분 55세 미만의 연령에서 발생
-현재 국내에서는 발생보고가 없음
감염
-Sporadic form의 발생원은 알 수 없으나 이것이 전체 CJD발생가운데 85%의 원인임
-영국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사람이 BSE에 감염된 소의 신경조직에 포함된 제품섭취 후 vCJD가 발병하는 점에 미뤄 BSE와 vCJD가 관련있음을 시사하고 있음
증상
-집중력상실, 무기력감, 불안증상이 있은 후 흥분, 치매증상 및 근육경련 등
-평균적으로 약 4개월간 질병증상이 지속됨
-우울증과 같은 초기 정신질환증세와 근육기능 저하를 보이고 후기에 치매증상을 보임
-평균적으로 약 14개월정도 질병증상이 지속됨
진단
-대부분의 경우 뇌파검사시 날카로운 파형의 복합형태를 보임
-스폰지 형태로의 변이, 신경세포 손실 및 astrocytosis와 같은 신경병리학적 특징
-뇌파검사시 CJD와 같은 날카로운 파형을 보이지 않음
-대뇌와 소뇌 전반에 아밀로이드플라그가 나타남
-플라그는 농도가 짙은 중심부와 환형의 스폰지 형태조직으로 이뤄져 데이지꽃 모양을 보임
8) 광우병에 대한 국내 축산물의 안정성
현재까지 소해면상뇌증의 국내유입이나 이 병이 국내에 존재할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한 근거로 첫째, 국내 검색결과에서 현재까지 많은 시료를 검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병의
감염이 의심되는 사례가 한 건도 없었다. 유럽에서의 소해면상뇌증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면서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1996년부터 병성감정 의뢰된 소와 2년생 이상의 도축되는 소를 대상으로 임상증상, 병리조직학적 및 면역학적 검사법으로 소해면상뇌증에 대한 국내검색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왔다. 그 결과 2000년 12월까지 총 3,043두를 검사였으나 소해면상뇌증으로 의심되거나 진단된 건수는 한 건도 없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7.30
  • 저작시기200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03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