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의 미래는 유토피아인가 디스토피아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기술의 미래는 유토피아인가 디스토피아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21세기가 시작된 지 5년이 흘렀다. 그 시작을 2000년으로 하느냐 2001년으로 하느냐는 의미 없는 논쟁일 뿐, 과학 기술이 세상을 보다 더 편리하고, 사람들을 행복하게 해줄 거라는 기대를 가지게 했던 21세기의 출발이었다. 인터넷 등의 정보 과학 기술의 발달은 정보의 흐름을 이 전보다 훨씬 빠르게 만들 것으로 보였고 국가간 국경 없는 무역을 촉진시키며 부유한 자나 가난한 자나 누구나 쉽게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인터넷 아래서 모두가 평등할 것이라는 기대에 부풀어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순진한 생각이었음이 불과 5년 만에 드러났다. 빈부의 격차는 더욱 커졌고, 정보의 독점도 더 심화되었다. 정보의 흐름이 빨라지긴 했으나 이 흐름을 따라갈 수 있는 사람과 따라갈 수 없는 사람간의 소득 격차는 급속하게 벌어졌고, 세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강한 나라와 약한 나라간의 경제적, 정치적 힘의 차이도 더욱 심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밝은 미래를 꿈꾸면서 우리가 잠시 잊고 있었는지도 모를 에너지 문제가 추상적이지 않은 현실이 되어 우리 앞에 다가왔다. 국제 유가는 하루가 다르게 치솟고 있고, 세계의 열강들은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전쟁도 불사하고 있다.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대를 거치면서 이 세계는 이념의 대립이 가장 위험한 전쟁의 불씨였으나, 지금은 종교와 함께 에너지 확보를 위한 힘겨루기가 세계의 안정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된 것이다.
우리는 5년 전 수많은 사람들이 생각해 보았고 해답을 제시했던 문제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려고 한다. 앞으로 우리 사회는 밝은 미래, 즉 유토피아가 될 것인가 아니면 어두운 미래 즉 디스토피아가 될 것인가?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이 물음은 종교적인, 문화적인 측면에서의 질문이 될 수 없다. 당연히 이 물음은 과학 기술에 의한 유토피아냐, 과학 기술에 의한 디스토피아냐 하는 물음이 되어야 한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거의 모든 것이 과학 기술을 통해 우리가 이루어낸 것들에 의해 돌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유토피아란 무엇인가? 유토피아란 개념은 영국의 정치가였던 토머스 모어(1478~1535)가 쓴 소설 ‘유토피아’에서 등장했다. 본래는 ‘아무데도 없는 나라’ 라는 의미를 가진 그리스어였던 ‘유토피아’가 그의 소설 속에서 하루 노동시간은 6시간이며, 여가는 교양 시간으로 사용되고 필요한 것이 있으면 창고에서 자유롭게 꺼내어 쓸 수 있는 나라를 의미하는 단어로 재탄생되었다. 이 나라는 종교적인 관용, 평화, 남녀 교육의 평등 등 당시로서는 이상적이었던 나라의 모습을 보여주는 ‘이상향’이었다. 그렇다면 2006년을 살고 있는 우리가 바라는 ‘유토피아’는 어떤 모습일까? 기본적으로 의, 식, 주가 해결되는 곳이어야 할 것이다. 정치적으로는 자유로운 의사표현이 가능한 민주주의 국가가 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8.09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609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