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론] 영국의 평생교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생교육론] 영국의 평생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영국 평생교육 개관
1. 영국 평생교육체제의 발전
2. 영국 평생교육 체제와 관련 법안
3. 영국의 평생교육 행정체제와 향후 추진계획

Ⅱ. 영국 평생교육의 특징
1. 영국의 대학 평생교육
2. 영국의 직업교육 학교
3. 산업대학(University for Industrial: UFI)
4. IIP(Investors In People)
5. 영국의 노인 평생교육

Ⅲ. 영국 대학의 평생교육원과 인하대학교의 사회교육원
1. 영국 대학의 평생교육원
2. 한국의 인하대학교 사회교육원

Ⅳ. 한국 평생교육에 주는 시사점

본문내용

미술실기지도사과정, 어린이영어지도사과정, 요가지도자양성과정, 중앙일보NIE논술지도사양성과정
특별교육과정
어린이영어연극지도자과정, 어린이영어영재연극과정, 수학영재교사양성과정, 영재교사양성과정, 토지투자분석전문가과정
시민대학
여성교양문화과정, 여성사회참여과정, 중견지도자과정, 에버그린아카데미
학점은행제
학점은행제란 무엇인가?
학점은행제는 평생학습체제 실현을 위한 제도적 기반으로서 학교교육은 물론 다양한 사회교육의 학습의 결과를 사회적으로 공정하게 평가인정하고 이들 교육의 결과를 학교교육과 사회교육간에 상호인정하며, 이들이 상호유기적으로 연계를 맺도록 함으로써 개개인의 학습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자는 제도이다. 개인의 학습경험은 학점화되어 한국교육개발원에 등록할 수 있고, 이러한 학점들이 누적되면 대학졸업학력 또는 전문대학졸업학력을 인정받고, 학사학위 또는 전문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2) 학점은행제 과목 - 가족상담 및 치료, 결혼과 가족, 경영학개론, 경제학개론, 기업환경론, 국사개설, 논리학원론, 문학개론, 미니정원만들기,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행정론, 사회심리학, 사회학개론, 상담심리학, 생활법률, 생활 속의 과학, 생활 원예, 수학의 이해, 실용한문, 심리학개론, 영어, 영화와 영화 읽기, 인간관계론, 인체의 신비, 일본어, 전산개론, 조직행위론, 창조와 진화, 체력관리와 건강, 평생교육론 탐구, 행정학개론, 현대인의 정신건강, 회계와 사회, 희랍신화의 탐구
3) 영국 대학 내의 평생교육원이 우리에게 던지는 시사점
①대학교육과 평생교육원의 학제연계가 영국에는 존재한다. 하지만 인하대학교 사회교육원은 여전히 지역주민을 위한 시민대학으로서의 기능밖에 없는 독립기관으로 존재할 뿐이다.
②시설면에서 영국 대학의 평생교육원은 훌륭하다. 하지만 인하대학교 사회교육원은 마치 동네 학원 이상의 느낌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아직 그 시설과 복지면에서 상당히 뒤처져 있다.
③인하대 사회교육원은 나름대로의 꼼꼼한 교과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특히나 일반교양으로서의 과정이 영국의 평생교육원처험 학부생(인하대)에게 개방된다면 더욱 좋지 않을까?
Ⅳ. 한국 평생교육에 주는 시사점
1. 영국 정부는 평생에 걸쳐 개인의 직업능력개발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학습진로고용 정보 서비스 체제를 구축, 운영하고 있다.
청소년을 위한 진로서비스 체계가 전국 지역단위로 분포, 특히 의무교육이 끝나는 시점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계속교육 및 직업세계로의 전환을 돕고 있다.
고용서비스 체제 역시 기본의 각종 지원시설을 통합함으로써 실업자들의 취업지도와 알선, 구직자 수당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
전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학습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학습정보망인 산업대학을 구축운영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과 고용을 위한 정보제공이나 진로지도 서비스가 각기 분리되고 산발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부처 간, 기관간에 상호 연계성 없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결과로 수요자인 국민들은 원하는 정보나 상담을 받기가 매우 번거롭고 어려워 사실상 국민의 평생 직업교육 훈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에 한계를 주고 있다. 이런 점에서 영국은 우리나라에서 추진해야 할 학습진로겨용 정보 지원체계의 통합 및 연계 방식에 유용한 시사점을 준다.
2. 영국 정부는 전국민의 평생 직업교육훈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평생교육이 일종의 문화로서 정착될 수 있도록 촉진제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공동체 학습기금 및 노조학습기금과 같이 학습조직을 재정적으로 지원함으로써 학습 문화 유도
3. 영국은 자격제도의 질 관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조직간에 강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정부, 직종별 협회나 단체로 구성된 선도단체나 공동단체, 직업교육훈련기간 간에 수행해야 하는 역할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유기활동을 수행해 나가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자격제도 운영에 있어서 직종별 단체나 협회는 거의 기능을 하고 있지 못하며, 정부와의 유기적인 관계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자격제도 운영에 있어서 영국 직종별 단체나 협회 등이 참여하는 방식과 역할은 향후 우리나라의 자격제도 개선이나 설계 과정에서 관련 조직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4. 영국은 국가적 수준의 자격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직업교육훈련과정과 자격검정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어 궁극적으로 자격과 학력간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실제로 국가 기술자격제도와 같은 국가적 차원에서 통용화되는 자격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시행해 오고는 있으나 이와 같은 국가적 수준의 자격검정 기준이 직업교육훈련 기준과는 별개로 설정됨으로써 직업교육훈련과 자격간의 연계나 호환을 추진하는 데 장애가 되고 있다.
5. 평생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개인의 경력관리지원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구축, 운영되고 있다.
개인의 경력관리가 실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인학습구좌제를 구축, 운영 중에 있으며, 국민들에게 직업훈련비용을 대부함으로써 스스로 경력개발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경력개발 대부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교육계좌제 시행에 영국의 국가성취기록부 및 개인학습구좌제의 운영방식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평생교육개론』, 김종서 外, 교육과학사, 2002
『평생교육의 이해』, 조용하 外, 동문사, 2001
「평생학습체제 구축에 관한 정책대안」, 황동서, 1998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고등교육 체제 개혁 방안 연구」, 윤여각 外, 2000
「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하는 영국의 교육정책」, 이종재, 2000
인하대학교 사회교육원 홈페이지(http://site.inha.ac.kr/life/)
한겨례, 경향신문
통계청(www.nso.go.kr)
www.naver.com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09&article_id=0000429985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28&article_id=0000102717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8.14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0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