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기 예술의 이해] 유약과 소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자기 예술의 이해] 유약과 소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약이란 무엇인가?

2) 유약 사용의 목적

3) 유약의 원료
가. 산성원료
나. 중성원료
다. 염기성원료
라. 유탁제
마. 발색제

4) 유약의 조합

5) 유약의 종류
가. 소성온도에 의한 분류
나. 외관 상태에 의한 성분
다. 특별한 효과의 유약

6) 시유방법
가. 담금 법
나. 유도 법
다. 진동입힘 법
라. 유약분말 뿌려 입힘 법
마. 붓 처리법
바. 분무 법
사. 증발 법

7) 가마
가. 가마의 역사
①서양 가마 ②동양 가마
나. 가마의 구조
①봉통 ②노리칸 ③살창구멍 ④불턱 ⑤쥐구멍
⑥불구멍 ⑦불통 ⑧접발 ⑨공통 ⑩굴뚝 ⑪천정
다. 가마의 종류
①불연속 가마
◦ 승염식 가마 ◦ 횡염식 가마 ◦ 도염식 가마
②반연속 가마
◦ 통가마 : (1)구조 (2)아궁이와 번조실 (3)가스버너와 석유버너 설치
◦ 등요(오름 가마)
③연속 가마
◦ 터널가마 ◦ 호프만 식 가마
④라꾸 가마
⑤사용연료에 따른 가마
◦ 전기 가마 ◦ 가스 가마 ◦ 장작 가마 ◦ 기름 가마

8) 소성의 종류
가. 초벌구이
나. 재벌구이
다. 상회구이
라. 식염유 소성
마. 라꾸 소성
바. 꺼 먹이 구이

9) 소성방법
가. 산화소성
나. 환원소성

10) 연료의 종류
가. 나무
나. 기름
다. 가스
라. 전기

본문내용

야 한다.
나. 재벌구이(Glaze Firing)
재벌구이는 유약구이, 본 구이, 잿물구이, 또는 참 구이 라하며 영어로 글래이즈 화이어 링이라 한다.
재벌구이는 초벌구이가 끝난 기물을 꺼내어 먼지나 재를 털어내고 시유하기 전 물에 살짝 담근 후(담금질이라고 한다) 시유한다. 담금질을 하는 이유는 기물에 수분을 주어 유약이 너무 두텁게 시유됨을 방지하고 너무 급하게 유약을 빨아들여 기포가 생기거나 유약이 벗겨지는 것도 막기 위해서 이다.
시유된 기물은 굽 부분의 유약을 잘 닦아내고 상판이나 도침을 정리한 후 가마에 재임을 한다. 상판이나 도침은 고령토와 규석을 반반씩 섞어서 붓으로 칠하여 준 후 말려서 사용하면 만일 유약이 흘러내려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재벌구이는 초벌구이보다는 조금 빠르게 진행해도 좋으나 너무 빠르면 유약이 벗겨지거나 기물이 뒤틀리는 현상이 생겨난다. 900~1000도에 이르기까지는 산화염(Oxidation Firing)으로 번조한 후 기물에 따라 점차 환원염(Reduction Firing)으로 소성하여야 좋은 색상을 낼 수 있다. 산화염은 연료와 산소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연료를 완전 연소시키는 방법이며, 환원염은 연료의 양에 비하여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여 불꽃을 길게 만들어 유약이 불꽃 속에서 용융되는 것을 말한다. 환원염의 상태에서 특히 철분이나, 산화동 등의 산화물들의 색상이 변하게 되어 좋은 색을 내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보통의 점토는 약간의 철분을 함유하고 있어 환원염 상태에서 유약과 작용하여 좋은 색상을 내주는데 특히 고려청자 같은 경우는 환원염에서는 푸른빛을 내주지만 그 반면 산화염에서는 갈색을 낸다.
다. 상회구이(Over Glaze Firing)
상회구이를 더침 구이라고도 하며 재벌구이 이후 유약의 표면에 저온의 안료와 유약을 입혀 다시 한 번 녹여주어 장식하는 과정을 말한다. 주로 밝은 색상의 저온 유를 활용하여 장식성을 목적으로 산업도자 분야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상회부분의 장식은 오래 사용하면 벗겨져서 보기에 좋지 못하여 위생적이지 못하므로 요즈음은 주로 Under Glaze를 한다.
상회가 되어 있는 도자기는 손으로 디자인의 표면을 만져보면 손에 만져진다. 유약의 표면에 장식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기에는 좋아도 대개는 오래 사용하면 벗겨지고 위생상 좋지 않다. 일본인들이 주로 상회 작업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들의 취향이 밝은 색상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라. 식염유 소성(Salt Glazing)
식염유란 12세기 독일에서 발생한 유럽의 전통도예 기법이다. 생활자기, 건축용 벽돌, 타일 등에 많이 사용했고 우리나라에 알려진 것은 일 제 시대 때 일본인들에게 의해서 대부분 건축용 벽돌이나 토관 등에 사용되었다. 식염유는 Na2O . SiO2 . Al2O3 계의 유리로서 식염은 저온인 760℃에서 용융 휘발하여 기물 표면에 부착되어 시유한 것 처럼 유리질 피막을 형성한다. 소지의 규산질과 반응하여 소다유리질로 유층을 만든다.
마. 라꾸 소성(Raku Glaze)
소지는 30%의 수분을 함유한 석기점토로 만든다. 초벌이나 본구이의 온도가 콘 04(1060℃)를 넘지 않으므로 소지는 언제나 기공이 많고 깨지기 쉽다. 라꾸 기물은 이글거리는 가마에 넣기 전에 약간 예열을 할 필요가 있다. (가마지붕위에 놓으면 된다.) 유약이 녹았을 때 화 젓가락으로 가마에서 꺼낸다. 이것을 곧 대패 밥, 톱밥, 또는 마른 나뭇잎으로 채운 금속 통에 넣어서 그을린 자국과 환원 효과를 내도록 한다. 소지는 보통 검게 되고 장식한 부분은 라스 터 나 동적색이 나타나게 된다. 원하는 색 분위기에서 찬물로 식혀서 색을 정착시킨다. 이결과 러스터 유, 균열 유, 연기가 밴 부분 등의 다양한 효과가 나타난다.
바. 꺼 먹이 구이
꺼 먹이는 도자기 소성 시에 강제로 연기를 먹여 기물이 까맣게 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삼국 시대 토기재형(고화도 꺼 먹이), 질시 류를 구워 낼 때 사용하고 있다.
9) 소성방법
가. 산화소성(Oxidation Firing)
소성 시 산소를 충분히 공급시켜 사용 연료가 완전 연소 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한다. 200℃에서 유리 수분은 증발하며 450~700℃에 결정 수분이 증발한다.
나. 환원소성(Reduction Firing)
소성 중 어느 때에 산소 공급을 불충분하게 하여 사용연료가 불완전 연소가 되게 하는 것이며 이 결과로 대기 내에 생긴 유리된 탄소가 소지와 유약에 들어 있는 금속 산화물의 산소와 결합해서 이들을 환원시키고 색깔도 변화 시킨다.
10) 연료의 종류
가. 나무
석탄, 톱밥, 나뭇잎, 짚단 등 식물성 연료이다. 그러나 재래식 등요에서 주로 사용해 온 나무는 소나무로서 열량이 좋고 많은 양을 연소해도 숯이나 재가 남지 않으며 송진이 불꽃을 길게 하여 환원소성에 유리하다.
나. 기름
경유, 석유, 벙커C유, 폐유 등 특성에 따라 가마 버너와 기름 탱크, 송풍기 등의 구조가 복잡하나 가격이 저렴하여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냄새가 심하고 연소 초기에는 연기가 많이 날 뿐 아니라 버너와 송풍기의 소음이 심하다. 대개 산업도자기나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대규모 공장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벙커C유나 폐유를 활용하므로 에너지 절약의 이점도 있다.
소규모 공방에서는 경유나 석유 가마를 사용하기도 한다. 소성 중에 수시로 버너와 송풍기를 조절하여 불꽃의 상태를 조절해야 한다.
다. 가스
LPG, 도시가스, 부탄가스 등을 사용하는데 LPG가 가장 설치가 용이하다. 용기에 담겨있는 가스는 자주 용기를 바꿔주어야 하지만 도시가스는 처음 시설하기가 어렵지만 일단 설치 놓으면 사용하기 편하다. 가스 가마는 편리하고 깨끗하며 완전 연소가 되므로 좋은 색상을 얻을 수 있어 소성 효과도 좋고 가격도 저렴하다.
라. 전기
전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며 발열체에 따라 최고 온도가 정해진다. 저화도(1098℃)에 적합한 것은 니켈 - 니크롬선이다. 칸탈(Kantal)타입은 다른 합금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1263℃까지 올릴 수 있고 고화도 에서 소성하는 더 큰 산업용 가마는 탄소 화합물로 된 직격 6~50cm의 봉을 사용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9.08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3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