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배드민턴이란 무엇인가?
2. 배드민턴 경기방법
3. 배드민턴 복식하는 방법
4. 배드민턴 심판법
5. 배드민턴 용어
1. 배드민턴이란 무엇인가?
2. 배드민턴 경기방법
3. 배드민턴 복식하는 방법
4. 배드민턴 심판법
5. 배드민턴 용어
본문내용
턴에 사용하는 깃으로 만든 공.
쇼트 서비스 : 상대편의 쇼트서비스 라인에 꽉 차도록 치는 짧은 서비스.
숏 : 겨냥하고 치는 것.
스매시 : 상대편 코트의 마루 면에 급각도로 강력히 내리치는 스트로크.
스윙 : 셔틀을 칠 때 라켓을 몸 뒤로 휘두르는 것을 백 스윙(Back Swing), 계속 셔틀을 치기
위해서 앞으로 휘두르는 것을 포오워드 스윙(Forward Swing) 이라고 하며, 셔틀을 치고
난 다음에 라켓의 흐름을 폴로우 스윙(Follow Swing) 이라고 한다.
스트랩 : 포스트를 사이드라인의 바깥쪽으로 세울 경우에 사이드라인의 위치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는 흰 띠. 폭 4cm 이상.
스탠스 : 셔틀을 칠 때의 발 자세 취하기.
스트레이트 : 사이드라인과 평행으로, 상당히 빨리 직선적으로 날으는 셔틀.
스트로크 : 셔틀을 치는 동작을 말한다.
슬라이드 스텝 : 발을 전후로 취하고, 앞발로 뒷발을 바싹 당겨서 앞발을 내딛는 발의 운행하는
방법.
슬링 : 셔틀을 칠 때, 셔틀과 라켓의 접촉시간이 너무 길어서, 라켓으로 셔틀을 운반하는 것과
같은 상태를 말하며, 이것은 반칙이 된다.
싱글스 : 1대 1인으로 행하는 시합.
쓰로우 : 슬링과 같다.
아웃 사이드 : 서브를 하지 않은 쪽, 즉 리시브하는 쪽을 말한다.
어택킹 클리어 : 클리어의 한 형태로서 셔틀이 상대방 키를 살짝 넘을 정도의 높이로, 수평 궤도
를 그리며, 가도록 하는 타구를 말한다.
앤티시페이션 : 상대방이 치는 코스를 예측하고 선수를 쓰는 것.
아웃 : 셔틀이 상대 코트를 옳게 넘겨지지 않고, 코트의 구획선 밖으로 나가거나, 네트의 및을
통과하는 것.
언더 핸드 스트로크 : 낮은 위치에서 셔틀을 상향으로 치는 방법.
에이스 : 자기가 가장 잘한다고 생각하는 결정타. 도는 상대편이 라켓도 못 대 보고 빠져나가
는 타구.
앤드 : 네트로 구분된 코트의 절반.
오버 더 네트 : 셔틀이 아직 코트에 넘어 오기 전, 상대의 코트 내에서 쳐서는 안된다.
오버 드라이브 : 코트의 후방 바운더리 라인을 넘어서, 코트 밖으로 나간 샷을 말한다.
오버 웨이스트 : 서브할 때, 허리보다 높은 위치에서 셔틀을 치는 것을 말하며, 반칙이 된다.
오버 핸드 : 서브할 때, 셔틀을 치는 순간에 라켓의 헤드가 라켓을 잡은 손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을 말하며 반칙이 된다.
오버 헤드 스트로크 : 머리 위로 날아오는 셔틀콕을 받아칠 때 사용하는 스트로크.
와이드 : 셔틀이 사이드 바운더리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말한다.
앨리 : 사이드 앨리라고도 하며, 복식 경기를 할 때에 사용하는 지역으로 코트 양 쪽의 5.72cm
의 지역을 말한다.
앨리 샷 : 앨리에 떨어지는 타구를 말한다.
엔드 : 사이드라고도 한다. 네트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나뉜 코트의 한 쪽을 말한다. 따라서 배드민턴 코트에는 2개의 엔드가 있다.
엔드 라인: 베이스 라인이라고도 하며, 백 바운더리 라인을 말한다.
이닝 : 한 팀이 서브권을 가지고 있는 동안을 말한다.
이스턴 그립 : 라켓을 쥐는 법의 한 가지. 도끼처럼 잡는 방법.
인 사이드 : 서브의 권리를 갖고 있는 쪽을 말하다.
인터벌 : 제 2게임과 제 3게임 사이의 휴식 기간. 5분을 원칙으로 한다.
인터 피어 : 반칙의 한 가지. 상대방 플레이를 방해하는 것.
인 플레이 : 경기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
임팩트 : 라켓으로 셔틀을 치는 순간.
콤비네이션 : 더블스의 경우, 파트너끼리 공동동작.
크로스 코트 : 셔틀을 이쪽 코트에서 상대방의 코트로 보낼 때, 대각선으로 보내는 것을 말한다.
클리어 : 높게 멀리 셔틀콕을 쳐서 상대방 코트의 깊은 곳으로 날리는 스트로크.
터칭 더 네트 : 신체나 라켓이 네트에 접촉했을 때를 말하며, 반칙이 된다.
터칭 더 바디 : 신체나 라켓이 네트에 접촉했을 때를 말하며, 반칙이 된다.
포틴 듀스 fourteen deuce : 14대 14의 타이가 되었다는 의미로 심판이 선수에게 부르는 말.
포어 코트 fore court ; 네트 가까이에 있는 코트를 말한다.
풋 폴드 foot-fault : 서비스할 때, 서버 또는 리시버의 양 발이 바닥에 정지하고 있지 않은 것.
반칙이 된다.
프레임 frame : 라켓 베드의 테 부분.
플라이트 flight : 셔틀의 날기.
플레이스먼트 placement : 상대방이 숏하기 힘든 지점을 노려서, 셔틀을 치는 것.
플릭 flick : 스트로크의 최종 단계에 있어서, 라켓에 셔틀이 닿기 직전에, 팔목을 재빨리 잡아
당기는 동작을 말한다.
피봇 pivot : 한 쪽 발의 뒤꿈치를 들고 발끝을 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몸의 방향을 바꾸는
것을 말한다.
패싱 샷 passing Shot : 상대방의 머리위로 넘어가는 타구와 구별하여, 상대방의 옆으로 빠르
게 지나가는 타구를 말한다.
페시트 facet ; 라켓의 손잡이가 8각의 면으로 되어 있는데, 그 한 면을 말한다.
페이스 face : 배드민턴 라켓의 셔틀을 치는 면을 말한다.
하이 딥 서브 high deep serve : 셔틀이 높은 궤도를 그리면서, 상대방 코트의 백 바운더리
라인 가까이의 안쪽에 떨어지도록 하는 서브를 말한다.
하이 딥 클리어 high deep clear : 하이 클리어라고도 하는데, 셔틀을 높게, 빨리 가도록 하여,
상대편의 머리 위의 높은 곳에서, 백 코트에 떨어지게 하는 타법이다.
하이 백 핸드 스트로크 : 라켓을 쥔 손의 반대쪽으로 오는 셔틀을 백 핸드로 높은 타점에서 치
는 방법. 오버 헤드의 '백 핸드 스트로크'.
하이 롱 서브 : 백 바운더리 라인이나, 또는 롱 서비스 라인 부근까지 멀고 높게 셔틀을 쳐서
보내는 서브로서, 단식 경기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헤드 룸 : 코트 위쪽의 빈 공간을 말하는데, 경기에 지장이 없게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7.6m
높이 까지는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헤어핀 : 네트 가까이에 떨어지는 셔틀을 상대방 네트 가까이에 떨어지도록 치는 타법을 말한다.
이는 셔틀의 궤도가 머리핀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쇼트 서비스 : 상대편의 쇼트서비스 라인에 꽉 차도록 치는 짧은 서비스.
숏 : 겨냥하고 치는 것.
스매시 : 상대편 코트의 마루 면에 급각도로 강력히 내리치는 스트로크.
스윙 : 셔틀을 칠 때 라켓을 몸 뒤로 휘두르는 것을 백 스윙(Back Swing), 계속 셔틀을 치기
위해서 앞으로 휘두르는 것을 포오워드 스윙(Forward Swing) 이라고 하며, 셔틀을 치고
난 다음에 라켓의 흐름을 폴로우 스윙(Follow Swing) 이라고 한다.
스트랩 : 포스트를 사이드라인의 바깥쪽으로 세울 경우에 사이드라인의 위치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는 흰 띠. 폭 4cm 이상.
스탠스 : 셔틀을 칠 때의 발 자세 취하기.
스트레이트 : 사이드라인과 평행으로, 상당히 빨리 직선적으로 날으는 셔틀.
스트로크 : 셔틀을 치는 동작을 말한다.
슬라이드 스텝 : 발을 전후로 취하고, 앞발로 뒷발을 바싹 당겨서 앞발을 내딛는 발의 운행하는
방법.
슬링 : 셔틀을 칠 때, 셔틀과 라켓의 접촉시간이 너무 길어서, 라켓으로 셔틀을 운반하는 것과
같은 상태를 말하며, 이것은 반칙이 된다.
싱글스 : 1대 1인으로 행하는 시합.
쓰로우 : 슬링과 같다.
아웃 사이드 : 서브를 하지 않은 쪽, 즉 리시브하는 쪽을 말한다.
어택킹 클리어 : 클리어의 한 형태로서 셔틀이 상대방 키를 살짝 넘을 정도의 높이로, 수평 궤도
를 그리며, 가도록 하는 타구를 말한다.
앤티시페이션 : 상대방이 치는 코스를 예측하고 선수를 쓰는 것.
아웃 : 셔틀이 상대 코트를 옳게 넘겨지지 않고, 코트의 구획선 밖으로 나가거나, 네트의 및을
통과하는 것.
언더 핸드 스트로크 : 낮은 위치에서 셔틀을 상향으로 치는 방법.
에이스 : 자기가 가장 잘한다고 생각하는 결정타. 도는 상대편이 라켓도 못 대 보고 빠져나가
는 타구.
앤드 : 네트로 구분된 코트의 절반.
오버 더 네트 : 셔틀이 아직 코트에 넘어 오기 전, 상대의 코트 내에서 쳐서는 안된다.
오버 드라이브 : 코트의 후방 바운더리 라인을 넘어서, 코트 밖으로 나간 샷을 말한다.
오버 웨이스트 : 서브할 때, 허리보다 높은 위치에서 셔틀을 치는 것을 말하며, 반칙이 된다.
오버 핸드 : 서브할 때, 셔틀을 치는 순간에 라켓의 헤드가 라켓을 잡은 손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을 말하며 반칙이 된다.
오버 헤드 스트로크 : 머리 위로 날아오는 셔틀콕을 받아칠 때 사용하는 스트로크.
와이드 : 셔틀이 사이드 바운더리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말한다.
앨리 : 사이드 앨리라고도 하며, 복식 경기를 할 때에 사용하는 지역으로 코트 양 쪽의 5.72cm
의 지역을 말한다.
앨리 샷 : 앨리에 떨어지는 타구를 말한다.
엔드 : 사이드라고도 한다. 네트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나뉜 코트의 한 쪽을 말한다. 따라서 배드민턴 코트에는 2개의 엔드가 있다.
엔드 라인: 베이스 라인이라고도 하며, 백 바운더리 라인을 말한다.
이닝 : 한 팀이 서브권을 가지고 있는 동안을 말한다.
이스턴 그립 : 라켓을 쥐는 법의 한 가지. 도끼처럼 잡는 방법.
인 사이드 : 서브의 권리를 갖고 있는 쪽을 말하다.
인터벌 : 제 2게임과 제 3게임 사이의 휴식 기간. 5분을 원칙으로 한다.
인터 피어 : 반칙의 한 가지. 상대방 플레이를 방해하는 것.
인 플레이 : 경기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
임팩트 : 라켓으로 셔틀을 치는 순간.
콤비네이션 : 더블스의 경우, 파트너끼리 공동동작.
크로스 코트 : 셔틀을 이쪽 코트에서 상대방의 코트로 보낼 때, 대각선으로 보내는 것을 말한다.
클리어 : 높게 멀리 셔틀콕을 쳐서 상대방 코트의 깊은 곳으로 날리는 스트로크.
터칭 더 네트 : 신체나 라켓이 네트에 접촉했을 때를 말하며, 반칙이 된다.
터칭 더 바디 : 신체나 라켓이 네트에 접촉했을 때를 말하며, 반칙이 된다.
포틴 듀스 fourteen deuce : 14대 14의 타이가 되었다는 의미로 심판이 선수에게 부르는 말.
포어 코트 fore court ; 네트 가까이에 있는 코트를 말한다.
풋 폴드 foot-fault : 서비스할 때, 서버 또는 리시버의 양 발이 바닥에 정지하고 있지 않은 것.
반칙이 된다.
프레임 frame : 라켓 베드의 테 부분.
플라이트 flight : 셔틀의 날기.
플레이스먼트 placement : 상대방이 숏하기 힘든 지점을 노려서, 셔틀을 치는 것.
플릭 flick : 스트로크의 최종 단계에 있어서, 라켓에 셔틀이 닿기 직전에, 팔목을 재빨리 잡아
당기는 동작을 말한다.
피봇 pivot : 한 쪽 발의 뒤꿈치를 들고 발끝을 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몸의 방향을 바꾸는
것을 말한다.
패싱 샷 passing Shot : 상대방의 머리위로 넘어가는 타구와 구별하여, 상대방의 옆으로 빠르
게 지나가는 타구를 말한다.
페시트 facet ; 라켓의 손잡이가 8각의 면으로 되어 있는데, 그 한 면을 말한다.
페이스 face : 배드민턴 라켓의 셔틀을 치는 면을 말한다.
하이 딥 서브 high deep serve : 셔틀이 높은 궤도를 그리면서, 상대방 코트의 백 바운더리
라인 가까이의 안쪽에 떨어지도록 하는 서브를 말한다.
하이 딥 클리어 high deep clear : 하이 클리어라고도 하는데, 셔틀을 높게, 빨리 가도록 하여,
상대편의 머리 위의 높은 곳에서, 백 코트에 떨어지게 하는 타법이다.
하이 백 핸드 스트로크 : 라켓을 쥔 손의 반대쪽으로 오는 셔틀을 백 핸드로 높은 타점에서 치
는 방법. 오버 헤드의 '백 핸드 스트로크'.
하이 롱 서브 : 백 바운더리 라인이나, 또는 롱 서비스 라인 부근까지 멀고 높게 셔틀을 쳐서
보내는 서브로서, 단식 경기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헤드 룸 : 코트 위쪽의 빈 공간을 말하는데, 경기에 지장이 없게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7.6m
높이 까지는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헤어핀 : 네트 가까이에 떨어지는 셔틀을 상대방 네트 가까이에 떨어지도록 치는 타법을 말한다.
이는 셔틀의 궤도가 머리핀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