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단되면 주심이
결정된 콜을 정정할 수 있다.
⑥ 주심(UMPIRE)은:
- 배드민턴 규정을 적용하여 운영하고 ‘폴트’ 그리고 ‘렛’ 상황 시 에는
정확하게 콜을 해야 한다.
- 점수와 관련된 항의가 있을 때는 서비스가 시작되기 전에 그것에 대한 결정을
그 어떠한 경우에도 내려야 한다.
- 선수 그리고 관중들을 위해서 경기의 진행상황을 지속적으로 알 수 있게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 심판장과 상의하여 부심과 선심을 임명 또는 해임 할 수 있다,
- 지명이 되지 않은 경기 임원 에게는 의무를 조정하여 실행하게 한다.
- 규정에 관련된 모든 사실을 심판장에게 보고 한다.
- 규정에 대한 불만족 스러운 모든 항의 사항을 심판장 알린다.
그러한 항의는 그다음 서비스가 행하여 지기 전에 이루어 져야 하고
혹경기가 종료 되었다면 항의하는 편이 코트를 떠나기 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19. 심판에 관한 일반사항
다음은 일반적으로 참고해야 할 사항이다.
-10-
① 배드민턴 규칙을 숙지할 것
② 신속히 콜 하다가 실수가 있게 되면 그것을 인정하고 사과와 함께 정정한다.
③ 모든 아나운서 멘트와 스코어의 전달은 명확히 하고 선수와 관중이 들을수 있도록 크게 한다.
④ 규칙을 위반했든 안했든 단지 당시의 의심이 생길 경우 폴트를 선언할 수 없
으며 경기는 그대로 진행되어야 한다.
⑤ 결코 관중에게 묻거나 그들을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⑥항상 코트의 임원들을 주시하여야한다.
20. 서비스저지에 관한 지침
① 서비스 저지는 주심의 맞은편 포스트 옆에 위치하며 낮은 의자에 앉아야한다.
② 서비스 저지는 서버의 정확한 서비스가 행하여 지는가를 심판하는 책임을 진다.
규칙이 위반 되었을 때는 폴트 라고 크게 콜하고 위반된 항목의 공인된 시그널
을 행한다.
③ 다음은 공인 된 핸드 시그널이다.
-11-
④ 주심과 서비스 저지는 원활한 경기운영을 위하여 상호간에 협의하여 업무를
변경 조정 할 수 있다.
21. 라인저지에 관한 지침
① 라인저지는 라인의 끝과 옆의 연장된 지점에 위치하여야 하며 주심의 맞은편 쪽을 앉는다.
② 라인저지는 할당된 라인에 전적인 책임을 진다.
셔틀콕이 아웃이 되면 즉시 아웃이라고 명확하게 콜하고 선수와 관중 그리고
심판이 볼 수 있도록 두팔을 펼쳐 시그널을 행한다.
셔틀콕이 인 이면 콜을 하지 않고 오른손으로 그선을 가르킨다.
③ 만약 보지 못하였으면 양손으로 두 눈을 가리는 시그널을 심판에게 보낸다.
④ 셔틀콕이 바닥에 떨어질때까지 어떠한 시그널도 해서는 안된다.
⑤ 항상 콜은 분명하고 명확하여야 하며 예상하여 사전에 경정해서는 절대 안된다. 혹 선수가 그 셔틀콕을 칠 수 있기 때문이다.
-12-
☞ 배드민턴 랠리 포인트 시스템 규정요약
1. 개 요 : 국제배드민턴연맹은 2006년 5월 6일 국제연맹 정기총회(일본,동경)에서 ‘서브권이 없어도 득점’할 수 있는 ‘랠리포인트제’로 배드민턴 경기 규정 을 변경함. 따라서, 이후 열리는 모든 국내,국제대회에 아래 규정을 적용 함.
2. 랠리포인트제 주요 내용 ;
- 21점 랠리포인트 시스템 점수제 (3게임 2선승제)
※ 단, 초등부는 17점까지 경기함
- 복식 서비스 권한 한번으로 실시
3. 적용 시점 : 2006년 5월 6일부터
4. 랠리포인트제 규정 설명
(1) 득점(스코어링 시스템)
① 3게임(2게임 선취시 승리)을 원칙으로 하며 한 게임 21점을 선취한 편이 승리한다.
② 해당 랠리에서 이긴편이 득점한다.
③ 20:20 동점(초등부-16:16)인 경우 2점을 연속하여 득점한 편이 승리하며 29:29(초등부-24:24)인 경우 30점(초등부-25점)에 먼저 도달한 편이 승리한다.
(2) 코트의 변경
첫 번째 게임 종료후와 세 번째 게임 시작 전 그리고 세 번째 게임을 할 경우 11점 (초등부-9점)을 선취시 코트를 변경 한다.
(3) 단식 경기 방식
① 서버가 포인트를 얻지 못했거나 점수가 짝수인 경우는 우측에서, 점수가 홀수인 경우는 좌측에서 서비스 한다.
② 리시버는 서버의 대각선 위치의 코트에서 리시브한다.
(4) 복식 경기 방식
① 서비스 및 리시브
㉮ 서버가 포인트를 얻지 못했거나 점수가 짝수인 경우는 우측에서, 점수가 홀수인 경우는 좌측에서 서비스 한다.
㉯ 서버로부터 서비스 코트의 대각선 위치에 선 선수가 리시버가 된다.
㉰ 리시버 쪽의 선수는 해당선수쪽이 서비스하여 점수를 얻기전까지 서로코트 위치를 바꾸지 않는다.
② 스코어링(Scoring) 및 서비스 권한
㉮ 리시브측이 폴트를 범하거나 범실에 의해 중단된 경우 서비스측은 점수를 획득하며 서버는 다시 서비스를 한다.
㉯ 서비스측이 폴트를 범하거나 범실에 의해 중단된 경우 리시브한 편이 점수를 획득하며 리시버쪽이 서버가 된다.(한쪽편에 한 번의 서비스 권한을 부여)
-13-
③ 서빙(Serving)
- 어떠한 게임에서도 서비스 권한은 아래와 같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 오른쪽 서비스 코트에서 경기를 시작한 최초의 서버로부터
㉯ 선 리시버의 파트너에게로 넘어감. 이때 서비스는 왼쪽 서비스 크트로부터 시작
㉰ 먼저 서비스한 편의 해당 점수에 부합되는 코트에 위치한 선수에게로
㉱ 먼저 리시브한 편의 해당 점수에 부합되는 코트에 위치한 선수에게로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반복 됨.
(5) 경기중 인터발(Interval)
① 각 게임중 한쪽편이 11점(초등부-9점)에 먼저 도달할 경우 60초이내 인터발
② 1게임과 2게임사이, 2게임과 3게임사이에 120초 이내의 인터발이 허용된다.
(6) 어드바이스(지도) 및 코트에서의 이탈
① 셔틀이 경기진행 중이 아닌 경우에만 선수는 경기중 지도를 받을 수 있다.
② 경기 종료시까지 경기자는 심판의 동의 없이 코트를 떠날 수 없다.
-14-
- 참 고 문 헌 -
책이름: 올림픽 금메달 리스트 방수현의
배드민턴 교본
저자: 방수현 엮음
출판사: 예가
출판일: 2004.08.20
- 참 고 싸 이 트 -
대한 배드민턴 협회
http://www.koreabadminton.org/download/2007%20laws%20of%20badminton.pdf
결정된 콜을 정정할 수 있다.
⑥ 주심(UMPIRE)은:
- 배드민턴 규정을 적용하여 운영하고 ‘폴트’ 그리고 ‘렛’ 상황 시 에는
정확하게 콜을 해야 한다.
- 점수와 관련된 항의가 있을 때는 서비스가 시작되기 전에 그것에 대한 결정을
그 어떠한 경우에도 내려야 한다.
- 선수 그리고 관중들을 위해서 경기의 진행상황을 지속적으로 알 수 있게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 심판장과 상의하여 부심과 선심을 임명 또는 해임 할 수 있다,
- 지명이 되지 않은 경기 임원 에게는 의무를 조정하여 실행하게 한다.
- 규정에 관련된 모든 사실을 심판장에게 보고 한다.
- 규정에 대한 불만족 스러운 모든 항의 사항을 심판장 알린다.
그러한 항의는 그다음 서비스가 행하여 지기 전에 이루어 져야 하고
혹경기가 종료 되었다면 항의하는 편이 코트를 떠나기 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19. 심판에 관한 일반사항
다음은 일반적으로 참고해야 할 사항이다.
-10-
① 배드민턴 규칙을 숙지할 것
② 신속히 콜 하다가 실수가 있게 되면 그것을 인정하고 사과와 함께 정정한다.
③ 모든 아나운서 멘트와 스코어의 전달은 명확히 하고 선수와 관중이 들을수 있도록 크게 한다.
④ 규칙을 위반했든 안했든 단지 당시의 의심이 생길 경우 폴트를 선언할 수 없
으며 경기는 그대로 진행되어야 한다.
⑤ 결코 관중에게 묻거나 그들을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⑥항상 코트의 임원들을 주시하여야한다.
20. 서비스저지에 관한 지침
① 서비스 저지는 주심의 맞은편 포스트 옆에 위치하며 낮은 의자에 앉아야한다.
② 서비스 저지는 서버의 정확한 서비스가 행하여 지는가를 심판하는 책임을 진다.
규칙이 위반 되었을 때는 폴트 라고 크게 콜하고 위반된 항목의 공인된 시그널
을 행한다.
③ 다음은 공인 된 핸드 시그널이다.
-11-
④ 주심과 서비스 저지는 원활한 경기운영을 위하여 상호간에 협의하여 업무를
변경 조정 할 수 있다.
21. 라인저지에 관한 지침
① 라인저지는 라인의 끝과 옆의 연장된 지점에 위치하여야 하며 주심의 맞은편 쪽을 앉는다.
② 라인저지는 할당된 라인에 전적인 책임을 진다.
셔틀콕이 아웃이 되면 즉시 아웃이라고 명확하게 콜하고 선수와 관중 그리고
심판이 볼 수 있도록 두팔을 펼쳐 시그널을 행한다.
셔틀콕이 인 이면 콜을 하지 않고 오른손으로 그선을 가르킨다.
③ 만약 보지 못하였으면 양손으로 두 눈을 가리는 시그널을 심판에게 보낸다.
④ 셔틀콕이 바닥에 떨어질때까지 어떠한 시그널도 해서는 안된다.
⑤ 항상 콜은 분명하고 명확하여야 하며 예상하여 사전에 경정해서는 절대 안된다. 혹 선수가 그 셔틀콕을 칠 수 있기 때문이다.
-12-
☞ 배드민턴 랠리 포인트 시스템 규정요약
1. 개 요 : 국제배드민턴연맹은 2006년 5월 6일 국제연맹 정기총회(일본,동경)에서 ‘서브권이 없어도 득점’할 수 있는 ‘랠리포인트제’로 배드민턴 경기 규정 을 변경함. 따라서, 이후 열리는 모든 국내,국제대회에 아래 규정을 적용 함.
2. 랠리포인트제 주요 내용 ;
- 21점 랠리포인트 시스템 점수제 (3게임 2선승제)
※ 단, 초등부는 17점까지 경기함
- 복식 서비스 권한 한번으로 실시
3. 적용 시점 : 2006년 5월 6일부터
4. 랠리포인트제 규정 설명
(1) 득점(스코어링 시스템)
① 3게임(2게임 선취시 승리)을 원칙으로 하며 한 게임 21점을 선취한 편이 승리한다.
② 해당 랠리에서 이긴편이 득점한다.
③ 20:20 동점(초등부-16:16)인 경우 2점을 연속하여 득점한 편이 승리하며 29:29(초등부-24:24)인 경우 30점(초등부-25점)에 먼저 도달한 편이 승리한다.
(2) 코트의 변경
첫 번째 게임 종료후와 세 번째 게임 시작 전 그리고 세 번째 게임을 할 경우 11점 (초등부-9점)을 선취시 코트를 변경 한다.
(3) 단식 경기 방식
① 서버가 포인트를 얻지 못했거나 점수가 짝수인 경우는 우측에서, 점수가 홀수인 경우는 좌측에서 서비스 한다.
② 리시버는 서버의 대각선 위치의 코트에서 리시브한다.
(4) 복식 경기 방식
① 서비스 및 리시브
㉮ 서버가 포인트를 얻지 못했거나 점수가 짝수인 경우는 우측에서, 점수가 홀수인 경우는 좌측에서 서비스 한다.
㉯ 서버로부터 서비스 코트의 대각선 위치에 선 선수가 리시버가 된다.
㉰ 리시버 쪽의 선수는 해당선수쪽이 서비스하여 점수를 얻기전까지 서로코트 위치를 바꾸지 않는다.
② 스코어링(Scoring) 및 서비스 권한
㉮ 리시브측이 폴트를 범하거나 범실에 의해 중단된 경우 서비스측은 점수를 획득하며 서버는 다시 서비스를 한다.
㉯ 서비스측이 폴트를 범하거나 범실에 의해 중단된 경우 리시브한 편이 점수를 획득하며 리시버쪽이 서버가 된다.(한쪽편에 한 번의 서비스 권한을 부여)
-13-
③ 서빙(Serving)
- 어떠한 게임에서도 서비스 권한은 아래와 같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 오른쪽 서비스 코트에서 경기를 시작한 최초의 서버로부터
㉯ 선 리시버의 파트너에게로 넘어감. 이때 서비스는 왼쪽 서비스 크트로부터 시작
㉰ 먼저 서비스한 편의 해당 점수에 부합되는 코트에 위치한 선수에게로
㉱ 먼저 리시브한 편의 해당 점수에 부합되는 코트에 위치한 선수에게로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반복 됨.
(5) 경기중 인터발(Interval)
① 각 게임중 한쪽편이 11점(초등부-9점)에 먼저 도달할 경우 60초이내 인터발
② 1게임과 2게임사이, 2게임과 3게임사이에 120초 이내의 인터발이 허용된다.
(6) 어드바이스(지도) 및 코트에서의 이탈
① 셔틀이 경기진행 중이 아닌 경우에만 선수는 경기중 지도를 받을 수 있다.
② 경기 종료시까지 경기자는 심판의 동의 없이 코트를 떠날 수 없다.
-14-
- 참 고 문 헌 -
책이름: 올림픽 금메달 리스트 방수현의
배드민턴 교본
저자: 방수현 엮음
출판사: 예가
출판일: 2004.08.20
- 참 고 싸 이 트 -
대한 배드민턴 협회
http://www.koreabadminton.org/download/2007%20laws%20of%20badminton.pdf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