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총회(대의원회)
2. 의결 사항 및 의결정족수
2. 의결 사항 및 의결정족수
본문내용
정과 변경, 임원의 선거, 단체협약, 예산과 결산, 기금의 설치 등, 연합단체의 설립과 가입, 합병, 분할 또는 해산, 조직형태의 변경 기타 중요한 사항이다(§16 ①). 이 외에도 규약으로 총회의 의결사항을 정할 수 있다.
나. 의결정족수
총회에서 의결할 때 일반의결정족수는 재적조합원 과반수 이상 출석과 출석조합원 과반수 이상 찬성이고(§16②), 특별의결정족수는 재적조합원과반수 이상 출석과 출석조합원 2/3 이상 찬성이 필요한 경우로 규약의 제정과 변경, 임원의 해임, 합병ㆍ해산ㆍ조직형태변경(§16② 단서)이 있다. 대의원회에서의 의결정족수는 당연히 대의원수를 기준으로 한다.
재적조합원 과반수 이상 찬성이 필요한 경우로는 쟁의행위결의(§41 ①)가 있는데, 그 결의는 대의원회로 대신할 수 없다.
나. 의결정족수
총회에서 의결할 때 일반의결정족수는 재적조합원 과반수 이상 출석과 출석조합원 과반수 이상 찬성이고(§16②), 특별의결정족수는 재적조합원과반수 이상 출석과 출석조합원 2/3 이상 찬성이 필요한 경우로 규약의 제정과 변경, 임원의 해임, 합병ㆍ해산ㆍ조직형태변경(§16② 단서)이 있다. 대의원회에서의 의결정족수는 당연히 대의원수를 기준으로 한다.
재적조합원 과반수 이상 찬성이 필요한 경우로는 쟁의행위결의(§41 ①)가 있는데, 그 결의는 대의원회로 대신할 수 없다.
키워드
추천자료
공무원 노동조합에 관한 고찰
임금의 형태와 노동조합,노사협력제도에 대하여
노동조합 설립신고는 어떻게 하는가
노동조합 활동이란 무엇인가
노동조합 재정에 대하여 논하라
노동조합의 재정
구직중인 근로자를 포함한 노동조합의 설립신고에 대한 비판적 검토
노동조합활동으로 인한 손해배상의 문제와 해결방안
[노사관계][신노사관계론][노사갈등][노사문화][노동조합][노사관계개선][노조]노사관계의 정...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에 대한 연구
친생자,혼인외자,양자,친양자로인정되는요건과법률상지위. 노동조합과노사협의회설립방안과기능.
한국노사관계와노동조합에 관하여
[일본노사관계, 산업공동화, 단체교섭, 복수노조]일본노사관계와 산업공동화, 일본노사관계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