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HRD란 무엇인가?
1. HRD의 정의
2. HRD의 개념
3. HRD의 목적
4. HRD의 구성요소
1) 개인 개발(Individual Development: Training, Education, Development)
2) 경력 개발(Career Development)
3) 조직 개발(Organizational Development)
4) 수행 관리(Performance Management)
Ⅲ. HRD의 변화
1. HRD 용어의 변화
2. HRD 태동의 세계적 측면
3. HRD 태동의 국내적 측면
4. 인적자원 관리의 발전단계별 측면
(HRD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사회적 변화흐름)
1)초기단계 : ~1930년대
2)발전단계 : 1930~1950년대
3)정착단계 : 1960년대~
Ⅳ. 결 어
Ⅱ. HRD란 무엇인가?
1. HRD의 정의
2. HRD의 개념
3. HRD의 목적
4. HRD의 구성요소
1) 개인 개발(Individual Development: Training, Education, Development)
2) 경력 개발(Career Development)
3) 조직 개발(Organizational Development)
4) 수행 관리(Performance Management)
Ⅲ. HRD의 변화
1. HRD 용어의 변화
2. HRD 태동의 세계적 측면
3. HRD 태동의 국내적 측면
4. 인적자원 관리의 발전단계별 측면
(HRD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사회적 변화흐름)
1)초기단계 : ~1930년대
2)발전단계 : 1930~1950년대
3)정착단계 : 1960년대~
Ⅳ. 결 어
본문내용
팅, 세계화 교육, 웹 활용을 통한 교육 강화 : 온라인교육, 사이버 교육 등으로 대표할 수 있다.
3. HRD 태동의 국내적 측면
HRD 태동을 국내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 분
년 도
주요 내용
1
1950년대~태동기
1957년 한국생산성본부(KPC)창립‘경영자 아카데미’개설
미8군내 한국인 종사자를 위한 훈련과정이 개설됨
2
1960년대
경제개발과 생산성 향상 운동기
-1962년 제1차 경제개발5개년 계획 실시
-ILO Project 기업교육실시
-1962:한국능률협회(KMA)탄생/한국표준협회(KSA)창립
-품질관리(QC)도입
-직업훈련법반포(1967)
-전국경제인연합회(KFI)창립
-한국경영자총연합회창립
3
1970년대
새마을운동과 HRD연동기
4
1980년대
경영환경 격변기
-Training Needs의 다양화
-계층, 직능, 과제별교육(다주제조합식 교육)
-조직개발훈련의 전성기:산악극기훈련, 신념화교육 등
5
1990년대
구조조정기
-경영관리, 리더십 교육 등
6
2000년대
지식사회진입과 평생학습시대
-2000년 3월:평생교육법 시행
-고용보험에 의한 직업능력개발확대
-경영성과창출을 위한 교육훈련
4. 인적자원 관리의 발전단계별 측면 (HRD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사회적 변화흐름)
현대사회에서 인간자원개발(HRD)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바 그 사회적 변화흐름들을
시기적으로 변화의 측면과 관련하여 검토해본다.
1)초기단계 : ~1930년대
아담스미스, 테일러, 과학적 관리법, 컨베이어시스템, 초기산업공학, 초기인간공학을 원천으로 능률, 생산성, 경제적 동기, 합리적 직무, 규율을 강조하며 새로운 인적자원관리의 측면으로 직무설계, 성과급, 과학적 선발 및 업무, 기능적 조직구조를 들 수 있다.
2)발전단계 : 1930~1950년대
세계공황, 호손공장의 실험, 사회학, 심리학을 원천으로, 만족감, 인적욕구, 동기부여, 자생적 조직을 강조하며, 커뮤니케이션, 상담, 제안제도, 민주적 리더십이 인적자원관리의 측면이라 할 수 있다.
3)정착단계 : 1960년대~
행동과학, 시스템이론, TQM을 원천으로, 성과, 만족감, 자기계발, 개인과 조직의 통합, 조직문화를 강조하며, 인력자원개발, 조직개발, 변화관리, 경력 개발 등이 새로운 인적자원관리의 측면이다.
Ⅳ. 결 어
지금까지 HRD란 무엇인지, 그리고 인간자원개발(HRD)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사회적 변화흐름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HRD는 무한경쟁의 경영환경 속에서 단지 우리 것만 잘하면 되는 것이 아닌, 세계 제일의 기업들과 경쟁을 하면서 생존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꼭 필요한 일이다. 최근 어느 경영진의 말처럼 “한 명의 천재가 10만 명을 먹여 살릴 수 있다”는 표현이 최근의 인재확보에 대한 단적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경을 초월한 무한경쟁의 세계화, 국제화의 경영환경에서 국가와 기업 및 모든 조직들이 지속적인 성장과 생존을 위해서는 HRD는 중요한 문제로서 잘 계획화된 프로그램의 수행으로 핵심인재의 확보와 개발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3. HRD 태동의 국내적 측면
HRD 태동을 국내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 분
년 도
주요 내용
1
1950년대~태동기
1957년 한국생산성본부(KPC)창립‘경영자 아카데미’개설
미8군내 한국인 종사자를 위한 훈련과정이 개설됨
2
1960년대
경제개발과 생산성 향상 운동기
-1962년 제1차 경제개발5개년 계획 실시
-ILO Project 기업교육실시
-1962:한국능률협회(KMA)탄생/한국표준협회(KSA)창립
-품질관리(QC)도입
-직업훈련법반포(1967)
-전국경제인연합회(KFI)창립
-한국경영자총연합회창립
3
1970년대
새마을운동과 HRD연동기
4
1980년대
경영환경 격변기
-Training Needs의 다양화
-계층, 직능, 과제별교육(다주제조합식 교육)
-조직개발훈련의 전성기:산악극기훈련, 신념화교육 등
5
1990년대
구조조정기
-경영관리, 리더십 교육 등
6
2000년대
지식사회진입과 평생학습시대
-2000년 3월:평생교육법 시행
-고용보험에 의한 직업능력개발확대
-경영성과창출을 위한 교육훈련
4. 인적자원 관리의 발전단계별 측면 (HRD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사회적 변화흐름)
현대사회에서 인간자원개발(HRD)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바 그 사회적 변화흐름들을
시기적으로 변화의 측면과 관련하여 검토해본다.
1)초기단계 : ~1930년대
아담스미스, 테일러, 과학적 관리법, 컨베이어시스템, 초기산업공학, 초기인간공학을 원천으로 능률, 생산성, 경제적 동기, 합리적 직무, 규율을 강조하며 새로운 인적자원관리의 측면으로 직무설계, 성과급, 과학적 선발 및 업무, 기능적 조직구조를 들 수 있다.
2)발전단계 : 1930~1950년대
세계공황, 호손공장의 실험, 사회학, 심리학을 원천으로, 만족감, 인적욕구, 동기부여, 자생적 조직을 강조하며, 커뮤니케이션, 상담, 제안제도, 민주적 리더십이 인적자원관리의 측면이라 할 수 있다.
3)정착단계 : 1960년대~
행동과학, 시스템이론, TQM을 원천으로, 성과, 만족감, 자기계발, 개인과 조직의 통합, 조직문화를 강조하며, 인력자원개발, 조직개발, 변화관리, 경력 개발 등이 새로운 인적자원관리의 측면이다.
Ⅳ. 결 어
지금까지 HRD란 무엇인지, 그리고 인간자원개발(HRD)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사회적 변화흐름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HRD는 무한경쟁의 경영환경 속에서 단지 우리 것만 잘하면 되는 것이 아닌, 세계 제일의 기업들과 경쟁을 하면서 생존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꼭 필요한 일이다. 최근 어느 경영진의 말처럼 “한 명의 천재가 10만 명을 먹여 살릴 수 있다”는 표현이 최근의 인재확보에 대한 단적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경을 초월한 무한경쟁의 세계화, 국제화의 경영환경에서 국가와 기업 및 모든 조직들이 지속적인 성장과 생존을 위해서는 HRD는 중요한 문제로서 잘 계획화된 프로그램의 수행으로 핵심인재의 확보와 개발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인적자원개발 지역정보체계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인적자원개발 전략과 방향
[논문]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국제교육협력의 조류와 과제
[사회복지]지역사회의 자원개발의 개념과 의미
인적자원개발의 개념과 직업교육의 경로, 인적자원개발과 경제 및 직업환경의 변화, 인적자원...
인적자원개발론
에너지 패러다임과 해양자원&개발의 이해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오해 - 경제적 효율성이 전부인가
[채용]채용의 의미, 기본방침, 채용의 효력발생시기, 채용과 채용전략, 채용제도, 채용과 채...
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하여 설명 하고 개발된 프로그램...
[국가 비전][국가 우주개발 비전][국가 과학기술시스템 비전][국가 인적자원개발 비전][국가 ...
[관광개발][관광][개발][관광자원개발][관광개발사업][관광개발전략][해양관광개발]관광자원...
ASTD를 통해 본 인적자원개발의 10대 트렌드에 대해 기술.
비공식적 인적자원개발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