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사의 명칭과 개념
2. 가사의 기원과 장르
(1) 기원
(2) 장르
3. 가사의 갈래와 내용
(1) 사대부가사
1) 강호생활의 즐거움
2) 정치적 패배와 회귀의지
3) 유교적인 이념과 도덕
4) 명승지와 유적지의 기행
5) 현실문제와 비판
(2) 서민가사
1) 현실적 모순의 폭로와 비판
2) 연정 및 신세한탄
3) 인생무상과 취락
4) 서민적인 소박한 꿈과 소망
(3) 閨房歌辭
1) 여성 교훈적인 가사
2) 생활 체험적인 가사
(4) 宗敎歌辭
(5) 개화가사
4. 가사의 형식
5. 가사의 史的 흐름
(1) 제1기 (形成期)
(2) 제2기 (發展期)
(3) 제3기 (變貌期)
(4) 제4기
(5) 제5기 (衰退期)
시조와 가사의 공통점 및 차이점
2. 가사의 기원과 장르
(1) 기원
(2) 장르
3. 가사의 갈래와 내용
(1) 사대부가사
1) 강호생활의 즐거움
2) 정치적 패배와 회귀의지
3) 유교적인 이념과 도덕
4) 명승지와 유적지의 기행
5) 현실문제와 비판
(2) 서민가사
1) 현실적 모순의 폭로와 비판
2) 연정 및 신세한탄
3) 인생무상과 취락
4) 서민적인 소박한 꿈과 소망
(3) 閨房歌辭
1) 여성 교훈적인 가사
2) 생활 체험적인 가사
(4) 宗敎歌辭
(5) 개화가사
4. 가사의 형식
5. 가사의 史的 흐름
(1) 제1기 (形成期)
(2) 제2기 (發展期)
(3) 제3기 (變貌期)
(4) 제4기
(5) 제5기 (衰退期)
시조와 가사의 공통점 및 차이점
본문내용
제4기
숙종조 이후로부터 개화기 전까지를 이른다. 제3기까지 가사문학은 그 본질태인 吟詠 위주로 향유되었고 <관동별곡> <서호별곡> 등 유명한 가사는 唱으로 불리었으나, 17세기 후기부터 한편으로는 吟詠化 가 강화되는 경향이 두드러졌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문 소리꾼에 의하여 歌唱歌辭가 유행되어 12가사와 같은 ‘歌辭의 歌詞化’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서민가사와 규방가사가 등장하고 천주교가사가 나타나는 등 가사문학의 작자와 향유층이 크게 확대되었다.
(5) 제5기 (衰退期)
개화기 이후로부터 일제시대 말, 즉 광복 직전까지이다. 만민 평등사상과 외세에 대한 저항의식의 고취 등 소위 개화사상을 담고 있는 동학가사가 처음 창작된 1860년을 그 출발점을 삼을 수 있다. 이 시기에는 개화와 구국을 주장하는 가사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시조와 가사의 공통점 및 차이점
시조와 가사는 조선 전기의 대표적 문학 양식으로서 작자층이 같다는 점 이외에도, 음수율과 음보율이 일치한다는 점에서도 그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정격 가사의 경우 그 종행 형식이 시조의 종장과 같다.
시조는 짧다고 하여 단가라 하고, 가사는 길다 하여 장가라 하였다. 시조는 구행수의 제한이 있지만, 가사는 4음보의 연속체로 제한이 없으며, 뿐만 아니라 가사는 경기체가 또는 교술민요에서 기원한 교술장르이지만, 시조는 향가 또는 속요에서 기원한 서정 장르이다.
참고문헌
김광순외,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김광순외, 「한국문학개론」, 경인문화사, 1996
박춘우외, 「한국문학의 이해」, 대구대학교출판부, 2001
숙종조 이후로부터 개화기 전까지를 이른다. 제3기까지 가사문학은 그 본질태인 吟詠 위주로 향유되었고 <관동별곡> <서호별곡> 등 유명한 가사는 唱으로 불리었으나, 17세기 후기부터 한편으로는 吟詠化 가 강화되는 경향이 두드러졌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문 소리꾼에 의하여 歌唱歌辭가 유행되어 12가사와 같은 ‘歌辭의 歌詞化’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서민가사와 규방가사가 등장하고 천주교가사가 나타나는 등 가사문학의 작자와 향유층이 크게 확대되었다.
(5) 제5기 (衰退期)
개화기 이후로부터 일제시대 말, 즉 광복 직전까지이다. 만민 평등사상과 외세에 대한 저항의식의 고취 등 소위 개화사상을 담고 있는 동학가사가 처음 창작된 1860년을 그 출발점을 삼을 수 있다. 이 시기에는 개화와 구국을 주장하는 가사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시조와 가사의 공통점 및 차이점
시조와 가사는 조선 전기의 대표적 문학 양식으로서 작자층이 같다는 점 이외에도, 음수율과 음보율이 일치한다는 점에서도 그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정격 가사의 경우 그 종행 형식이 시조의 종장과 같다.
시조는 짧다고 하여 단가라 하고, 가사는 길다 하여 장가라 하였다. 시조는 구행수의 제한이 있지만, 가사는 4음보의 연속체로 제한이 없으며, 뿐만 아니라 가사는 경기체가 또는 교술민요에서 기원한 교술장르이지만, 시조는 향가 또는 속요에서 기원한 서정 장르이다.
참고문헌
김광순외,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김광순외, 「한국문학개론」, 경인문화사, 1996
박춘우외, 「한국문학의 이해」, 대구대학교출판부, 2001
추천자료
[레포트]여성의 가사노동
조선시대의 문학(악장.국악.시조.가사)
[고전문학] 경기체가· 시조· 가사의 형성
경기체가·시조·가사의 형성
악장·경기체가·가사와시조의정착과성장
악장·경기체가·가사에 대하여
시대상황으로 보는 조선 후기 가사의 이해
[a+]조선시가론 [가사]
국문 시가의 새로운 양상 - 근대로의 이행기 시대의 ‘시조, 가사, 창가’를 중심으로
고려가요와 시조 잡가 가사 작품분석
사회등가사 등 개화가사의 문학사적 의의
송강(松江) 정철(鄭澈)의 생애와 가사를 통해 본 문학사상
『동경대전』-『용담유사』에서 바라본 수운 최제우(崔濟愚)의 동학사상(東學思想)과 가사문학
아이돌 가수들의 선정적인 노래가사 안무 복장은 청소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서술하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