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세철학의 특징과 의미
2. 성 아우구스티누스(St. Augustinus, 354~430)
3.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적 특징과 형성 과정
1)신앙과 이성
2)인간론
3)인식론
4)악의 문제
5)신의 나라와 땅의 나라(신국과 지상국)
6)역사의 의미
2. 성 아우구스티누스(St. Augustinus, 354~430)
3.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적 특징과 형성 과정
1)신앙과 이성
2)인간론
3)인식론
4)악의 문제
5)신의 나라와 땅의 나라(신국과 지상국)
6)역사의 의미
본문내용
하나님의 원수가 된 것들은 그 본성 때문이 아니라, 그 의지로 반대하기 때문이다. 그 의지가 그들이 선한 본성을 해하며, 본성을 해하지 않는 결함은 없다.
→성경에서는 하나님의 지배에 대항하는 것들을 하나님의 원수라고 부른다. 그들은 본성으로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에게 있는 결함 때문에 반대한다. 그러나 그들은 하나님을 해하지 못하고 자기들을 해할 뿐이다. 그들이 원수가 된 것은 하나님을 해할 힘이 있기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을 거스르겠다는 의지가 있기 때문이다.
◈13권-14하나님이 창조하신 사람은 어떠했으며, 사람은 자기의 의지를 행사함으로 어떤 상태에 빠졌는가?
→하나님은 모든 자연적 존재를 창조하시되, 그 결함을 창조하신 것은 아니므로 사람도 똑바르게 지으셨다. 그러나 사람이 자진해서 부패하고, 정죄된 후손을 낳았다....이와 같이 자유의지가 악용되었기 때문에 우리의 재난이 연쇄적으로 계속하게 되었고 인류는 마치 썩은 뿌리에서 출발한 듯이 그 처음 타락으로부터 끊임없이 계속된 불행 속을 인도되어 왔다. 다만 하나님의 은혜로 해방을 받은 자들은 둘째사망의 운명은 면한다.
◈14권-11 선하게 창조된 사람이 처음 타락해서 그 본성이 손상되었고 창조주만이 그 본성을 회복시키실 수 있다.
→하나님은 모든 일을 미리 아셨고, 따라서 사람이 죄를 지으리라는 것도 미리 아셨을 것이다....『신국론』
5)신의 나라와 땅의 나라(신국과 지상국)
신의 나라 (신국)
땅의 나라 (지상국)
신에 대한 사랑이 지배하는 나라로서
믿음, 소망, 사랑을 특색으로 하는 나라
자기에 대한 사랑이 지배하는 나라로서
잔인, 오만, 탐욕을 특징으로 하는 나라
내적인 신의 사람
외적인 땅의 사람
신을 향하고 신을 택하고 성령으로 거듭난 새사람
신을 등지고 자기를 택하고 육체에 매어 사는 낡은 사람
⇒신국과 지상국은 이념, 영성적인 것이지 현실 조직이나 체제가 아니기에 교회, 국가와 동일시 할 수 없다. 교인이라도 삶이 신을 등졌다면 땅의 나라에 속하는 사람이고 국가를 정의와 사랑으로 다스린다면 신의 나라에 속한 사람이다. 그러나 아우구스티누스는 국가는 참다운 정의를 실현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기독교만이 인간을 선한 시민으로 만들 수 있고, 기독교적 국가가 아니고는 참다운 정의를 실현하지 못하기에 교회만이 유일한 완전한 사회이고 국가보다 우위에 있다. 국가가 좋은 국가가 되려면 그 원리를 교회로부터 취해야 한다.(교회가 국가보다 우위)
6)역사의 의미
+역사는 신의 의로움을 드러낸다. 역사는 신이 정의를 실현하고 어떻게 선을 권장하고 악을 징벌하는가를 보여준다.
+역사는 신의 인류 구원사다. 신이 인류를 어떻게 구원했는지 보여준다.
+역사는 신의 작품이다. 신은 그의 예술인 역사를 통해 신국의 도래를 경고하며, 그의 영광과 권위를 드러낸다.
+역사의 최후목표는 신의 나라의 실현이다. 최후의 심판 이후에 전개될 후역사를 신의 나라로 묘사하고 있다.
⇒도덕성의 원리를 하나님에 대한 사랑이라고 제시하고 악이란 하나님으로부터의 일탈이라고 제시하여 인류를 두개의 커다란 진영으로 갈라서 본다. 하나님을 사랑하여 자기보다 하나님을 택하는 진영과 하나님보다 자기를 사랑하여 자기를 택하는 진영이 있는데 어느 진영에 속하냐는 의지의 성격에 달려있다. 인류의 역사를 이 두 원리의 변증법의 역사로 보고 하나는 예루살렘의 나라, 하나는 바빌로니아의 나라를 형성하여 대립하는 두 힘의 끊임없는 싸움으로 묘사한다.
예루살렘의 나라
바빌로니아의 나라
신국
아벨
선지자
예수님
천상교회
‘최후의 심판’
때 까지 전쟁
지상국
가인
서민
헤롯왕
현세
믿음. 소망. 사랑의 덕
특색
잔인, 교만, 강탈, 방탕
→성경에서는 하나님의 지배에 대항하는 것들을 하나님의 원수라고 부른다. 그들은 본성으로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에게 있는 결함 때문에 반대한다. 그러나 그들은 하나님을 해하지 못하고 자기들을 해할 뿐이다. 그들이 원수가 된 것은 하나님을 해할 힘이 있기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을 거스르겠다는 의지가 있기 때문이다.
◈13권-14하나님이 창조하신 사람은 어떠했으며, 사람은 자기의 의지를 행사함으로 어떤 상태에 빠졌는가?
→하나님은 모든 자연적 존재를 창조하시되, 그 결함을 창조하신 것은 아니므로 사람도 똑바르게 지으셨다. 그러나 사람이 자진해서 부패하고, 정죄된 후손을 낳았다....이와 같이 자유의지가 악용되었기 때문에 우리의 재난이 연쇄적으로 계속하게 되었고 인류는 마치 썩은 뿌리에서 출발한 듯이 그 처음 타락으로부터 끊임없이 계속된 불행 속을 인도되어 왔다. 다만 하나님의 은혜로 해방을 받은 자들은 둘째사망의 운명은 면한다.
◈14권-11 선하게 창조된 사람이 처음 타락해서 그 본성이 손상되었고 창조주만이 그 본성을 회복시키실 수 있다.
→하나님은 모든 일을 미리 아셨고, 따라서 사람이 죄를 지으리라는 것도 미리 아셨을 것이다....『신국론』
5)신의 나라와 땅의 나라(신국과 지상국)
신의 나라 (신국)
땅의 나라 (지상국)
신에 대한 사랑이 지배하는 나라로서
믿음, 소망, 사랑을 특색으로 하는 나라
자기에 대한 사랑이 지배하는 나라로서
잔인, 오만, 탐욕을 특징으로 하는 나라
내적인 신의 사람
외적인 땅의 사람
신을 향하고 신을 택하고 성령으로 거듭난 새사람
신을 등지고 자기를 택하고 육체에 매어 사는 낡은 사람
⇒신국과 지상국은 이념, 영성적인 것이지 현실 조직이나 체제가 아니기에 교회, 국가와 동일시 할 수 없다. 교인이라도 삶이 신을 등졌다면 땅의 나라에 속하는 사람이고 국가를 정의와 사랑으로 다스린다면 신의 나라에 속한 사람이다. 그러나 아우구스티누스는 국가는 참다운 정의를 실현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기독교만이 인간을 선한 시민으로 만들 수 있고, 기독교적 국가가 아니고는 참다운 정의를 실현하지 못하기에 교회만이 유일한 완전한 사회이고 국가보다 우위에 있다. 국가가 좋은 국가가 되려면 그 원리를 교회로부터 취해야 한다.(교회가 국가보다 우위)
6)역사의 의미
+역사는 신의 의로움을 드러낸다. 역사는 신이 정의를 실현하고 어떻게 선을 권장하고 악을 징벌하는가를 보여준다.
+역사는 신의 인류 구원사다. 신이 인류를 어떻게 구원했는지 보여준다.
+역사는 신의 작품이다. 신은 그의 예술인 역사를 통해 신국의 도래를 경고하며, 그의 영광과 권위를 드러낸다.
+역사의 최후목표는 신의 나라의 실현이다. 최후의 심판 이후에 전개될 후역사를 신의 나라로 묘사하고 있다.
⇒도덕성의 원리를 하나님에 대한 사랑이라고 제시하고 악이란 하나님으로부터의 일탈이라고 제시하여 인류를 두개의 커다란 진영으로 갈라서 본다. 하나님을 사랑하여 자기보다 하나님을 택하는 진영과 하나님보다 자기를 사랑하여 자기를 택하는 진영이 있는데 어느 진영에 속하냐는 의지의 성격에 달려있다. 인류의 역사를 이 두 원리의 변증법의 역사로 보고 하나는 예루살렘의 나라, 하나는 바빌로니아의 나라를 형성하여 대립하는 두 힘의 끊임없는 싸움으로 묘사한다.
예루살렘의 나라
바빌로니아의 나라
신국
아벨
선지자
예수님
천상교회
‘최후의 심판’
때 까지 전쟁
지상국
가인
서민
헤롯왕
현세
믿음. 소망. 사랑의 덕
특색
잔인, 교만, 강탈, 방탕
추천자료
논문-라인홀드 니이버의 인간관(기독교관련)
안락사의 정의와 그 이해 그리고 기독교 적인 접근방법
우리 사회 소수자들의 아픔과 기독교
플라톤 사상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
체세포 복제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과 윤리적 입장
생태 윤리(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접근)
자연법과 계몽주의 사상이 기독교에 미친 영향
종교개혁 후 유럽, 북미지역의 기독교발전 과정 고찰
재현의 위기 속에서 기독교적 담론은 가능한가 ― 포스트모던과 신학적인 실천적 담론으로의 ...
독후감 C.S. Lewis의 순전한기독교를 읽고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에 대한 기독교적 조명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기독교적 자연관이 지구적 생태위기의 근원이다 - ‘린 화이트 테제...
<플라톤과 바울> 헬라 사상이 기독교 영성에 끼친 영향 (플라톤주의의 발전과 플라톤주의의 ...
유전자 치료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