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유비쿼터스란?
[2]유비쿼터스의 실현?
[3]각국의 유비쿼터스의 실현 전략
[4]각국의 기업전략
[5].유비쿼터스의 핵심기술 5가지
[6]내가 나아가야 할방향
[7]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문제점
[8]결론
[2]유비쿼터스의 실현?
[3]각국의 유비쿼터스의 실현 전략
[4]각국의 기업전략
[5].유비쿼터스의 핵심기술 5가지
[6]내가 나아가야 할방향
[7]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문제점
[8]결론
본문내용
되는‘영화 같은 일’이 일어날지도 모르는 일이다. 실제로 원자력발전소의 중앙급전사령실 컴퓨터에 바이러스가 유포되거나 병원의 전산시스템이 오작동 된다면 커다란 재앙이 닥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모든 개인정보가 노출되어 사생활을 보장받지 못하게 된다. 얼마 전 전자주민등록증 도입 문제로 시민단체와 정부의 열띤 공방이 있었다. 플라스틱 주민등록증 하나로 신분 확인 및 당사자의 모든 신상 정보를 알 수 있는 전자주민증은 인권 문제까지 논의될 정도로 큰 관심거리였다. 또한 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도입 문제로 교육부와 교육관련 단체의 공방이 아직까지도 계속 되고 있다.
전자주민증과 NEIS는 개인정보의 유출로 인한 사생활 침해 및 인권문제가 가장 크게 대두되었던 사회적 이슈다.
그러나 정작 유비쿼터스 환경이 된다면 우리의 우려보다 훨씬 쉽게 개인의 정보가 유출되고 때에 따라서는 악용될 소지가 다분하기 때문에 반드시 해결해야 될 숙제다.
그러나 이러한 사항은 어떠한 시스템을 개발해도 100% 안심할 수 없다. 어느 시스템에나 옥에 티는 있는 법이다.
그렇다면 유비쿼터스 시대에 대비하여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신기술의 도래는 늘 상업적 응용과 함께 범죄에의 악용이라는 예기치 않았던 부작용을 수반했다. 가장 최근의 예를 보아도 인터넷은 정보의 공유나 생산성 향상과 같은 순기능 외에 인터넷 대란과 같은 사이버 테러나 개인정보를 악용한 사기, 프라이버시 침해사고와 같은 사이버범죄라는 역기능을 가져왔다. 이에 대해 신기술에 대한 회의론자들은 목소리를 높여 미래에 대한 불안을 증폭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막연한 불안을 해소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는 정보보호가 한 몫을 할 것이다. 흔히 정보보호라고 할 때 암호기술 방화벽과 같은 기술적 측면만이 강조된다.
그러나 진정한 정보보호는 정보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새로운 수요를 정확히 예측하고 이에 맞춰 법과 제도 등 정책적 해결책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해결책도 함께 추진하는 것이다.
다가오는 유비쿼터스 시대는 미지의 낙원이다. 이미 정부에서 IT 신 성장 동력 산업에서 발표한 것과 같이 오늘날의 사회 환경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세계다. 정보보호 학자들은 지난 20년간 안전한 지식 정보사회의 구축을 위해 꾸준한 노력을 해왔지만 오늘날의 컴퓨팅 환경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유비쿼터스 시대에 대비해 이제 정보보호의 개념 정립부터 다시 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우리는 유비쿼터스가 실현되는 미래사회의 두 얼굴을 정확히 보아야 한다. 기술의 발전이 가져다주는 달콤함에 녹아 변화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지도 못한 채 적응해 간다면 언젠가는 더 큰 혼란이 닥칠 것이다. 현재 여러 분야에서 문제점으로 제시되는 것을 수많은 시뮬레이션 통해 발견하고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책을 세운다면 문제들을 하나씩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어두운 면만을 보고 더 큰 이득을 져버린다면 이는 무엇보다도 큰 손실일 것이다. 유비쿼터스가 주는 혜택은 최대한 활용하고 기술이 일으킨 문제는 기술을 통해 해결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모든 개인정보가 노출되어 사생활을 보장받지 못하게 된다. 얼마 전 전자주민등록증 도입 문제로 시민단체와 정부의 열띤 공방이 있었다. 플라스틱 주민등록증 하나로 신분 확인 및 당사자의 모든 신상 정보를 알 수 있는 전자주민증은 인권 문제까지 논의될 정도로 큰 관심거리였다. 또한 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도입 문제로 교육부와 교육관련 단체의 공방이 아직까지도 계속 되고 있다.
전자주민증과 NEIS는 개인정보의 유출로 인한 사생활 침해 및 인권문제가 가장 크게 대두되었던 사회적 이슈다.
그러나 정작 유비쿼터스 환경이 된다면 우리의 우려보다 훨씬 쉽게 개인의 정보가 유출되고 때에 따라서는 악용될 소지가 다분하기 때문에 반드시 해결해야 될 숙제다.
그러나 이러한 사항은 어떠한 시스템을 개발해도 100% 안심할 수 없다. 어느 시스템에나 옥에 티는 있는 법이다.
그렇다면 유비쿼터스 시대에 대비하여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신기술의 도래는 늘 상업적 응용과 함께 범죄에의 악용이라는 예기치 않았던 부작용을 수반했다. 가장 최근의 예를 보아도 인터넷은 정보의 공유나 생산성 향상과 같은 순기능 외에 인터넷 대란과 같은 사이버 테러나 개인정보를 악용한 사기, 프라이버시 침해사고와 같은 사이버범죄라는 역기능을 가져왔다. 이에 대해 신기술에 대한 회의론자들은 목소리를 높여 미래에 대한 불안을 증폭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막연한 불안을 해소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는 정보보호가 한 몫을 할 것이다. 흔히 정보보호라고 할 때 암호기술 방화벽과 같은 기술적 측면만이 강조된다.
그러나 진정한 정보보호는 정보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새로운 수요를 정확히 예측하고 이에 맞춰 법과 제도 등 정책적 해결책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해결책도 함께 추진하는 것이다.
다가오는 유비쿼터스 시대는 미지의 낙원이다. 이미 정부에서 IT 신 성장 동력 산업에서 발표한 것과 같이 오늘날의 사회 환경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세계다. 정보보호 학자들은 지난 20년간 안전한 지식 정보사회의 구축을 위해 꾸준한 노력을 해왔지만 오늘날의 컴퓨팅 환경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유비쿼터스 시대에 대비해 이제 정보보호의 개념 정립부터 다시 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우리는 유비쿼터스가 실현되는 미래사회의 두 얼굴을 정확히 보아야 한다. 기술의 발전이 가져다주는 달콤함에 녹아 변화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지도 못한 채 적응해 간다면 언젠가는 더 큰 혼란이 닥칠 것이다. 현재 여러 분야에서 문제점으로 제시되는 것을 수많은 시뮬레이션 통해 발견하고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책을 세운다면 문제들을 하나씩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어두운 면만을 보고 더 큰 이득을 져버린다면 이는 무엇보다도 큰 손실일 것이다. 유비쿼터스가 주는 혜택은 최대한 활용하고 기술이 일으킨 문제는 기술을 통해 해결해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