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현실 ․ 가상현실
2. 현실세계 주체
3. 가상현실의 주체
4. 실생활 속의 가상현실
5. 혼성 공간
6. 어느 것이 진짜 현실인가
7. 주체와 메시지
2. 현실세계 주체
3. 가상현실의 주체
4. 실생활 속의 가상현실
5. 혼성 공간
6. 어느 것이 진짜 현실인가
7. 주체와 메시지
본문내용
. 이번에는 그 자동 기계가 우리로 하여금 서로 연관성이 없이 각각 분리되어 있는 환각들이 아니라 하나의 집단적인 환각을 일으키도록 만들어져 있다고 상상해보자. 그런 상상 속에서는 내가 당신에게 말하고 있는 것처럼 내 스스로에게 보일 때, 당신에게는 당신이 나의 말을 듣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이 때 나의 말이 당신의 귀까지 실제로 다다르는 것은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당신에게는 실제의 귀가 없고 나에게는 입과 혀가 없기 때문이다. 내가 말을 내 뱉을 때 정말로 일어나는 일은 나의 뇌에서 발생한 전기 자극이 컴퓨터로 나가서 나는 나 자신의 음성을 '듣고', 내 혀의 움직임을 '느끼게' 하고, 당신은 내 말을 '듣고', 내가 말하는 것을 '보게' 하는 것들이다. 이 경우 어떤 의미에서는 당신과 나는 실제로 의사 소통을 한다고 할 수도 있다. 당신이 정말 존재한다는 나의 생각은 틀릴 수 없다. 어떤 관점에서 보면 '전세계'가 하나의 집단적인 환각이라 할지라도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말하고 듣는 기계적 과정이 우리가 평소 생각하는 바와는 다를지라도 내가 당신에게 무엇을 이야기 할 때 결국 당신은 정말로 나의 말을 듣고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7. 주체와 메시지
우리가 현실과 가상현실을 구분하고자 할 때 ‘현실이라고 하는 것’을 정의하자면 그 순간, 그 곳에서 자신이 ‘보고, 듣고, 느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어떤 일련의 사건이 일어났을 때 그 순간에 일어난 순수한 사건만을 현실이라고 보자는 것이다. 사람의 뇌가 현실을 인식하는 기구는 오감이다. 우리가 과거에 했던 일들은 하나의 이미지와 잔상으로서 우리의 머릿속에만 남아있다. 사진으로 찍어놓았던 과거를 다시 보아도 우리는 그 때의 상황을 똑같이 재현할 수 없고, 많은 자료를 통해서 재현하려 해도 우리가 받아들이는 그 기억은 우리의 머릿속에서 다시 재조합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것은 현실이 될 수 없는, 현실을 많이 반영한 가상현실일 뿐이다. 즉, 한 사람이 건네는 메시지는 다른 사람의 자아로서 변형되어 인식되기 때문에 화자가 전달하려고 하는 전체가 완벽히 청자에게 전달될 수 없다는 것이다. 메시지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정보의 왜곡과 변형이 될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명확한 메시지로서 상대에게 전달 될 수 없으므로 이것은 가상현실이라는 것이다. 즉, 명확한 메시지로서 주체가 인지한 바와 메시지가 같아야만 현실이라는 관점이다.
7. 주체와 메시지
우리가 현실과 가상현실을 구분하고자 할 때 ‘현실이라고 하는 것’을 정의하자면 그 순간, 그 곳에서 자신이 ‘보고, 듣고, 느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어떤 일련의 사건이 일어났을 때 그 순간에 일어난 순수한 사건만을 현실이라고 보자는 것이다. 사람의 뇌가 현실을 인식하는 기구는 오감이다. 우리가 과거에 했던 일들은 하나의 이미지와 잔상으로서 우리의 머릿속에만 남아있다. 사진으로 찍어놓았던 과거를 다시 보아도 우리는 그 때의 상황을 똑같이 재현할 수 없고, 많은 자료를 통해서 재현하려 해도 우리가 받아들이는 그 기억은 우리의 머릿속에서 다시 재조합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것은 현실이 될 수 없는, 현실을 많이 반영한 가상현실일 뿐이다. 즉, 한 사람이 건네는 메시지는 다른 사람의 자아로서 변형되어 인식되기 때문에 화자가 전달하려고 하는 전체가 완벽히 청자에게 전달될 수 없다는 것이다. 메시지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정보의 왜곡과 변형이 될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명확한 메시지로서 상대에게 전달 될 수 없으므로 이것은 가상현실이라는 것이다. 즉, 명확한 메시지로서 주체가 인지한 바와 메시지가 같아야만 현실이라는 관점이다.
추천자료
기독교와 사이버 문화
정보사회와 문화의 변화 - 인터넷과 가상공동체
[가상교육][가상교육 수업운영][미국 가상교육 사례]가상교육의 발전과정, 가상교육의 특성, ...
[인터넷문화] 사이버공간(Cyberspace)에서의 명예훼손에 관한 연구
사이버 성폭력(인터넷 성폭력)의 정의와 종류, 사이버 성폭력(인터넷 성폭력)의 실태와 규정...
원격교육과 가상교육 & 가상교육시스템
[가상사회(가상공간, 인터넷)][가상]가상사회(가상공간, 인터넷)의 필요성, 가상사회(가상공...
[가상조직][가상조직 개념][가상조직 구조][가상조직 유형][가상조직 전망]가상조직의 개념, ...
사이버공간(인터넷) 의미, 사이버공간(인터넷) 특징, 사이버공간(인터넷) 잠재력과 위험, 사...
[가상실험][가상실험 정의][실험수업][가상실험 특성][가상실험 유형][소프트웨어][관찰학습]...
사이버공간(인터넷) 특징,윤리원칙, 사이버공간(인터넷) 검열,규제, 사이버공간(인터넷) 사이...
사이버문화(인터넷문화) 성격과 공간, 사이버문화(인터넷문화) 주체와 주체성, 사이버문화(인...
[사이버공간(인터넷)]사이버공간(인터넷)의 개념과 특성, 사이버공간(인터넷)의 주체, 사이버...
[사이버공간(인터넷)]사이버공간(인터넷)의 개념, 사이버공간(인터넷)의 특성, 사이버공간(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