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 론
1. 참고면담의 의의
a. 참고면담의 정의
b. 참고면담의 필요성
Ⅱ. 본 론
1. 참고질문
a. 질문의 유형
- 지시형 질문
- 즉답형 질문
- 조사형 질문
- 연구형 질문
2. 참고면담과 커뮤니케이션
a. 참고면담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이론(인적)
b. 사서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육
c. 컴퓨터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의 특성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1. 참고면담의 의의
a. 참고면담의 정의
b. 참고면담의 필요성
Ⅱ. 본 론
1. 참고질문
a. 질문의 유형
- 지시형 질문
- 즉답형 질문
- 조사형 질문
- 연구형 질문
2. 참고면담과 커뮤니케이션
a. 참고면담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이론(인적)
b. 사서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육
c. 컴퓨터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의 특성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6. 도서관경영 전반에 도움을 줄수있는 보다 좋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긍적적인 면)
도서관은 컴퓨터와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자동화됨으로써 이전에는 제공하기 불가능했던 다양한 서비스를 지금은 제공할수 있게 된 것이다.
과거의 도서관 경영자들은 대출이나 편목과 같은 기존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정보기술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가 과제였다. 후기 계층조직 도서관 경영자들도 정보기술이 매우 새로운 어떤 것을 창출할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가를 과제로 삼았다. 예를 들면, 도서관이 어떻게 하면 [이용자들의]집에서 신문이나 잡지의 기사를 원격 탐색 할수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수 있을것인가 하는 등이다.
① 참고질문이 온라인에서 이루어 진다면 사서는 다소 여유를 가지고 삼사숙고한 후에 해답을 제공해 줄 수 있다.
② 온라인 이메일을 이용한다면 사서와 이용자가 상호작용한 내용의 기록을 보존할수 있으며 특히 해결하기 어려웠던 질문이나 동일 질문에 반복해서 접수될 때 이 기록을 다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③ 시, 공간의 제약없이 이용자는 가정이나 국외에서도 이용자가 편리할 때 언제든지 질문할 수 있다.
④ 전자우편은 일반 우편이나 전화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질문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부정적인 면)
오늘날의 사서들은 과거에 비해 더욱 외향적이어야 한다는 주장이 종종 제기되고 있다. 전문직들의 시간이 과거에는 기술업무에 소비된 반면, 오늘날에는 이용자서비스를 위해 더 많이 쓰여지고 있다는 사실이 어떤 면에서는 이와같이 주장을 정당화시켜준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설들이 현재 연수, 위원회, 회의 등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점이나, 보조직들이 현재 보다 많은 이ㅇ자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 도서관이용자들 스스로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등은 전문직 사서와 일반인간의 접촉 기회가 실제로는 오히려 감소했을것이라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일반인들과의 접촉시간 감소로 인하여 다수의 비전문직들은 도서관이 별로 마음에 들지않는 작업환경이 되었다고 느낄수다 있다.
Ⅲ. 결 론
과제를 준비하면서 몇권의 책을 읽고, 몇편의 논문을 읽어보았다. 그 결과 사서는 엄연히 전문직이며 그러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한가지 예로 위에서 조사한 표중에 이용자들이 방향적, 안내형, 즉답형 질문에 많이 비중을 두고 있다는 점을 보았다. 저번 과제를 할때 진보적 이론을 주장하였지만, 한편으로는 사서가 이용자를 위해 최고의 서비스도 필요하지만 그것을 위한 방법도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했었다. 만약 사서가 전문직으로 자리를 매김하려면 먼저 이용자 교육을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조사형과 연구형의 비율이 높아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최은주. 김석영 (1998). 정보기술과 도서관정보서비스. 서울: 구미무역주식회사출판부
2. 박준식. (2003). 참고정보원. 대구 : 태일사
3. 김명옥. (1997). 참고면담의 형태에 대해서, 도서관보, 18, 61-66
6. 도서관경영 전반에 도움을 줄수있는 보다 좋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긍적적인 면)
도서관은 컴퓨터와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자동화됨으로써 이전에는 제공하기 불가능했던 다양한 서비스를 지금은 제공할수 있게 된 것이다.
과거의 도서관 경영자들은 대출이나 편목과 같은 기존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정보기술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가 과제였다. 후기 계층조직 도서관 경영자들도 정보기술이 매우 새로운 어떤 것을 창출할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가를 과제로 삼았다. 예를 들면, 도서관이 어떻게 하면 [이용자들의]집에서 신문이나 잡지의 기사를 원격 탐색 할수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수 있을것인가 하는 등이다.
① 참고질문이 온라인에서 이루어 진다면 사서는 다소 여유를 가지고 삼사숙고한 후에 해답을 제공해 줄 수 있다.
② 온라인 이메일을 이용한다면 사서와 이용자가 상호작용한 내용의 기록을 보존할수 있으며 특히 해결하기 어려웠던 질문이나 동일 질문에 반복해서 접수될 때 이 기록을 다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③ 시, 공간의 제약없이 이용자는 가정이나 국외에서도 이용자가 편리할 때 언제든지 질문할 수 있다.
④ 전자우편은 일반 우편이나 전화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질문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부정적인 면)
오늘날의 사서들은 과거에 비해 더욱 외향적이어야 한다는 주장이 종종 제기되고 있다. 전문직들의 시간이 과거에는 기술업무에 소비된 반면, 오늘날에는 이용자서비스를 위해 더 많이 쓰여지고 있다는 사실이 어떤 면에서는 이와같이 주장을 정당화시켜준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설들이 현재 연수, 위원회, 회의 등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점이나, 보조직들이 현재 보다 많은 이ㅇ자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 도서관이용자들 스스로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등은 전문직 사서와 일반인간의 접촉 기회가 실제로는 오히려 감소했을것이라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일반인들과의 접촉시간 감소로 인하여 다수의 비전문직들은 도서관이 별로 마음에 들지않는 작업환경이 되었다고 느낄수다 있다.
Ⅲ. 결 론
과제를 준비하면서 몇권의 책을 읽고, 몇편의 논문을 읽어보았다. 그 결과 사서는 엄연히 전문직이며 그러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한가지 예로 위에서 조사한 표중에 이용자들이 방향적, 안내형, 즉답형 질문에 많이 비중을 두고 있다는 점을 보았다. 저번 과제를 할때 진보적 이론을 주장하였지만, 한편으로는 사서가 이용자를 위해 최고의 서비스도 필요하지만 그것을 위한 방법도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했었다. 만약 사서가 전문직으로 자리를 매김하려면 먼저 이용자 교육을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조사형과 연구형의 비율이 높아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최은주. 김석영 (1998). 정보기술과 도서관정보서비스. 서울: 구미무역주식회사출판부
2. 박준식. (2003). 참고정보원. 대구 : 태일사
3. 김명옥. (1997). 참고면담의 형태에 대해서, 도서관보, 18, 61-6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