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어의 장·단형 부정문이 서로 대치될 수 없는 경우를 설명하시오.
2. 보문과 관계문에 대해 예와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3. 구접속과 문접속의 예를 들고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4. 한국어의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를 설명하시오.
5. 조사와 어미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6. 이중주어문에 대한 가능한 해석들을 설명하시오.
7. 계사의 특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2. 보문과 관계문에 대해 예와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3. 구접속과 문접속의 예를 들고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4. 한국어의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를 설명하시오.
5. 조사와 어미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6. 이중주어문에 대한 가능한 해석들을 설명하시오.
7. 계사의 특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
셋째, 그리고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 다음에서는 어간 ‘이-’가 대부분의 경우 겉으로 드러나지도 않는다.
넷째로 계사는 동사 보다는 형용사에 가까운 활용체계를 보이는데, 명령형 어미나 청유형 어미를 취하지 못하고, ‘-ㄴ다’나 ‘-ㄴ’과 같은 어미대신 ‘-다’와 ‘-ㄴ’과 같은 어미를 취한다는 점에서 형용사와 일치한다.
다섯 번째 계사의 특성은 계사 ‘이-’와 과거 시제의 어미 ‘었-’이 만나면 ‘였’으로 축약되고, ‘-이’ 다음의 ‘다’는 ‘라’로 바뀌며 조사다음에도 계사가 결합될 수 있다.
마지막 여섯 번째로 계사는 그에 대응되는 부정문을 만들때 용언과는 다른 방식을 취한다. ‘이-’ 자리에 ‘아니-’가 들어가는 것이나, 계사 ‘이-’와 그 앞의 명사 사이에 주격조사 ‘이/가’가 첨가된다.
셋째, 그리고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 다음에서는 어간 ‘이-’가 대부분의 경우 겉으로 드러나지도 않는다.
넷째로 계사는 동사 보다는 형용사에 가까운 활용체계를 보이는데, 명령형 어미나 청유형 어미를 취하지 못하고, ‘-ㄴ다’나 ‘-ㄴ’과 같은 어미대신 ‘-다’와 ‘-ㄴ’과 같은 어미를 취한다는 점에서 형용사와 일치한다.
다섯 번째 계사의 특성은 계사 ‘이-’와 과거 시제의 어미 ‘었-’이 만나면 ‘였’으로 축약되고, ‘-이’ 다음의 ‘다’는 ‘라’로 바뀌며 조사다음에도 계사가 결합될 수 있다.
마지막 여섯 번째로 계사는 그에 대응되는 부정문을 만들때 용언과는 다른 방식을 취한다. ‘이-’ 자리에 ‘아니-’가 들어가는 것이나, 계사 ‘이-’와 그 앞의 명사 사이에 주격조사 ‘이/가’가 첨가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