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사 삼국지속 종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사 삼국지속 종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유교 - 유교이념의 정치적실현 ‧ 2
1. 한제국의 충․효사상
2. 지배층과 관리등용제도의 변화
3. 유학의 국가채택과 의미
4. 내․외번의 통치제도

도교-태평의 이상, 원시도교 ‧ 5
1. 도교 성립의 사상사적 배경
2 도교의 성립
3. 병의 치료 - 현실적 구제
4. 원시도교와 불교

불교 - 중국 불교의 초전기 ‧ 11
1. 위의 불교
2. 오의 불교

결론

본문내용

손호는 성품이 거칠고 포악하여 불교의 심오한 가르침을 알 수 없었으므로 오직 인과응보만을 설하여 그의 마음을 열고자 하였다.
이상에서 서술한 강승회에 관한 전기 중에는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고 생각되는 것이 많다. 건업으로 온 후 사리의 감응으로 건초사를 세운 것이 강남에서 불법이 일어나게 된 시초라고 하는 것도 사실이 아니다. 또 손호가 塔廟를 불태우려 했던 사실은 아마도 吳書의 손침전 가운데, 손침이 민간신앙의 神을 업신여거 大橋頭의 伍子胥廟를 불태웠던 것이나, 浮圖祠를 파괴하고 道人을 목베었다고 하는 역사적 사실을 손호에게 갔다붙여 「康僧會傳」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손호를 난폭한 군주로 事蹟을 僞作하고, 마침내 불법에 귀의하여 오계를 받았다고 하는 전설로 날조한 것 같다.
또한 강승회는 교주(交州)서 불교를 배웠으며, 오나라 도읍에서 변역활동에 종사하였는데, 삼국의 吳나라 시대의 교주에는 천축 사람들을 비롯하여 많은 외국인들이 머무르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교지태수(交趾太守)였던 사섭(士燮)의 전기 진수, 「士燮傳」,『正史 삼국지』吳書 1권, 1994, p.125.
를 보면, 사섭(士燮) 형제는 행렬할 때 종과 경쇠를 울려 위의(威儀)를 바로 하고 피리를 불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또한 호인이 곡()(수레바퀴통)을 끼고, 향을 피우는 자가 항상 수십 인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특히 향을 사루는 행사가 행해졌다는 것에서 그 호인들이 불교승려였는지도 모른다. 당시 중국에는 향을 사루는 풍습이 없었으므로 이것은 천축의 관행이 교주지방에서 행해졌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Ⅲ. 결 론
지금까지 『삼국지』를 통해 어떻게 그 당시의 종교들이 나타났는가를 살펴보았고, 각각의 종교에 대해, 삼국시대가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알아보았다.
기본적인 유교개념은 이미 중국인들 속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유교부분에서 언급했지만, 유교개념은 통치이념으로서도, 통치체제로서도 바탕이 되어왔고, 피지배자층 뿐만 아니라 지배자층까지도 유교사상을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즉, 삼국지에서 보이는 이념으로서의 유교는 대표적으로 유비에게 충성하고 의리를 지키는 관우의 모습으로 생각된다. 유교는 또한 앞에서는 생략했지만, 덕과 은혜를 가지고 하늘의 명을 받은 천자가 나라를 다스릴 수 있다는 천명사상으로 대표된다. 이러한 천명사상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중국인의 중화사상의 기본뿌리라고 할 수 있다.
삼국시대에 도교는 시대적 상황 때문에 민심을 잡을 수 있었고, 세력을 넓힐 수 있었다. 또한 이때는 불교가 막 전파되고, 성립되는 시대였기 때문에 입지를 굳히기 위해서라도 당연히 토착 종교인 도교와 많은 영향을 받으며 관련성을 띄고 있다고 보여진다.
첫째, 불교부분에서 다루었던 오두미도(五斗米道)의 의미(義米)나 의육(義肉)은 불교의 시식(施食)을 생각나게 한다.
두번째, 태평도의 간길이 행하였던 것으로 여겨지는 소향(燒香)의 문제이다. 「江表傳」『後漢書』권30下 에는,
精舍를 세워 燒香하고, 도서를 읽었으며, 符水를 제작하여 이것으로 병을 치료하였다.
라고 나와있다. 간길이 세운 정사가 어떤 것이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불교측의 전통적인 해석으로는 난폭한 자가 있을 수 없는 곳이 정사인 듯하다. 물론 이런 소향이라는 종교 행위가 불교에서 행해진 것인지는 문제가 있지만, 분명히 고대의 관습에는 소향이 없었으며, 불교에서 전래된 소향의 영향으로 간길은 향을 피웠다고 생각할 수 있다.
세 번째, 도서의 독송에 대한 문제이다. 불교에서의 경전 독송이 오두미도에서 『노자도덕경』을 교도들에게 도습(都習)시켰다는 사실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간단히 결정하기 어렵다. 도습이라고 하므로, 교도 전원이 익혔던 것 같다. 물론 확정할 수는 없지만, 송경(誦經)이라는 종교행위는 불교승려의 도래와 함께 필연적으로 수반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물론 삼국시대에는 유교가 퇴색하고 도교가 잠시 발전을 이루었지만, 그 발전은 오래가지 못했으며 불교가 새로 받아들여지던 시기였고, 곧 서진 시대부터 불교는 활성화되어 적극적으로 수용하게된다. 그러나 짧았던 삼국시대에는 지배층이 기득권을 계속 유지하려했고, 통일을 이루려고 했기 때문에 오랜 유교를 사상적 바탕으로 삼았고, 또한 통일되지 않았던 시기였기에 가능했던 새로운 종교의 유입과 토착종교의 성립과 발전 등이 동시대(同時代)에 공존할 수 있었다고 본다. 이러한 통일되지 못한 분열된 상황이었기 때문에 유교를 바탕으로 불교와 도교를 자연스럽게 융합하고, 공존시키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받아들여졌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陳壽, 『正史 삼국지』 魏書 1권,2권,3권, 吳書 6권, 신원문화사, 1994.
중국철학회, 『중국철학의 이단자들』, 예문서원, 2000.
이춘식, 『中華思想의 理想』, 신서원, 2002.
鎌田茂雄(카마타 시게오), 『中國佛敎史 -初傳期의 불교 1』, 장승, 1993.
목 차
Ⅰ. 서론 1
Ⅱ. 본론 2
유교 - 유교이념의 정치적실현 2
1. 한제국의 충효사상 ………………………………………………………2
2. 지배층과 관리등용제도의 변화 …………………………………………3
3. 유학의 국가채택과 의미 …………………………………………………4
4. 내외번의 통치제도 ………………………………………………………4
도교-태평의 이상, 원시도교 5
1. 도교 성립의 사상사적 배경 ………………………………………………6
2 도교의 성립
가. 태평도 ……………………………………………………………………6
※ 황건적의 난 ……………………………………………………………8
나. 오두미도 …………………………………………………………………9
3. 병의 치료 - 현실적 구제 …………………………………………………10
4. 원시도교와 불교 ……………………………………………………………10
불교 - 중국 불교의 초전기 11
1. 위의 불교 ……………………………………………………………………12
2. 오의 불교 ……………………………………………………………………12
가. 지겸 ………………………………………………………………………13
나. 강승회 ……………………………………………………………………14
Ⅲ. 결론 15
참고문헌 16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11.19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27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