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기말고사 2회
2. 학기말고사 2회 정답
2. 학기말고사 2회 정답
본문내용
밤 9시~11시
20. ‘日出於東方’에서 ‘於’의 풀이는 ?
① ~보다
② ~의
③ ~에서
④ ~에게
21. ‘日入於西方’의 새김 차례대로 번호를 쓰시오.
①②③④⑤
22. 다음 중 형성자가 아닌 것은 ?
① 破
② 間
③ 苦
④ 紙
⑤ 頭
23. ‘明月’과 짜임이 같은 것은 ?
① 飛鳥
② 望鄕
③ 有情
④ 夜深
⑤ 耕田
24. 다음 문장의 짜임을 나타낼 때, 필요하지 않은 기호를 모두 고르시오.
學 生 讀 書
① =
② │▲
└┘
③ ∥
④
⑤ /
25. ‘讀’의 음이 다른 하나는 ?
① 音讀
② 讀破
③ 句讀
④ 讀書
⑤ 愛讀
26. ‘事’의 뜻이 ‘섬기다’로 쓰인 것은 ?
① 事理
② 事實
③ 事故
④ 事親
⑤ 事務
27. 다음의 내용과 거리가 먼 한자 둘은 ?
우리가 공부하는 목적은 지혜로운 슬기를 얻고, 남을 이해하고 용서하는 너그러운 마음을 기르며, 튼튼한 몸을 유지하는 데 있다고 한다.
① 智
② 體
③ 德
④ 勇
⑤ 愛
28. 한자의 뜻이 바른 것은 ?
① 知 : 지혜
② 體 : 용기
③ 眞 : 착함
④ 黑 : 흑
⑤ 仁 : 어짊
29. 다음 중 형성자인 것은 ?
① 衣
② 間
③ 價
④ 才
⑤ 母
30. 다음 중 낱말을 한자로 옮긴 것이 잘못된 것은 ?
① 교장 → 校長
② 개교 → 開敎
③ 교육 → 敎育
④ 설교 → 說敎
31. 부수획수가 맞는 것은 ?
① 揚(手, 8)
② 知(口, 5)
③ 眼(目, 7)
④ 傳(人, 11)
32. 교과목을 한자로 쓴 것이 틀린 것은 ?
① 한문 → 漢文
② 도덕 → 道德
③ 음악 → 意樂
④ 과학 → 科學
33. ‘서술어+목적어’의 짜임인 것은 ?
① 報恩
② 本末
③ 明白
④ 意氣
34. 다음 중 ‘樂’의 음이 ‘락’으로 읽히는 것은 ?
① 音樂
② 苦樂
③ 樂園
④ 樂水
35. 한자의 부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
① 歲 - 止
② 顔 - 形
③ 間 - 日
④ 限 - 邑
⑤ 特 - 手
36. 다음 내용에 합당한 성어를 한자로 쓰시오.
추호(秋毫)도 틀림없이 아주 명백함 ─── □□□□
37. 뜻이 비슷한 한자끼리 짝지어진 것은 ?
① 由 - 在
② 家 - 戶
③ 來 - 事
④ 難 - 助
⑤ 形 - 色
38. 한자어의 짜임이 다른 하나는 ?
① 深夜
② 高天
③ 行政
④ 靑山
⑤ 明月
39. 음이 같은 한자끼리 짝지어진 것은 ?
① 勞 - 勤
② 硏 - 年
③ 太 - 代
④ 海 - 惠
⑤ 飛 - 非
40. 다음 중 풀이 순서가 다른 하나는 ?
① 治山治水
② 相扶相助
③ 樂山樂水
④ 難兄難弟
⑤ 有口無言
41. 다음 낱말을 한자로 바르게 쓴 것은 ?
① 필부 - 四夫
② 민가 - 民問
③ 유래 - 甲來
④ 행복 - 幸福
⑤ 고향 - 古鄕
42. 한자의 부수와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획수가 바른 것은 ?
① 來(人, 7획)
② 才(十, 1획)
③ 在(士, 3획)
④ 有(月, 2획)
⑤ 春(三, 6획)
43. 문장의 구조가 다른 하나는 ?
① 兒讀書
② 夫耕田
③ 人有情
④ 子事父
⑤ 臣事君
44. 다음과 같은 원리에 의하여 만들어진 성어는 ?
같은 한자끼리 결합하여 이루어진 성어
보다 강하고 깊은 뜻으로 사물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냄
① 一石二鳥
② 燈下不明
③ 明明白白
④ 東問西答
⑤ 紙筆硯墨
45. 밑줄 친 뜻에 해당하는 4자 성어를 쓰시오.
그 일의 잘잘못을 가리려고 한다.
46. ‘協同’과 뜻이 통하는 성어는 ?
① 相扶相助
② 自由自在
③ 莫上莫下
④ 朝三暮四
⑤ 難兄難弟
47. 성어의 글자가 모두 부수자(部首字)인 것은 ?
① 淸風明月
② 山高水長
③ 有口無言
④ 三日天下
⑤ 日月星辰
48. 밑줄 친 뜻에 해당하는 4자 성어를 쓰시오.
그가 약속을 안 지킨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49. 다음 중 ‘善’의 상대자는 ?
① 弱
② 非
③ 愛
④ 惡
⑤ 强
50. ‘주어+서술어’의 짜임이 아닌 한자어는 ?
① 春來
② 落花
③ 鳥飛
④ 天高
⑤ 月明
51. 한자의 독음이 바른 것은 ?
① 問安 - 편안
② 歸省 - 귀가
③ 音樂 - 오락
④ 淸潔 - 청결
⑤ 馬車 - 마거
52. 한자어의 밑줄 친 부분의 뜻이 바른 것은 ?
① 事親 - 섬기다
② 敗北 - 북녘
③ 開花 - 열다
④ 句讀 - 읽다
⑤ 難易 - 바꾸다
53. 오언시(五言詩)를 읽는 법으로 바른 것은 ?
① ○ / ○ ○ ○ ○
② ○ ○ / ○ ○ ○
③ ○ ○ ○ / ○ ○ ○
④ ○ ○ ○ ○ / ○
⑤ ○ ○ ○ ○ ○ ○
54. ‘不’의 음이 나머지 넷과 다른 것은 ?
① 不知
② 不動
③ 不當
④ 不問
⑤ 不正
55. 뜻이 서로 같은 한자어끼리 연결된 것은 ?
① 行事 - 事業
② 匹婦 - 子婦
③ 故鄕 - 鄕愁
④ 今年 - 明年
⑤ 滿月 - 望月
56. 단어와 한자어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
① 보름날 ───────── (望日)
② 나이가 어림 ────── (年小)
③ 일이 많다 ─────── (有事)
④ 옛 성 ───────── (古成)
⑤ 기와집 ───────── (外家)
57. 문장의 구조가 다른 하나는 ?
① 臣事君
② 兄讀書
③ 淸風來
④ 容思鄕
⑤ 母育我
58. ‘자기를 알아주는 진정한 벗’을 뜻하는 말은 ?
① 白眉
② 知音
③ 助長
④ 紅一點
59. 다음 빈 칸에 공통으로 들어 갈 한자를 쓰시오.
溫故□新, 聞一□十
(학기말고사 2회 정답)
1. ②
2. 冬
3. ④
4. 날이 따뜻하다.
5. ③
6. ①
7. ④
8. ④
9. ②
10. 요산요수
11. ④
12. 精讀
13. ①
14. ②
15. ③
16. 臣事君
17. ④
18. 지후초목생
19. ②
20. ③
21. ①④⑤③②
22. ②
23. ①
24. ①⑤
25. ③
26. ④
27. ④⑤
28. ⑤
29. ③
30. ②
31. ④
32. ③
33. ①
34. ②
35. ①
36.明明白白
37. ②
38. ③
39. ⑤
40. ②
41. ④
42. ④
43. ③
44. ③
45. 是是非非
46. ①
47. ②
48. 非一非再
49. ④
50. ②
51. ④
52. ①
53. ②
54. ④
55. ⑤
56. ①
57. ③
58. ②
59. 知
20. ‘日出於東方’에서 ‘於’의 풀이는 ?
① ~보다
② ~의
③ ~에서
④ ~에게
21. ‘日入於西方’의 새김 차례대로 번호를 쓰시오.
①②③④⑤
22. 다음 중 형성자가 아닌 것은 ?
① 破
② 間
③ 苦
④ 紙
⑤ 頭
23. ‘明月’과 짜임이 같은 것은 ?
① 飛鳥
② 望鄕
③ 有情
④ 夜深
⑤ 耕田
24. 다음 문장의 짜임을 나타낼 때, 필요하지 않은 기호를 모두 고르시오.
學 生 讀 書
① =
② │▲
└┘
③ ∥
④
⑤ /
25. ‘讀’의 음이 다른 하나는 ?
① 音讀
② 讀破
③ 句讀
④ 讀書
⑤ 愛讀
26. ‘事’의 뜻이 ‘섬기다’로 쓰인 것은 ?
① 事理
② 事實
③ 事故
④ 事親
⑤ 事務
27. 다음의 내용과 거리가 먼 한자 둘은 ?
우리가 공부하는 목적은 지혜로운 슬기를 얻고, 남을 이해하고 용서하는 너그러운 마음을 기르며, 튼튼한 몸을 유지하는 데 있다고 한다.
① 智
② 體
③ 德
④ 勇
⑤ 愛
28. 한자의 뜻이 바른 것은 ?
① 知 : 지혜
② 體 : 용기
③ 眞 : 착함
④ 黑 : 흑
⑤ 仁 : 어짊
29. 다음 중 형성자인 것은 ?
① 衣
② 間
③ 價
④ 才
⑤ 母
30. 다음 중 낱말을 한자로 옮긴 것이 잘못된 것은 ?
① 교장 → 校長
② 개교 → 開敎
③ 교육 → 敎育
④ 설교 → 說敎
31. 부수획수가 맞는 것은 ?
① 揚(手, 8)
② 知(口, 5)
③ 眼(目, 7)
④ 傳(人, 11)
32. 교과목을 한자로 쓴 것이 틀린 것은 ?
① 한문 → 漢文
② 도덕 → 道德
③ 음악 → 意樂
④ 과학 → 科學
33. ‘서술어+목적어’의 짜임인 것은 ?
① 報恩
② 本末
③ 明白
④ 意氣
34. 다음 중 ‘樂’의 음이 ‘락’으로 읽히는 것은 ?
① 音樂
② 苦樂
③ 樂園
④ 樂水
35. 한자의 부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
① 歲 - 止
② 顔 - 形
③ 間 - 日
④ 限 - 邑
⑤ 特 - 手
36. 다음 내용에 합당한 성어를 한자로 쓰시오.
추호(秋毫)도 틀림없이 아주 명백함 ─── □□□□
37. 뜻이 비슷한 한자끼리 짝지어진 것은 ?
① 由 - 在
② 家 - 戶
③ 來 - 事
④ 難 - 助
⑤ 形 - 色
38. 한자어의 짜임이 다른 하나는 ?
① 深夜
② 高天
③ 行政
④ 靑山
⑤ 明月
39. 음이 같은 한자끼리 짝지어진 것은 ?
① 勞 - 勤
② 硏 - 年
③ 太 - 代
④ 海 - 惠
⑤ 飛 - 非
40. 다음 중 풀이 순서가 다른 하나는 ?
① 治山治水
② 相扶相助
③ 樂山樂水
④ 難兄難弟
⑤ 有口無言
41. 다음 낱말을 한자로 바르게 쓴 것은 ?
① 필부 - 四夫
② 민가 - 民問
③ 유래 - 甲來
④ 행복 - 幸福
⑤ 고향 - 古鄕
42. 한자의 부수와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획수가 바른 것은 ?
① 來(人, 7획)
② 才(十, 1획)
③ 在(士, 3획)
④ 有(月, 2획)
⑤ 春(三, 6획)
43. 문장의 구조가 다른 하나는 ?
① 兒讀書
② 夫耕田
③ 人有情
④ 子事父
⑤ 臣事君
44. 다음과 같은 원리에 의하여 만들어진 성어는 ?
같은 한자끼리 결합하여 이루어진 성어
보다 강하고 깊은 뜻으로 사물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냄
① 一石二鳥
② 燈下不明
③ 明明白白
④ 東問西答
⑤ 紙筆硯墨
45. 밑줄 친 뜻에 해당하는 4자 성어를 쓰시오.
그 일의 잘잘못을 가리려고 한다.
46. ‘協同’과 뜻이 통하는 성어는 ?
① 相扶相助
② 自由自在
③ 莫上莫下
④ 朝三暮四
⑤ 難兄難弟
47. 성어의 글자가 모두 부수자(部首字)인 것은 ?
① 淸風明月
② 山高水長
③ 有口無言
④ 三日天下
⑤ 日月星辰
48. 밑줄 친 뜻에 해당하는 4자 성어를 쓰시오.
그가 약속을 안 지킨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49. 다음 중 ‘善’의 상대자는 ?
① 弱
② 非
③ 愛
④ 惡
⑤ 强
50. ‘주어+서술어’의 짜임이 아닌 한자어는 ?
① 春來
② 落花
③ 鳥飛
④ 天高
⑤ 月明
51. 한자의 독음이 바른 것은 ?
① 問安 - 편안
② 歸省 - 귀가
③ 音樂 - 오락
④ 淸潔 - 청결
⑤ 馬車 - 마거
52. 한자어의 밑줄 친 부분의 뜻이 바른 것은 ?
① 事親 - 섬기다
② 敗北 - 북녘
③ 開花 - 열다
④ 句讀 - 읽다
⑤ 難易 - 바꾸다
53. 오언시(五言詩)를 읽는 법으로 바른 것은 ?
① ○ / ○ ○ ○ ○
② ○ ○ / ○ ○ ○
③ ○ ○ ○ / ○ ○ ○
④ ○ ○ ○ ○ / ○
⑤ ○ ○ ○ ○ ○ ○
54. ‘不’의 음이 나머지 넷과 다른 것은 ?
① 不知
② 不動
③ 不當
④ 不問
⑤ 不正
55. 뜻이 서로 같은 한자어끼리 연결된 것은 ?
① 行事 - 事業
② 匹婦 - 子婦
③ 故鄕 - 鄕愁
④ 今年 - 明年
⑤ 滿月 - 望月
56. 단어와 한자어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
① 보름날 ───────── (望日)
② 나이가 어림 ────── (年小)
③ 일이 많다 ─────── (有事)
④ 옛 성 ───────── (古成)
⑤ 기와집 ───────── (外家)
57. 문장의 구조가 다른 하나는 ?
① 臣事君
② 兄讀書
③ 淸風來
④ 容思鄕
⑤ 母育我
58. ‘자기를 알아주는 진정한 벗’을 뜻하는 말은 ?
① 白眉
② 知音
③ 助長
④ 紅一點
59. 다음 빈 칸에 공통으로 들어 갈 한자를 쓰시오.
溫故□新, 聞一□十
(학기말고사 2회 정답)
1. ②
2. 冬
3. ④
4. 날이 따뜻하다.
5. ③
6. ①
7. ④
8. ④
9. ②
10. 요산요수
11. ④
12. 精讀
13. ①
14. ②
15. ③
16. 臣事君
17. ④
18. 지후초목생
19. ②
20. ③
21. ①④⑤③②
22. ②
23. ①
24. ①⑤
25. ③
26. ④
27. ④⑤
28. ⑤
29. ③
30. ②
31. ④
32. ③
33. ①
34. ②
35. ①
36.明明白白
37. ②
38. ③
39. ⑤
40. ②
41. ④
42. ④
43. ③
44. ③
45. 是是非非
46. ①
47. ②
48. 非一非再
49. ④
50. ②
51. ④
52. ①
53. ②
54. ④
55. ⑤
56. ①
57. ③
58. ②
59. 知
추천자료
[과외]중학 사회 3-06 부자자효 03
중국 문자학
한문. 강하 학습지도안
중등(중학교) 한문과(한문교육)의 교육목표, 중등(중학교) 한문과(한문교육)의 내용체계표, ...
2012년 1학기 생활한문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생활한문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생활한문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생활한문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생활한문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생활한문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생활한문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생활한문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한국어의미론-7가지 의미 유형과 관련하여 수업 시간에 논의하지 않은 예들을 더 찾아보고 그...
2018년 1학기 생활한문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