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사회 3-06 부자자효 03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주관식 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3. 1학기 중간고사 제1회

4. 1학기 중간고사 제1회 정답

본문내용

찾는다.
⑤ 뜻모음색인 ‘고르다’에서 찾는다.
2. 다음 한자어의 음이 바른 것은?
① 成就(성공)
② 修練(단련)
③ 適性(적성)
④ 保存(보조)
⑤ 破竹(석죽)
3. 한자어의 짜임이 나머지와 다른 것은?
① 始終
② 道路
③ 勞使
④ 集散
⑤ 往來
4. 다음 중, ‘靑雲之志’에서 밑줄 친 부분과 짜임이 같은 것은?
① 希望
② 意志
③ 初志
④ 晝夜
⑤ 發電
5. 다음 글의 내용과 의미가 상통하는 문장은?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의 교육에 나쁜 영향을 주는 환경을 피해 세 번 집을 옮겼는데, 처음에는 공동 묘지 근처에 살았다. 맹자가 장례의 흉내를 내며 노는 것을 보고서 시장 근처로 집을 옮겼더니 이번에는 장사하는 사람의 흉내를 내므로 세 번째로 학교 근처로 옮겼다. 그랬더니, 책상에 앉아 공부를 하게 되었다.
① 貧若勤學, 可以立身
② 一生之計 在於勤
③ 少年易老學難成
④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
⑤ 近墨者黑 近朱者赤
6. 다음 성어와 함축하고 있는 뜻의 연결이 바르게 제시되지 못한 것은?
① 父慈子孝 - 親
② 見危授命 - 忠
③ 種豆得豆 - 因果
④ 晝耕夜讀 - 苦學
⑤ 血肉之情 - 師弟
7. 다음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한자는?




① 賞
② 設
③ 國
④ 破
⑤ 仁
8. 다음 한자어에서 ‘質’의 뜻이 다르게 풀이되는 것은?
① 素質
② 性質
③ 質問
④ 本質
⑤ 品質
9. 총획수를 이용하여 자전을 찾으려고 한다. 가장 나중에 나오게 될 한자는?
① 用
② 生
③ 去
④ 公
⑤ 收
10. 부수가 바르게 된 것은?(2개)
① 單 → 十
② 將 → 月
③ 角 → 角
④ 泰 → 水
⑤ 者 → 白
11. 한자의 부수를 맞게 나타낸 것은?
① 忍- 刀
② 求- 水
③ 堅- 又
④ 初- 衣
⑤ 爲-
12. 독음이 맞는 것은?
① 渴求 : 청구
② 熱誠 : 열정
③ 執念 : 집념
④ 立志 : 입사
⑤ 抱負 : 승부
13. 한자어의 짜임이 같은 것끼리 묶인 것은?
① 希望 - 堅固
② 有益 - 千里
③ 自我 - 知己
④ 初志 - 意志
⑤ 立身 - 靑雲
14. 다음에서 설명하는 뜻을 가진 한자어는?
한 가지 길로 굳게 나간다.
악착같이 달라붙는다.
한 가지 일을 기어코 이루려고 한다.
① 興味
② 孝道
③ 行爲
④ 忠實
⑤ 執念
15. 다음 중 음이 둘 이상인 것끼리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著 - 指
② 信 - 樂
③ 省 - 親
④ 復 - 易
⑤ 布 - 申
16. 다음 한자어에서 ‘慈’의 뜻은?
父 慈 子 孝
① 사랑하다
② 미워하다
③ 기뻐하다
④ 슬퍼하다
⑤ 가르치다
17. 다음 글과 관련 있는 말을 아래에서 찾으시오.
진희는 겉으로는 부드럽고 약해 보이나, 속은 꿋꿋하고 강한 아이이다.
① 先景後情
② 鷄卵有骨
③ 積土成山
④ 自我省察
⑤ 外柔內剛
18. 다음 중, ‘평범한 보통 사람’을 뜻하는 성어끼리 짝지어진 것은?
① 一擧兩得 - 一石二鳥
② 甲男乙女 - 匹夫匹婦
③ 作心三日 - 初志不變
④ 雪上加霜 - 錦上添花
⑤ 賢母良妻 - 金枝玉葉
19.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음이 같은 것은?
① 交易 - 平易
② 殺生 - 殺到
③ 家 - 計
④ 意識 - 常識
⑤ 復活 - 復習
20. 다음 글의 밑줄 친 ‘之’의 쓰임과 같은 것은?
勿以惡小而爲之하고, 勿以善小而不爲하라.
① 一年之計는 在於春이니라.
② 敎育은 國家百年之計也라.
③ 富與貴는 是人之所欲也라.
④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⑤ 國家之大患은 莫大於言絶이라.
21.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며 힘써 공부한 보람’을 뜻하는 고사성어는?
① 大器晩成
② 螢雪之功
③ 自强不息
④ 心性啓發
⑤ 開卷有益
22. 다음 한자 성어에서 밑줄 친 ‘立身’의 뜻으로 맞는 것은?
立 身 揚 名
① 성장
② 성숙
③ 용기
④ 성공
⑤ 인내
23. 다음 한자와 어울려 쓰일 수 없는 것은?

① 木
② 料
③ 題
④ 宿
⑤ 敎
24. 다음 내용이 강조하는 것은?
부모가 나를 부르시거든 곧 대답하고 달려갈지니라. 부모님의 명령은 거스르지도 말고 게을리도 말라. 부모가 병환이 있으시거든 근심하여 치료할 것을 꾀하라.
① 忠
② 信
③ 孝
④ 悌
⑤ 烈
25. 다음의 글이 강조하는 것은?
요즈음 부모들은 자식이 예절바른 어린이가 되기보다는 공부 잘 하며 기죽지 않는 어린이가 되기를 바라고 또 그렇게 키우고 있다. 밥을 먹을 때에도 밥상 앞에 앉지 않고 딴청을 부리면 엄마들이 밥그릇을 들고 따라 다닌다. 예절(禮節)은 습관적으로 몸에 배지 않으면 갖추기 힘들다. 그러므로 어린 시절에 적절한 꾸중을 통해서 예절을 가르치지 않으면 자기 조절 능력을 잃는 사람이 되기 쉽다.
① 無足之言 飛干于里
② 三歲之習 至于八十
③ 以五十步 笑百步
④ 苦盡甘來
⑤ 千里之行 始於足下
26. 다음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한자는?
高度成□, 敎學相□, 愛親敬□
① 想
② 新
③ 近
④ 正
⑤ 長
27. 다음 중 ‘樂’의 독음이 다른 하나는?
① 樂聖
② 樂曲
③ 快樂
④ 音樂
⑤ 樂器
28. 다음 한자들의 공통점은?
悲, 悟, 忍, 性
① 한자의 총획수가 같다.
② 한자들의 뜻이 같다.
③ 짜임이 같다.
④ 글자의 부수가 같다.
⑤ 독음이 같다.
29. 감정을 나타낸 한자만으로 이루어진 것은?
① 喜怒哀樂
② 耳目口鼻
③ 山川草木
④ 高低長短
⑤ 父母子女
30. 다음 한자어의 음을 쓰시오.
학식이나 재주가 놀랍도록 향상된 것을 보고 경탄할 때가 있는데 그것을 刮目相對라고 한다.
(31~3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一生之計 在㉠於勤
(나) 貧若㉡勤學 可以立身
31. (가)에서 가장 나중에 해석되는 글자를 쓰시오.
32. ㉠의 새김으로 맞는 것은?
① ~에
② ~가
③ ~에서
④ ~까지
⑤ ~보다
33. ㉡이 독음을 쓰고 풀이하시오
(중간고사 제1회 정답)
1. ①
2. ③
3. ②
4. ③
5. ⑤
6. ⑤
7. ②
8. ③
9. ⑤
10. ③, ④
11. ②
12. ③
13. ①
14. ⑤
15. ④
16. ①
17. ⑤
18. ②
19. ④
20. ④
21. ②
22. ④
23. ④
24. ③
25. ②
26. ⑤
27. ③
28. ④
29. ①
30. 괄목상대
31. 在
32. ①
33. 근학. 부지런히 배우다

키워드

부수,   제부수,   학식,   재주,   독음,   새김,   쓰임,   풀이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11.27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4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