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해하게 되었다.
저수지 둑을 개축하고 모든 건물개조를 시행하였다.
단층에 의한 지진(단층의 종류)
1. 지층 모형을 양쪽에서 가운데 방향으로 밀 때
어긋난 면의 위쪽에 있는 지층(상반 단층)이 올라간다.
하반 단층이 내려간다.(역단층)
2. 지층 모양을 양쪽에서 잡아당길 때
단층면을 따라 어긋난 면의 위쪽의 지층(상반 단층)이 내려간다.
하반 단층이 올라간다.(정단층)
3. 주향 이동 단층 ....땅이 서로 수평으로 이동한 단층으로, 수평으로 작용하는 힘이 서로 반대이다.
4. 수직 단층 ....끊어진 면이 수직인 단층은 위아래로 힘이 작용하여 생긴다.
5. 회전 단층 ....상반과 하반이 뒤틀린 단층을 말한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지진계의 종류
1) 속도계(Sensor)
(1) 광대역 수진기(Broad band)
(2) 단주기 수진기(Short period)
2) 가속도계(Sensor)
지반 흔들림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분석하고 지진의 규모 또는 진도의 환산자료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대형건물, 교량, 댐등의 특정대상물체에 광범위 하게 설치하여 지진 피해도 작성, 대피 및 복구 대책 수립등의 재해 상황 파악과 국가적 복구방안 마련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는 용도로 적합하게 운용된다.
3) 수신반(지진계측기록 및 보정계)
- 수신반은 속도계 또는 가속도계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지진 또는 충격여부를 식별하고 식별된 자료의 변환(가속도를 SI값 또는 기타 필요로 하는 Data), 저장(내부 및 외부 Memory보관) 및 전송(Scada를 통한 상황실) 또는 경보의 발생등을 담당하는 일종의 Digital Logger이다.
이 때 주의 할 점은 전달된 가속도를 지진또는 충격신호인지 정확히 식별하는데 있다.
일상적으로 주변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충격신호(예:보행자의 진동, 차량의 진동, 공사현장의 진동등..)를 지진동과 구분을 하지 못하게 되면 이것은 지진계가 아니고 진동계가 되고 말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진의 진동 주파수는 DC ~ 50Hz정도의 주파수를 갖고 있으나 그 범위가 너무 넓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매우 무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반은 Frequency Bands Width를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어야 충격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지진계측데이터의 신뢰성이 높아지며, 또한 식별된 주파수 분석에 의해 Trigger해야 되는 가속도값에 대한 임계치의 설정 및 운전에 필요한 각종의 Parameter의 Setting등을 외부 기기의 도움없이 자체적으로(Stand-alone) 자유로운 설정이 가능한 장비일 때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신라본기에 나오는 지진 기록(1)
(1) 신라본기1-탈해이사금-08년
8년 가을 8월, 백제가 군사를 보내 와산성을 공격하였다.
겨울 10월, 백제가 다시 구양성을 공격하자 왕은 기병 2천 명을 보내 그들을 공격하여 물리쳤다.
12월, 지진이 있었다. 눈이 내리지 않았다.
(2) 신라본기1-파사이사금-14년
14년 봄 정월, 윤량을 이찬으로 임명하고, 계기를 파진찬으로 임명하였다.
2월, 왕이 고소부리군에 행차하여 나이 많은 백성을 직접 위문하고 곡식을 주었다.
겨울 10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
(3) 신라본기1-파사이사금-21년
21년 가을 7월, 우박이 내려 날던 새가 죽었다.
겨울 10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 민가가 쓰러지고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4) 신라본기1-지마이사금-17년
17년 가을 8월, 장성이 하늘 끝까지 뻗쳤다.
겨울 10월, 동쪽 지방에 지진이 있었다.
11월, 우레가 있었다.
(5) 신라본기2-아달라이사금-17년
17년 봄 2월, 시조묘를 중수하였다.
가을 7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고, 서리와 우박이 내려 곡식을 해쳤다.
겨울 10월, 백제가 변경을 약탈하였다.
(6) 신라본기2- 내해이사금-34년
34년 여름 4월, 뱀이 남쪽 창고에서 사흘 동안 울었다.
가을 9월, 지진이 있었다.
겨울 10월, 눈이 크게 내려 다섯 자나 쌓였다.
(7) 신라본기2-조분이사금-17년
17년 겨울 10월, 동남방에 흰 기운이 한 필의 명주를 펴놓은 것처럼 뻗쳤다.
11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
(8) 신라본기2-기림이사금-07년
7년 가을 8월, 지진이 있었다. 샘물이 솟아 올랐다.
9월, 서울에 지진이 발생하여 민가가 무너지고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9) 신라본기3-내물이사금-33년
33년 여름 4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 6월에 또 지진이 있었고, 겨울에도 물이 얼지 않았다.
(10)신라본기3-실성이사금-05년
5년 가을 7월, 서쪽 지방에 메뚜기 떼가 나타나 곡식을 해쳤다.
겨울 10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
11월, 얼음이 얼지 않았다.
(11) 신라본기3-눌지마립간-42년
42년 봄 2월, 지진이 발생하여 금성 남문이 저절로 무너졌다.
가을 8월, 왕이 별세하였다.
(12) 신라본기3-자비마립간-21년
21년 봄 2월, 밤에 붉은 빛이 땅에서 하늘까지 뻗쳤는데 마치 비단을 펼쳐 놓은 듯하였다.
겨울 10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
(13) 신라본기4-지증마립간-11년
11년 여름 5월, 지진이 발생하여 민가가 쓰러지고 사람이 죽었다.
겨울 10월, 우레가 있었다.
(14) 신라본기4-진흥왕-01년
원년 8월, 대사령을 내렸다. 문무관들에게 작위 한 급씩을 올려 주었다.
겨울 10월, 지진이 있었다. 복숭아 나무와 오얏나무에 꽃이 피었다.
(15) 신라본기4-진흥왕-37년
37년 봄 2월, 왕이 큰 연회를 사흘 동안 베풀었다.
겨울 10월, 지진이 있었다.
(16) 신라본기4-선덕왕02년
2년 봄 정월, 왕이 직접 신궁에 제사지내고 대사령을 내렸다. 모든 주와 군의 1년 납세를 면제하였다.
2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
가을 7월, 당 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8월, 백제가 서쪽 변경을 침범하였다.
이하는 생략(뒤에 양이 너무 많고 지구 과학과는 별루 연관성이 없는거 같아서.. 그래도 조금이나마 신라시대 지진 이야기를 쓴 것은 예날에는 어떤지진이 잇었나 알고 잇는것도 좋을 것 같아서 이다..)
저수지 둑을 개축하고 모든 건물개조를 시행하였다.
단층에 의한 지진(단층의 종류)
1. 지층 모형을 양쪽에서 가운데 방향으로 밀 때
어긋난 면의 위쪽에 있는 지층(상반 단층)이 올라간다.
하반 단층이 내려간다.(역단층)
2. 지층 모양을 양쪽에서 잡아당길 때
단층면을 따라 어긋난 면의 위쪽의 지층(상반 단층)이 내려간다.
하반 단층이 올라간다.(정단층)
3. 주향 이동 단층 ....땅이 서로 수평으로 이동한 단층으로, 수평으로 작용하는 힘이 서로 반대이다.
4. 수직 단층 ....끊어진 면이 수직인 단층은 위아래로 힘이 작용하여 생긴다.
5. 회전 단층 ....상반과 하반이 뒤틀린 단층을 말한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지진계의 종류
1) 속도계(Sensor)
(1) 광대역 수진기(Broad band)
(2) 단주기 수진기(Short period)
2) 가속도계(Sensor)
지반 흔들림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분석하고 지진의 규모 또는 진도의 환산자료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대형건물, 교량, 댐등의 특정대상물체에 광범위 하게 설치하여 지진 피해도 작성, 대피 및 복구 대책 수립등의 재해 상황 파악과 국가적 복구방안 마련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는 용도로 적합하게 운용된다.
3) 수신반(지진계측기록 및 보정계)
- 수신반은 속도계 또는 가속도계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지진 또는 충격여부를 식별하고 식별된 자료의 변환(가속도를 SI값 또는 기타 필요로 하는 Data), 저장(내부 및 외부 Memory보관) 및 전송(Scada를 통한 상황실) 또는 경보의 발생등을 담당하는 일종의 Digital Logger이다.
이 때 주의 할 점은 전달된 가속도를 지진또는 충격신호인지 정확히 식별하는데 있다.
일상적으로 주변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충격신호(예:보행자의 진동, 차량의 진동, 공사현장의 진동등..)를 지진동과 구분을 하지 못하게 되면 이것은 지진계가 아니고 진동계가 되고 말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진의 진동 주파수는 DC ~ 50Hz정도의 주파수를 갖고 있으나 그 범위가 너무 넓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매우 무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반은 Frequency Bands Width를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어야 충격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지진계측데이터의 신뢰성이 높아지며, 또한 식별된 주파수 분석에 의해 Trigger해야 되는 가속도값에 대한 임계치의 설정 및 운전에 필요한 각종의 Parameter의 Setting등을 외부 기기의 도움없이 자체적으로(Stand-alone) 자유로운 설정이 가능한 장비일 때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신라본기에 나오는 지진 기록(1)
(1) 신라본기1-탈해이사금-08년
8년 가을 8월, 백제가 군사를 보내 와산성을 공격하였다.
겨울 10월, 백제가 다시 구양성을 공격하자 왕은 기병 2천 명을 보내 그들을 공격하여 물리쳤다.
12월, 지진이 있었다. 눈이 내리지 않았다.
(2) 신라본기1-파사이사금-14년
14년 봄 정월, 윤량을 이찬으로 임명하고, 계기를 파진찬으로 임명하였다.
2월, 왕이 고소부리군에 행차하여 나이 많은 백성을 직접 위문하고 곡식을 주었다.
겨울 10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
(3) 신라본기1-파사이사금-21년
21년 가을 7월, 우박이 내려 날던 새가 죽었다.
겨울 10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 민가가 쓰러지고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4) 신라본기1-지마이사금-17년
17년 가을 8월, 장성이 하늘 끝까지 뻗쳤다.
겨울 10월, 동쪽 지방에 지진이 있었다.
11월, 우레가 있었다.
(5) 신라본기2-아달라이사금-17년
17년 봄 2월, 시조묘를 중수하였다.
가을 7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고, 서리와 우박이 내려 곡식을 해쳤다.
겨울 10월, 백제가 변경을 약탈하였다.
(6) 신라본기2- 내해이사금-34년
34년 여름 4월, 뱀이 남쪽 창고에서 사흘 동안 울었다.
가을 9월, 지진이 있었다.
겨울 10월, 눈이 크게 내려 다섯 자나 쌓였다.
(7) 신라본기2-조분이사금-17년
17년 겨울 10월, 동남방에 흰 기운이 한 필의 명주를 펴놓은 것처럼 뻗쳤다.
11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
(8) 신라본기2-기림이사금-07년
7년 가을 8월, 지진이 있었다. 샘물이 솟아 올랐다.
9월, 서울에 지진이 발생하여 민가가 무너지고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9) 신라본기3-내물이사금-33년
33년 여름 4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 6월에 또 지진이 있었고, 겨울에도 물이 얼지 않았다.
(10)신라본기3-실성이사금-05년
5년 가을 7월, 서쪽 지방에 메뚜기 떼가 나타나 곡식을 해쳤다.
겨울 10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
11월, 얼음이 얼지 않았다.
(11) 신라본기3-눌지마립간-42년
42년 봄 2월, 지진이 발생하여 금성 남문이 저절로 무너졌다.
가을 8월, 왕이 별세하였다.
(12) 신라본기3-자비마립간-21년
21년 봄 2월, 밤에 붉은 빛이 땅에서 하늘까지 뻗쳤는데 마치 비단을 펼쳐 놓은 듯하였다.
겨울 10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
(13) 신라본기4-지증마립간-11년
11년 여름 5월, 지진이 발생하여 민가가 쓰러지고 사람이 죽었다.
겨울 10월, 우레가 있었다.
(14) 신라본기4-진흥왕-01년
원년 8월, 대사령을 내렸다. 문무관들에게 작위 한 급씩을 올려 주었다.
겨울 10월, 지진이 있었다. 복숭아 나무와 오얏나무에 꽃이 피었다.
(15) 신라본기4-진흥왕-37년
37년 봄 2월, 왕이 큰 연회를 사흘 동안 베풀었다.
겨울 10월, 지진이 있었다.
(16) 신라본기4-선덕왕02년
2년 봄 정월, 왕이 직접 신궁에 제사지내고 대사령을 내렸다. 모든 주와 군의 1년 납세를 면제하였다.
2월,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
가을 7월, 당 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8월, 백제가 서쪽 변경을 침범하였다.
이하는 생략(뒤에 양이 너무 많고 지구 과학과는 별루 연관성이 없는거 같아서.. 그래도 조금이나마 신라시대 지진 이야기를 쓴 것은 예날에는 어떤지진이 잇었나 알고 잇는것도 좋을 것 같아서 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과외]고등 과학의 본질 01 핵심내용
파력 발전 에너지
사이버 범죄,인터넷 범죄,컴퓨터범죄,분석 및 사례, 특징,유형, 실태 사례, 방지대책
전자상거래 RePORT
건축시공 기술분석( 방수공사 )
[한국][요리][24절기][한글][훈민정음][전통의복][한복][노리개][탈][태극기]한국 요리, 한국...
[재난재해관리체계][재난재해관리][재난재해]재난재해의 정의, 재난재해관리의 중요성, 재난...
비오는 날엔 부침개와 와인?
공원계획론(공원녹지계획론) 노트필기.
연소공학-초고층 건물의 화재위험과 안전대책
고층건물의 기초시공
정보처리와 그 이용
[산업보안학 産業保安學] 사고 예방 및 대응 - 안전사고의 예방, 차량사고의 예방, 화재의 예...
재난간호(1. 재난의 개요 2. 보건의료방재시스템 3. 재난간호 4. 재난단계별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