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설화 속의 호랑이
2 도편수의 긍지
3 통신 언어, 어떻게 쓸 것인가
2 도편수의 긍지
3 통신 언어, 어떻게 쓸 것인가
본문내용
산신(山神)의 화신(化身)으로 나타났다.
④ 사람에게 해를 입히는 포악한 모습이다.
⑤ 선과 악을 가리는 징벌자 역할을 하였다.
[단어의 이해] ★★
㉡과 ㉢은 어떤 면에서 대조적인지 간단히 쓰시오. 일에 대한 태도
[구절의 이해] ★★
다음 통신 언어의 예문에서 ㉣에 해당하는 단어를 찾아 쓰시오. 봅니닷
통신 용어, 나의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별 문제 없다구 봅니닷!~~!! 아무리 통신에서 할룽~~하이루~~~한다지만 일반적인 생활에서 어디 헬룽 할루~~하나요?>!어른들의 지나친 걱정. 쿠쿠. 그럼 여태까지 오랜 시간 동안 쓰여온 지방 방언이나 사투리는 문법이 바뀔 정도로 큰일이었나요?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35~42)
(가) 우리 선조들은 호랑이를 다양한 모습으로 형상화하였다. 사납고 무서운 호랑이로 표현하여 악을 물리치고 선이 이기기를 바라기도 하였으며, 호랑이를 어리석은 존재로 나타내어 삶의 지혜를 소망하기도 하였다. 때로는 호랑이를 신성한 존재로 여겨 ⓐ신격화하기도 하였고, 정과 의리와 인간의 효성에 감동하는 인간적인 모습으로 그리기도 하였다. 이렇게 설화에 나타난 여러 가지 모습은 호랑이에 투영된 ㉠( )이 형상화된 것이다.
(나) 내가 살던 집에 하수도가 고장났을 때의 일이다. 하수도를 고치라고 사람을 불러서 수리를 했는데, 물이 빠져 나가는 게 아니라, 도리어 더러운 물이 안으로 흘러드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웃에 사는 그 사람을 다시 불러 이야기를 했더니 그 일꾼의 대답이 참 걸작이었다. “그거야 할 수 없지 않으냐? 토관(土管)을 묻기는 분명 묻었는데 물이 들어오는 걸 난들 어떻게 하겠느냐?” 하는 것이다. 나는 어이가 없어 다시 뭐라 할 말이 없었다.
(다) 그에 비하면 옛 사람들은 얼마나 성실했는지 모른다. 여기 지금 그런 일꾼이나 상인과는 하늘과 땅 차이로 다른 한 목수 이야기가 있다. 나의 고향 집은 지은 지가 ⓑ근 7, 80 년이나 되는 ⓒ고가(古家)였다. 어른들의 이야기에 의하면, 그 집은 상당히 이름을 떨쳤던 ⓓ도편수가 지은 집이라고 했다. 바로 그 도편수의 이야기이다. 그 집을 짓고 8년째 되는 가을에 어쩌다 우리 집 부근을 다시 지나게 된 그 도편수가 사랑방을 찾아 들어왔더란다. 그런데 그는 주인과 인사를 나누자마자 곧 두루마기를 벗어던지더니, 추에다 실을 매어 들고 집 모퉁이로 돌아가더라는 것이다. 무엇을 하는가 따라가 보았더니, 어떤가! 그 도편수는 한 눈을 지그시 감고 추가 드리워진 실을 한 손에 높이 쳐들고 서서 집 기둥을 바라보고 있더라는 것이다. 자기가 지은 집 기둥이 8년의 세월에 행여 기울어지지나 않았는가 염려하는 것이었다.
(라) 통신 언어는 시각적인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언어이므로 음성이 담기지 않는다. 우리가 말을 할 때에는 말의 높낮이, 빠르기, ⓔ성량, 음색 등도 표현된 말만큼이나 중요한데, 통신 언어에는 이러한 음성이 드러나지 않는다.
(마) 통신 언어는 시각적인 매체만으로 전달해야 하므로 신속성이 필요하다. 여럿이 대화를 주고받을 경우,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신체 언어에 의해 ‘내가 먼저 말하겠다.’는 의사나 ‘너는 좀 가만 있으라.’는 의사 전달이 가능하지만, 통신을 할 때에는 많은 정보를 재빨리 전달할 필요가 있다.
[문단의 이해] ★★
글의 짜임 중에서 (가)와 같은 부분이 하는 역할로 알맞은 것은? ⑤
① 설명 대상을 제시한다.
② 글의 내용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③ 흥미를 유발한다.
④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⑤
내용을 요약, 정리한다.
[문단의 이해] ★★★
(가)의 내용으로 보아 다음의 설화 작품을 통해서 알 수 있는 설화 속의 호랑이 모습으로 알맞은 것은? ①
아들이 호랑이에게 해를 당한 아버지의 원수를 갚은 이야기
신부가 호랑이에게서 신랑을 구한 이야기
호랑이에게서 주인을 구한 의로운 소 이야기
강감찬 이야기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
①
사나운 호랑이② 어리석은 호랑이
③ 신격화된 호랑이④ 정과 의리의 호랑이
⑤ 게으른 호랑이
[( ) 채우기] ★★
㉠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④
① 비판 의식② 창조 정신③ 풍자 정신
④
민중 의식⑤ 역사 의식
[내용 전개 방법] ★★
(나)와 (다)에 사용된 내용 전개 방법은? ③
① 비교② 정의③ 대조
④ 묘사⑤ 분석
[단어의 의미 파악] ★★
ⓐ~ⓔ에 대한 뜻풀이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⑤
① ⓐ:신과 같은 존재로 여기는 상태가 됨
② ⓑ:약, 거의
③ ⓒ:지은 지 아주 오래 된 집
④ ⓓ:집을 지을 때에 책임을 지고 일을 지휘하는 목수의 우두머리
⑤
ⓔ:말의 속도
[문단의 내용 이해] ★★##
(다)의 도편수와 다음의 ‘나’의 공통점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②
내가 한복 만드는 일을 시작한 지 어언 30년이 됩니다. 그 동안 우리 고유의 전통 의상인 한복을 연구하고 작품화하는 일에 내 모든 힘을 쏟아부었고, 앞으로도 한복에 대한 내 외곬의 사랑과 열정은 변함이 없을 겁니다.
내가 처음 개척자의 심정으로 한복 발표회를 선보인 후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200여 회의 발표회를 해 온 것은, 우리 한복의 독특한 아름다움, 즉 선과 색깔의 미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서였습니다. (중략) 세계의 무대인 이 곳에서 제 작품이 인정받기를 소망하는 마음으로 작품 하나하나에 심혈을 기울였습니다.
① 남을 배려하려는 마음이 모자란다.
②
자기가 맡은 일에 긍지를 가지고 최선을 다한다.
③ 물건을 많이 파는 데에만 심혈을 기울인다.
④ 무책임하게 일을 하며 항상 남의 탓만 한다.
⑤ 자기의 이익만 중시하며 자기 편한 대로 행동한다.
[문단의 이해] ★★★
다음 중 (가)~(마)의 중심 내용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①
(가) : 호랑이의 종류와 습성
② (나) : 토관 묻는 사람의 무책임함
③ (다) :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는 도편수 이야기
④ (라) : 통신 언어는 음성이 담기지 않음
⑤ (마) : 통신 언어는 신속성이 필요함
[통신 언어의 특징] ★★
다음 중 (라)에 나타나는 통신 언어의 특징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④
① 가지마로(가지말어)② 추카추카(축하축하)
③ 반가워(반가워)④ 글쿤요(그렇군요)
⑤ 고파서링(고파서)
④ 사람에게 해를 입히는 포악한 모습이다.
⑤ 선과 악을 가리는 징벌자 역할을 하였다.
[단어의 이해] ★★
㉡과 ㉢은 어떤 면에서 대조적인지 간단히 쓰시오. 일에 대한 태도
[구절의 이해] ★★
다음 통신 언어의 예문에서 ㉣에 해당하는 단어를 찾아 쓰시오. 봅니닷
통신 용어, 나의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별 문제 없다구 봅니닷!~~!! 아무리 통신에서 할룽~~하이루~~~한다지만 일반적인 생활에서 어디 헬룽 할루~~하나요?>!어른들의 지나친 걱정. 쿠쿠. 그럼 여태까지 오랜 시간 동안 쓰여온 지방 방언이나 사투리는 문법이 바뀔 정도로 큰일이었나요?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35~42)
(가) 우리 선조들은 호랑이를 다양한 모습으로 형상화하였다. 사납고 무서운 호랑이로 표현하여 악을 물리치고 선이 이기기를 바라기도 하였으며, 호랑이를 어리석은 존재로 나타내어 삶의 지혜를 소망하기도 하였다. 때로는 호랑이를 신성한 존재로 여겨 ⓐ신격화하기도 하였고, 정과 의리와 인간의 효성에 감동하는 인간적인 모습으로 그리기도 하였다. 이렇게 설화에 나타난 여러 가지 모습은 호랑이에 투영된 ㉠( )이 형상화된 것이다.
(나) 내가 살던 집에 하수도가 고장났을 때의 일이다. 하수도를 고치라고 사람을 불러서 수리를 했는데, 물이 빠져 나가는 게 아니라, 도리어 더러운 물이 안으로 흘러드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웃에 사는 그 사람을 다시 불러 이야기를 했더니 그 일꾼의 대답이 참 걸작이었다. “그거야 할 수 없지 않으냐? 토관(土管)을 묻기는 분명 묻었는데 물이 들어오는 걸 난들 어떻게 하겠느냐?” 하는 것이다. 나는 어이가 없어 다시 뭐라 할 말이 없었다.
(다) 그에 비하면 옛 사람들은 얼마나 성실했는지 모른다. 여기 지금 그런 일꾼이나 상인과는 하늘과 땅 차이로 다른 한 목수 이야기가 있다. 나의 고향 집은 지은 지가 ⓑ근 7, 80 년이나 되는 ⓒ고가(古家)였다. 어른들의 이야기에 의하면, 그 집은 상당히 이름을 떨쳤던 ⓓ도편수가 지은 집이라고 했다. 바로 그 도편수의 이야기이다. 그 집을 짓고 8년째 되는 가을에 어쩌다 우리 집 부근을 다시 지나게 된 그 도편수가 사랑방을 찾아 들어왔더란다. 그런데 그는 주인과 인사를 나누자마자 곧 두루마기를 벗어던지더니, 추에다 실을 매어 들고 집 모퉁이로 돌아가더라는 것이다. 무엇을 하는가 따라가 보았더니, 어떤가! 그 도편수는 한 눈을 지그시 감고 추가 드리워진 실을 한 손에 높이 쳐들고 서서 집 기둥을 바라보고 있더라는 것이다. 자기가 지은 집 기둥이 8년의 세월에 행여 기울어지지나 않았는가 염려하는 것이었다.
(라) 통신 언어는 시각적인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언어이므로 음성이 담기지 않는다. 우리가 말을 할 때에는 말의 높낮이, 빠르기, ⓔ성량, 음색 등도 표현된 말만큼이나 중요한데, 통신 언어에는 이러한 음성이 드러나지 않는다.
(마) 통신 언어는 시각적인 매체만으로 전달해야 하므로 신속성이 필요하다. 여럿이 대화를 주고받을 경우,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신체 언어에 의해 ‘내가 먼저 말하겠다.’는 의사나 ‘너는 좀 가만 있으라.’는 의사 전달이 가능하지만, 통신을 할 때에는 많은 정보를 재빨리 전달할 필요가 있다.
[문단의 이해] ★★
글의 짜임 중에서 (가)와 같은 부분이 하는 역할로 알맞은 것은? ⑤
① 설명 대상을 제시한다.
② 글의 내용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③ 흥미를 유발한다.
④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⑤
내용을 요약, 정리한다.
[문단의 이해] ★★★
(가)의 내용으로 보아 다음의 설화 작품을 통해서 알 수 있는 설화 속의 호랑이 모습으로 알맞은 것은? ①
아들이 호랑이에게 해를 당한 아버지의 원수를 갚은 이야기
신부가 호랑이에게서 신랑을 구한 이야기
호랑이에게서 주인을 구한 의로운 소 이야기
강감찬 이야기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
①
사나운 호랑이② 어리석은 호랑이
③ 신격화된 호랑이④ 정과 의리의 호랑이
⑤ 게으른 호랑이
[( ) 채우기] ★★
㉠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④
① 비판 의식② 창조 정신③ 풍자 정신
④
민중 의식⑤ 역사 의식
[내용 전개 방법] ★★
(나)와 (다)에 사용된 내용 전개 방법은? ③
① 비교② 정의③ 대조
④ 묘사⑤ 분석
[단어의 의미 파악] ★★
ⓐ~ⓔ에 대한 뜻풀이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⑤
① ⓐ:신과 같은 존재로 여기는 상태가 됨
② ⓑ:약, 거의
③ ⓒ:지은 지 아주 오래 된 집
④ ⓓ:집을 지을 때에 책임을 지고 일을 지휘하는 목수의 우두머리
⑤
ⓔ:말의 속도
[문단의 내용 이해] ★★##
(다)의 도편수와 다음의 ‘나’의 공통점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②
내가 한복 만드는 일을 시작한 지 어언 30년이 됩니다. 그 동안 우리 고유의 전통 의상인 한복을 연구하고 작품화하는 일에 내 모든 힘을 쏟아부었고, 앞으로도 한복에 대한 내 외곬의 사랑과 열정은 변함이 없을 겁니다.
내가 처음 개척자의 심정으로 한복 발표회를 선보인 후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200여 회의 발표회를 해 온 것은, 우리 한복의 독특한 아름다움, 즉 선과 색깔의 미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서였습니다. (중략) 세계의 무대인 이 곳에서 제 작품이 인정받기를 소망하는 마음으로 작품 하나하나에 심혈을 기울였습니다.
① 남을 배려하려는 마음이 모자란다.
②
자기가 맡은 일에 긍지를 가지고 최선을 다한다.
③ 물건을 많이 파는 데에만 심혈을 기울인다.
④ 무책임하게 일을 하며 항상 남의 탓만 한다.
⑤ 자기의 이익만 중시하며 자기 편한 대로 행동한다.
[문단의 이해] ★★★
다음 중 (가)~(마)의 중심 내용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①
(가) : 호랑이의 종류와 습성
② (나) : 토관 묻는 사람의 무책임함
③ (다) :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는 도편수 이야기
④ (라) : 통신 언어는 음성이 담기지 않음
⑤ (마) : 통신 언어는 신속성이 필요함
[통신 언어의 특징] ★★
다음 중 (라)에 나타나는 통신 언어의 특징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④
① 가지마로(가지말어)② 추카추카(축하축하)
③ 반가워(반가워)④ 글쿤요(그렇군요)
⑤ 고파서링(고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