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설화 종류][설화 특징][설화에서의 호랑이][설화에서의 풍수의식][설화에서의 버들잎 화소]설화의 종류, 설화의 특징과 설화에서의 호랑이, 설화에서의 풍수의식, 설화에서의 버들잎 화소에 관한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설화][설화 종류][설화 특징][설화에서의 호랑이][설화에서의 풍수의식][설화에서의 버들잎 화소]설화의 종류, 설화의 특징과 설화에서의 호랑이, 설화에서의 풍수의식, 설화에서의 버들잎 화소에 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설화의 종류와 특징
1. 민간 설화
2. 감생 설화
3. 거인 설화
1) 우주의 기원과 관계되는 거인
2) 사람을 두렵게 하는 자연의 힘 또는 자연현상을 상징하는 거인
3) 이형족관의 일환으로서 상상 속의 거인
4) 실재하는 이민족의 키를 과장하여 표현한 거인
5) 피정복민족의 공포심이 만들어낸 정복민족의 거인화
6) 한 민족의 자연적·사회적 환경이 특이한 경우 그것을 근거로 상상하여 만들어낸 거인
7) 신화의 시적 상상력이 작용하여 문예적 흥미에서 생겨난 거인

Ⅲ. 설화에서의 호랑이

Ⅳ. 설화에서의 풍수의식
1. 행복 추구의 의지
2. 착하고 부지런한 사람에 대한 보상
3. 선의 승리에 대한 믿음
4. 운명과 의지의 조화
5. 현세 중심의 세계관

Ⅴ. 설화에서의 버들잎 화소
1. 여성의 지혜로움과 현명함을 드러내 보이는 기능
2. 남녀 결연소로서의 기능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지위나 신분과 상응하고 있는 여건이라 할 수 있다.
2. 남녀 결연소로서의 기능
여러 작품에서 보면, 생면부지의 두 남녀는 버들잎 화소를 통해 결연을 맺고 있다. 따라서 이 화소가 갖는바 작품 내에서 갖는 서사적 기능은 바로 남녀간의 결연을 가능하게 하는 결연소라는 데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세경본풀이>에서는 문도령과 자청비가 결연을 맺고, 왕건 이야기에서는 왕건과 유화, 왕건과 오씨가 결연을 맺는다. 이성계 이야기에서는 이성계와 강씨부인이 결연을 맺고, 이장곤 이야기에서는 유기장집 딸과 이장곤이 결연을 맺는데, 민담에서는 며느리가 될 만한 여자를 시아버지가 찾아내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버들잎 화소와 관련된 사건은 남자로 하여금 상대방 여자를 아주 지혜롭고 현명한 여자로 생각하게 한다. 그리하여 곧 청혼을 하는데, 이것은 여자가 아주 낮은 신분임에도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렇게 보면, 여자가 가진 바의 지혜와 현명함은 남자가 지니고 있는 높은 지위에 상응하는 충분조건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경본풀이>에서 문도령은 하늘, 자청비는 지상의 존재로 설정되어 있다. 하늘적인 것과 땅 적인 것을 높음/낮음 신성/세속으로 구별할 수 있다면, 지상적 존재인 자청비의 현명함은 하늘적인 것이 가진 높고 신성한 것에 대응되는 조건이 된다. 왕건이야기에서도 유씨부인이나 오씨 부인이 가진 지혜로움이나 현명함은 왕건의 높은 신분에 대응되고 있는 여건이다. 두 부인의 집안은 부유했을는지는 모르나 모두 한미한 집안이었다. 그런데 여자가 가진 바의 현명함은 이러한 집안의 한미함을 보상하고 있는 것이다. 이성계와 강씨부인과의 관계에도 이러한 논리를 적용할 수 있다. 이장곤 이야기에도 역시 이러한 논리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장곤과 유기장 딸의 관계에 있어서는 앞서의 두 인물에 비해 그 심도가 더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유기장이란 가장 비천한 신분 계층에 속하는 것인데, 버들잎 화소는 홍문관 교리까지 지낸 이장곤과 이러한 계층에 속하는 신분의 여자를 결합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민담에서는 정승집과 상사람 계층에 속하는 여자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 버들잎 화소가 기능하고 있다. 정승은 길을 가다가 목이 말라 물을 청했다가, 천천히 마시도록 일부러 버들잎을 띄워주는 여자의 현명함을 보고 감탄하여 그녀를 며느리로 삼는다. <저녁에 심어 아침에 따먹는 오이>는 부친 찾기를 중요 모티브로 하고 있지만, 또 한편 아이의 지혜을 주제로 하고 있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똑똑한 아들을 등장시키자니 그 엄마도 똑똑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자연히 이 이야기 속에서는 버들잎 화소가 어머니와 결부되었다. 그런데 이렇게 보더라도 똑똑하다 하여 상사람에 속하는 여자를 정승이 며느리로 삼았다고 하는 사실에는 버들잎 화소가 가지고 있는 바의 앞서와 같은 기능이 나타나 있다.
이상의 사실을 통해서, 버들잎 화소는 남녀 결연담에 결부될 가능성이 있는 화소이며, 이것은 특히 여자의 현명함을 드러내는데, 이 일은 상대방 남자의 높은 신분과 짝할 수 있는 여자의 조건으로 기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화소는 앞으로도 계속 유동하면서, 사회적 위상이나 지위가 높은 남자와 그 보다는 낮은 계층에 있는 여자가 서로 만나는 결연담에 부연될 소지가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대숙(1994), 한국설화문학연구, 집문당
김화경(2002), 한국의 설화, 지식산업사
장덕순(1983), 설화문학개설, 이우출판사
정계순(1979), 조신설화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조희웅(1989), 설화학 강요, 새문사
차용주(1988), 조신설화의 비교연구, 민속문학 연구, 정음문화사
표언복(2002), 설화문학과 설화신학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3.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4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