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 한국사회와 유교(儒敎)
Ⅱ. 본론
1. 인(仁)이란 무엇인가?
2. 우리나라 행정의 모습과 유교적(儒敎的) 고찰
(1) 그 첫 번째 - “남이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라...”
(2) 그 두 번째 - “말을 아끼고 행동으로 말하라...”
(3) 그 세 번째 - “개인의 능력, 적성에 따른 성취감을 맛보라...”
(4) 그 네 번째 - “타인의 허물을 들추는 대신 나의 허물을 살펴보자...”
(5) 그 다섯 번째 - “부(富)와 행복(幸福)을 상대적으로 이해하면 삶에 있 어 만족이란 없다...”
Ⅲ.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 한국사회와 유교(儒敎)
Ⅱ. 본론
1. 인(仁)이란 무엇인가?
2. 우리나라 행정의 모습과 유교적(儒敎的) 고찰
(1) 그 첫 번째 - “남이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라...”
(2) 그 두 번째 - “말을 아끼고 행동으로 말하라...”
(3) 그 세 번째 - “개인의 능력, 적성에 따른 성취감을 맛보라...”
(4) 그 네 번째 - “타인의 허물을 들추는 대신 나의 허물을 살펴보자...”
(5) 그 다섯 번째 - “부(富)와 행복(幸福)을 상대적으로 이해하면 삶에 있 어 만족이란 없다...”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명의 발달에 의해 우리의 생활이 과거보다 훨씬 풍요로워 졌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것은 맞는 말이다. 교통, 통신의 발달로 우리의 24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의학의 발달은 우리를 여러 질병으로부터 해방시켜주었다.
그러나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우리들의 정신적 측면은 어떠한 변화를 겪었는가? 이는 분명 긍정적으로 변화하지는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 과거 안분지족(安分知足)의 삶을 살던 선비들은 느긋함 속에서 세월의 흘러감을 만끽했다. 그러나 현재의 우리들은 조금이라도 남보다 뛰어나려 하고, 조금이라도 남들보다 폼 나게 살려하고, 그리고 한 뼘이라도 더 타인의 위에서 군림(君臨)하려 한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인간적 측면을 상실한 우리의 모습이라 할 수 있겠다.
세상은 넓고 우주는 더 넓다. 이러한 우주에서 티끌조차 안되는 지구에서 우리들이 이처럼 황폐한 마음으로 살아간다는 사실이 상당히 안타깝다. 그리고 이렇게 안타깝다고 느끼는 나조차도 이러한 현실을 완전히 부정할 수 없다는 사실이 더 슬프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우리가 스스로의 삶에 만족(滿足)하지 않는 한 우리의 욕망은 끝이 없을 것이며, 우리는 남은 평생을 만족보다는 불만족을 느끼며 살아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왕 살아가야 하는 세상 정신적으로 풍요하게 살아가는 것은 어떨까 싶다. 그리고 이러한 정신적 풍요로움을 누리는 것이 공자가 말한 인(仁)에 근접하는 또 하나의 길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참고문헌>
남회근(2002), 알기쉬운 논어강의, 씨앗을 뿌리는 사람
신철원(1992), 논어, 대학, 중용, 은광사
그러나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우리들의 정신적 측면은 어떠한 변화를 겪었는가? 이는 분명 긍정적으로 변화하지는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 과거 안분지족(安分知足)의 삶을 살던 선비들은 느긋함 속에서 세월의 흘러감을 만끽했다. 그러나 현재의 우리들은 조금이라도 남보다 뛰어나려 하고, 조금이라도 남들보다 폼 나게 살려하고, 그리고 한 뼘이라도 더 타인의 위에서 군림(君臨)하려 한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인간적 측면을 상실한 우리의 모습이라 할 수 있겠다.
세상은 넓고 우주는 더 넓다. 이러한 우주에서 티끌조차 안되는 지구에서 우리들이 이처럼 황폐한 마음으로 살아간다는 사실이 상당히 안타깝다. 그리고 이렇게 안타깝다고 느끼는 나조차도 이러한 현실을 완전히 부정할 수 없다는 사실이 더 슬프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우리가 스스로의 삶에 만족(滿足)하지 않는 한 우리의 욕망은 끝이 없을 것이며, 우리는 남은 평생을 만족보다는 불만족을 느끼며 살아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왕 살아가야 하는 세상 정신적으로 풍요하게 살아가는 것은 어떨까 싶다. 그리고 이러한 정신적 풍요로움을 누리는 것이 공자가 말한 인(仁)에 근접하는 또 하나의 길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참고문헌>
남회근(2002), 알기쉬운 논어강의, 씨앗을 뿌리는 사람
신철원(1992), 논어, 대학, 중용, 은광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