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중국, 2006년 5월까지 외국기업투자 현황
한국의 중국 투자 현황
일본의 중국 투자 현황
대만의 중국 투자 현황
한국의 중국 투자 현황
일본의 중국 투자 현황
대만의 중국 투자 현황
본문내용
종을 중심으로 ①투자가 거의 한번 씩 이루어졌다는 것 ②2003년에 발생한 SARS를 계기로 중국 한 지역에 집중을 피하기 위한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이 정착됐다는 것 ③중국내 지적재산권 침해 심각성으로 인해 첨단 기술 분야에서의 중국 투자가 신중해 지고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 또한 일본계 기업중에는 2005년 4월 반일 데모 등으로 인한 중국 리스크에 대한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중국 투자에 신중을 기하고 있고 이러한 기업간의 우려가 계약액 기준의 감소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대만의 중국 투자 현황
1990년대 이전 대만 기업의 중국투자는 비교적 소규모의 노동집약형 전통산업이 주류를 이룸.
- 1990년대 초 등소평의 남순강화 이후 중국 투자 대만 기업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여 전히 노동집약형 산업에 집중됨.
1990년대 후반 대만 해협 미사일 발사사건의 영향으로 대만의 중국투자가 위축됐으나 투자이윤은 높은 수준을 유지했음.
1990년대 말 중국 투자 대만 기업의 경영실적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중국 투자 열기가 고조되어 대만기업의 중국투자는 동관(莞)을 중심으로 광동 기타 지역으로 확산됨.
- 특히 대만 당국의 “在、中在外(연구개발 및 판매는 내부에서, 생산 및 가공은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기업조직 형식)”장려 및 대만 산업 업그레이드로 부동산 산업 및 과학기술 산업도 중국에 진출하기 시작함.
- 그러나 한편으로 중국시장에서 외자기업이 점차 늘어나고 경쟁이 심해지는 가운데 동아시아 금융위기로 대만 기업들은 이전과 같은 공격적인 투자를 하지 못함.
2000년대 들어 중국내 기타지역의 점진적 개방으로 장강삼각주, 장쑤, 저장, 상하이 등이 양호한 생활환경 및 저렴한 노동력, 주강삼각주보다 유리한 투자 유치정책으로 자본을 유치하기 시작함.
- 또한 외자기업 제품 내수판매가 개방됨에 따라 내수시장을 겨냥한 대만 기업들이 주강 삼각주에서 장강 삼각주로 북진하기 시작함.
이에 따라 대만 기업들은 주강삼각주, 장강삼각주에서 완정된 산업고리를 형성함. 2005년 광동성의 신규 대만 자본 프로젝트는 600개 이상에 달하고 대만 자본 투자규모는 18억 달러를 넘어섬.
- 한편 2005년 광동 - 대만간 무역규모는 전년대비 10% 증가한 240억 달러를 기록함. 광동성 대만 사무판공실 통계에 따르면 이미 본격적인 경영 단에 접어든 기업 가운데 이윤을 내는 기업의 비중이 90%를 넘어섬.
- 또한 일본계 기업중에는 2005년 4월 반일 데모 등으로 인한 중국 리스크에 대한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중국 투자에 신중을 기하고 있고 이러한 기업간의 우려가 계약액 기준의 감소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대만의 중국 투자 현황
1990년대 이전 대만 기업의 중국투자는 비교적 소규모의 노동집약형 전통산업이 주류를 이룸.
- 1990년대 초 등소평의 남순강화 이후 중국 투자 대만 기업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여 전히 노동집약형 산업에 집중됨.
1990년대 후반 대만 해협 미사일 발사사건의 영향으로 대만의 중국투자가 위축됐으나 투자이윤은 높은 수준을 유지했음.
1990년대 말 중국 투자 대만 기업의 경영실적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중국 투자 열기가 고조되어 대만기업의 중국투자는 동관(莞)을 중심으로 광동 기타 지역으로 확산됨.
- 특히 대만 당국의 “在、中在外(연구개발 및 판매는 내부에서, 생산 및 가공은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기업조직 형식)”장려 및 대만 산업 업그레이드로 부동산 산업 및 과학기술 산업도 중국에 진출하기 시작함.
- 그러나 한편으로 중국시장에서 외자기업이 점차 늘어나고 경쟁이 심해지는 가운데 동아시아 금융위기로 대만 기업들은 이전과 같은 공격적인 투자를 하지 못함.
2000년대 들어 중국내 기타지역의 점진적 개방으로 장강삼각주, 장쑤, 저장, 상하이 등이 양호한 생활환경 및 저렴한 노동력, 주강삼각주보다 유리한 투자 유치정책으로 자본을 유치하기 시작함.
- 또한 외자기업 제품 내수판매가 개방됨에 따라 내수시장을 겨냥한 대만 기업들이 주강 삼각주에서 장강 삼각주로 북진하기 시작함.
이에 따라 대만 기업들은 주강삼각주, 장강삼각주에서 완정된 산업고리를 형성함. 2005년 광동성의 신규 대만 자본 프로젝트는 600개 이상에 달하고 대만 자본 투자규모는 18억 달러를 넘어섬.
- 한편 2005년 광동 - 대만간 무역규모는 전년대비 10% 증가한 240억 달러를 기록함. 광동성 대만 사무판공실 통계에 따르면 이미 본격적인 경영 단에 접어든 기업 가운데 이윤을 내는 기업의 비중이 90%를 넘어섬.
추천자료
중국 반도체시장 및 산업현황 2002년
중국 SI 산업 현황과 삼성 SDS의 기업 진출 전략 분석
중국 자동차 시장 현황과 우리의 진출전략
외국인 투자정책의 이해와 전략
[중국경제, 한국경제, 경제협력, 한중경제협력 전개과정, 현황, 중국경제성장이 한국에 미치...
[외국인투자][외국인투자유치][해외투자]외국인투자의 특성, 외국인투자의 결정요인, 외국인...
[중국온라인게임시장]중국의 IT인프라, 중국온라인게임시장의 현황, 한국기업의 중국온라인게...
[해외진출사례분석]중국 과학기술의 현황과 다국적 기업과의 협력
외국인투자유치(해외투자유치, 외자 외국자본유치)의 의미, 필요성, 외국인투자유치(해외투자...
해외투자기업(외국투자기업, 외국자본기업)의 유형, 해외투자기업(외국투자기업, 외국자본기...
[외국인투자기업]외국인투자기업(외투기업, 외국자본기업) 노사관계의 인력채용, 외국인투자...
[중국노무관리][중국노무관리 교육훈련][중국노무관리 전략]중국노무관리의 인권보호, 중국노...
외국자본투자(해외투자, 외국인직접투자) 역사,요인, 외국자본투자(해외투자, 외국인직접투자...
중국의 3대 경제권과 한국기업 유치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