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객관식121~150
본문내용
유교적 검약 생활
④ 정치사회적 혼란
⑤ 교통운송 수단의 의미
150. 조선 전기의 대외 무역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중앙고, 마포고]
① 정부의 엄격한 통제 아래 이루어졌다.
② 반드시 조공의 형식을 통해 이루어졌다.
③ 동남 아시아와의 무역은 왜관에서 이루어졌다.
④ 여진과의 무역은 국경의 무역소에서만 이루어졌다.
⑤ 수입품은 주로 서민들의 생활 필수품이 대부분이었다.
121. ①, ⑤
122. ⑤
123. ⑤
124. ③
한국 지리와 통합된 문제이다. 지도에 표시된 산은 묘향산, 마니산, 오대산, 태백산, 적상산이다. 임진왜란 이후 광해군이 5대 사고를 설치하여 춘추관, 태백산, 정족산, 적상산, 오대산에 설치하였다. ① 대보 조산 운동은 동서 방향의 구름성 산지 형성 ④ 운산, 당현, 직산 등 ⑤ 마니산 초제가 있었다.
125. ③
세종 때 정초가 지은 책
126. ③
보기의 학풍은 관학파의 학풍이다. 관학파들은 성리학 그 자체보다는 성리학을 이용한 부국 강병의 추구를 더 중시하였다고 생각된다.
127. ③
유교적 명분론에서 보면 천자(天子)가 아닌 이상 하늘에 제사지내는 원구 의식은 할 수 없다. 그리고 불교 행사인 연등이나 토속신에게 제사지내는 팔관 등은 기록하지 않을 부분이다. 그럼에도 왕이 친히 행한 것은 기록했다는 점에서 민족 의식적 측면과 기층 문화의 계승 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128. ④
우와 이래 고려 말의 혼란상이 조선 건국의 명분이 된다. 그래야만 조선이 혼란과 흩어진 윤리와 도덕을 바로잡는 역성 혁명이 되기 때문이다. 우왕을 열전으로 강하시킨 것은 유교적 명분론이라 하겠다.
129. ②
㉡의 폐하를 왕으로 기록하지 않고 있었던 그대로 기록하는 직서주의와 ㉢의 기층 문화의 민족적 계승이라는 점에서 민족적 입장이 반영되어 있다고 하겠다.
130. ①
진관 체제는 방위 체제, 보법은 군역 제도였다.
131. ③
① 지방 관원이 중앙에 보내는 보고서
② 조약
③ 토지 대장
④ 향촌의 양반 명부
⑤ 사림 양반들이 제작
132. ④
과전은 전현직 관료에게 지급된 토지(수조권만 지급)로, 경기 지방의 토지에 한하였으며, 원칙적으로 세습이 금지되었다.
133. ⑤
134. ③
135. ②
136. ①
농민 생활의 안정은 사회 안정 및 국가 재정의 확보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137. ④
사림은 유교주의적 사회 질서 확립을 가장 중요시하였다.
138. ③, ④
139. ①
조선 시대 산업 정책의 기조는 중농 억상 정책이었다.
140. ③
①의 실시로 고대 신라의 중앙 귀족들이 토지를 소유, ②는 고려 시대 문무관리와 군인, 향리 등에게 전지와 시지를 지급했던 토지 제도
141. ①
사창은 향촌의 양반들이 운영하였다. 방군 수포제는 농민의 군포 부담을 가중시켰으며, 농장의 확대로 농민은 대부분 소작농으로 몰락하였다. 상품 작물의 재배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나타났다.
142. ①
조광조 - 공납의 폐단 시정 노력
이이 - 동호문답에서 수미법(收米法) 주장
유성룡 - 공물작미의(貢物作米議)를 써서 수미법을 주장
143. (1) ㉠, ㉡ (2) ㉢, ㉣, ㉤ (3) ㉥, ㉦
144. ⑤
145. ②
농민 생활의 안정은 국가 차원에서는 안정적인 수입 기반의 확보를 의미하여, 양반 지주의 입장에서는 전호의 확보를 의미한다. 이에 농민에 대한 구휼 사업은 양자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졌음을 이해한다.
146. ④
성리학에서는 토지를 이익을 추구하는 어리석은 농민들에게 성리학적 윤리를 지키도록 강요할 수 있는 무기로 생각하였다. 이와 같이 성리학적 윤리를 농민들에게 전파하는 방법으로 활용된 것이 향약이다. 지주 전호제와 향약은 농민들에게 성리학적 윤리를 보급한다는 명분 아래 실질적으로는 사림들이 농민들에 대한 지배권 확보의 수단으로 악용되는 사례가 빈번하였다.
147. ③
관장도 국역 기간이 끝나면 자유롭게 생활 필수품을 판매할 수 있었으며, 그 대신 장인세를 납부하여야 하였다.
148. ①
시전(육의전 포함)은 금난전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대가로 관청에서 필요한 물품을 바쳐야 했다. 보부상은 관헌 상인이었으며, 장시는 16세기 중엽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149. ④
15세기는 비교적 정치적으로 안정된 시기였다.
150. ①
조공 무역 외에 사무역도 행해졌다. 여진족의 조공 무역은 서울의 북평관에서 행해졌으며, 일본과의 무역은 동래의 왜관에서 이루어졌다.
내신문제연구소
④ 정치사회적 혼란
⑤ 교통운송 수단의 의미
150. 조선 전기의 대외 무역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중앙고, 마포고]
① 정부의 엄격한 통제 아래 이루어졌다.
② 반드시 조공의 형식을 통해 이루어졌다.
③ 동남 아시아와의 무역은 왜관에서 이루어졌다.
④ 여진과의 무역은 국경의 무역소에서만 이루어졌다.
⑤ 수입품은 주로 서민들의 생활 필수품이 대부분이었다.
121. ①, ⑤
122. ⑤
123. ⑤
124. ③
한국 지리와 통합된 문제이다. 지도에 표시된 산은 묘향산, 마니산, 오대산, 태백산, 적상산이다. 임진왜란 이후 광해군이 5대 사고를 설치하여 춘추관, 태백산, 정족산, 적상산, 오대산에 설치하였다. ① 대보 조산 운동은 동서 방향의 구름성 산지 형성 ④ 운산, 당현, 직산 등 ⑤ 마니산 초제가 있었다.
125. ③
세종 때 정초가 지은 책
126. ③
보기의 학풍은 관학파의 학풍이다. 관학파들은 성리학 그 자체보다는 성리학을 이용한 부국 강병의 추구를 더 중시하였다고 생각된다.
127. ③
유교적 명분론에서 보면 천자(天子)가 아닌 이상 하늘에 제사지내는 원구 의식은 할 수 없다. 그리고 불교 행사인 연등이나 토속신에게 제사지내는 팔관 등은 기록하지 않을 부분이다. 그럼에도 왕이 친히 행한 것은 기록했다는 점에서 민족 의식적 측면과 기층 문화의 계승 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128. ④
우와 이래 고려 말의 혼란상이 조선 건국의 명분이 된다. 그래야만 조선이 혼란과 흩어진 윤리와 도덕을 바로잡는 역성 혁명이 되기 때문이다. 우왕을 열전으로 강하시킨 것은 유교적 명분론이라 하겠다.
129. ②
㉡의 폐하를 왕으로 기록하지 않고 있었던 그대로 기록하는 직서주의와 ㉢의 기층 문화의 민족적 계승이라는 점에서 민족적 입장이 반영되어 있다고 하겠다.
130. ①
진관 체제는 방위 체제, 보법은 군역 제도였다.
131. ③
① 지방 관원이 중앙에 보내는 보고서
② 조약
③ 토지 대장
④ 향촌의 양반 명부
⑤ 사림 양반들이 제작
132. ④
과전은 전현직 관료에게 지급된 토지(수조권만 지급)로, 경기 지방의 토지에 한하였으며, 원칙적으로 세습이 금지되었다.
133. ⑤
134. ③
135. ②
136. ①
농민 생활의 안정은 사회 안정 및 국가 재정의 확보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137. ④
사림은 유교주의적 사회 질서 확립을 가장 중요시하였다.
138. ③, ④
139. ①
조선 시대 산업 정책의 기조는 중농 억상 정책이었다.
140. ③
①의 실시로 고대 신라의 중앙 귀족들이 토지를 소유, ②는 고려 시대 문무관리와 군인, 향리 등에게 전지와 시지를 지급했던 토지 제도
141. ①
사창은 향촌의 양반들이 운영하였다. 방군 수포제는 농민의 군포 부담을 가중시켰으며, 농장의 확대로 농민은 대부분 소작농으로 몰락하였다. 상품 작물의 재배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나타났다.
142. ①
조광조 - 공납의 폐단 시정 노력
이이 - 동호문답에서 수미법(收米法) 주장
유성룡 - 공물작미의(貢物作米議)를 써서 수미법을 주장
143. (1) ㉠, ㉡ (2) ㉢, ㉣, ㉤ (3) ㉥, ㉦
144. ⑤
145. ②
농민 생활의 안정은 국가 차원에서는 안정적인 수입 기반의 확보를 의미하여, 양반 지주의 입장에서는 전호의 확보를 의미한다. 이에 농민에 대한 구휼 사업은 양자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졌음을 이해한다.
146. ④
성리학에서는 토지를 이익을 추구하는 어리석은 농민들에게 성리학적 윤리를 지키도록 강요할 수 있는 무기로 생각하였다. 이와 같이 성리학적 윤리를 농민들에게 전파하는 방법으로 활용된 것이 향약이다. 지주 전호제와 향약은 농민들에게 성리학적 윤리를 보급한다는 명분 아래 실질적으로는 사림들이 농민들에 대한 지배권 확보의 수단으로 악용되는 사례가 빈번하였다.
147. ③
관장도 국역 기간이 끝나면 자유롭게 생활 필수품을 판매할 수 있었으며, 그 대신 장인세를 납부하여야 하였다.
148. ①
시전(육의전 포함)은 금난전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대가로 관청에서 필요한 물품을 바쳐야 했다. 보부상은 관헌 상인이었으며, 장시는 16세기 중엽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149. ④
15세기는 비교적 정치적으로 안정된 시기였다.
150. ①
조공 무역 외에 사무역도 행해졌다. 여진족의 조공 무역은 서울의 북평관에서 행해졌으며, 일본과의 무역은 동래의 왜관에서 이루어졌다.
내신문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