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객관식1~30
본문내용
방곡령 ④ 위정 척사 운동
⑤ 의병 운동
30. 다음은 흥선 대원군이 세운 척화비의 내용이다. 이 비문의 내용과 비슷한 주장이 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 [강서, 영일]
서양 오랑캐가 침범해 온다. 싸우지 않으면 곧 화의하는 것이요 화의를 주장함은 나라를 파는 일이니라. 나는 우리 만대 자손에게 타이르노라, 병인년에 글을 짓고 신미년에 비를 세우다.
① 최익현의 5불가소② 지석영의 개화소
③ 이만손의 만인소④ 홍재학의 척왜상소
⑤ 이항로의 주전론
근대 사회의 발전 P. 79~119
1. ②
강화도 조약 이외에 조선이 서양과 맺은 조약도 대부분 불평등 조약이었다.
2. ②, ④
보기는 개화를 주장하는 한말 곽기락의 상소문이므로 개화와 상반된 주장을 고른다.
3. ④
개혁파 인사(진보적 지식인)-근대 정치 사상 수용, 과학 기술 중심의 서구 문화 도입에 관심
양반 유생-성리학적 지배 체제 유지에 급급
4. ④
황 쭌셴의 조선책략은 조선의 새로운 외교 전략을 논하고 있지만, 청의 조선에 대한 종주권 회복 의도가 작용하고 있다.
5. ②
강화도 조약은 일본의 침략적 의도를 드러낸 것으로, 특히 치외 법권의 인정, 해안 측량권의 허용은 조선의 주권에 대한 명백한 침해였다. 부산은 경제적, 원산은 경제적, 인천은 정치적 목적에서 개항을 요구하였다.
6. ⑤
대원군은 1863~1873년 간에 집권하였다. ① 1860, ② 1862, ③ 1832, ④ 1854, ⑤ 1866년의 사실들이다.
7. ①
척화비는 1871년 신미양요 직후 전국 각지에 건립되어 국민들의 경각심을 고취시켰고, 보수적인 유생층의 통상 반대와 척화 주전론은 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론을 강력하게 뒷받침하였다.
8. ⑤
흥선 대원군은 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을 부활시켜, 정치와 군사를 각각 담당하게 하였다.
9. 전제 왕권의 강화
10. ③
강화도 조약은 민씨 정권기에 체결되었다.
11. ③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는 지배 체제가 무너질 정도로 심각해진 부정부패를 제거하여, 왕조 중심의 지배 체제를 다시 정립하고, 밖으로부터의 도전을 막아 지배 질서를 유지하고자 한 것이다.
12. ④
흥선 대원군의 민생 정책은, 양반들의 지나친 특권을 줄이고 농민들의 요구를 어느 정도 수용하여 민생을 안정시킴으로써 국가 질서를 회복하려는 것임
13. ③
조선 중기 사림들의 세력 기반이었으나, 점차 지방 양반들이 부정과 불법을 일삼는 온상이 됨
14. ②
지방 양반들의 근거지로 국가로부터 면세면역의 특권을 받았으며, 백성들을 괴롭히는 장소가 되었다. 이에 흥선 대원군이 대대적인 개혁을 실시하였는데, 일부 양반으로부터는 불만을, 백성들로부터는 환영을 받았으며 국가 재정은 늘어났다.
15. ④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바탕으로 강렬한 자주성을 보여 주는 것이었다.
16. ① 17. ② 18. ①
19. ①
쇄국 정책은 외세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20. ③
일본 상인들은 보기의 내용외에도 일본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을 받으면서 약탈적인 무역 활동을 하였다.
21. ③
미국과의 수교나 별기군의 창설은 개항 이후의 사실이다. 박규수와 오경석은 서양 문물의 도입을 주장하였다.
22. ⑤
척화비의 내용이다. 서양에 대한 배격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이만손 등이 올린 ‘영남 만인소’에서 옹호되고 있다.
23. ④
세도 정치기에는 세도가의 독주를 견제할 세력이 없었다.
24. ④
중국은 아편 전쟁 이후 난징 조약을 체결하여 문호를 개방하였고, 애로 호 사건을 겪으면서 반식민지화가 촉진되어 갔다.
25. ③
정치 개혁세도 정치 일소
인재 등용
비변사 폐지
대전회통 편찬
경제 개혁호포제 실시
환곡제 개편
서원 정리
26. ①
지방 유생들의 근거지였던 서원을 정리하고, 양반에게 군포를 부담시켜 대원군은 양반들의 큰 반발을 샀다.
27. ⑤
강화도 조약은 근대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자본주의화를 서두르던 일본이 조선 침략을 위해 강압적으로 체결한 조약이었다는 점에 유의한다. ⑤는 1930년대의 침략 정책이었다.
28. ③, ⑤
갑신정변은 실패로 끝났지만, 우리 역사상 최초의 근대적 정치 개혁 운동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⑤는 서구의 기술, 문화의 도입만을 추구한 피상적 개혁이었다.
29. ②
제시된 자료는 이항로의 화서집에 실린 것으로, 당시 양반 유생층의 위정 척사 사상을 담고 있다고 하겠다.
30. ②
위정 척사 사상은 대원군의 쇄국 정책을 강력히 뒷받침하였다.
내신문제연구소
⑤ 의병 운동
30. 다음은 흥선 대원군이 세운 척화비의 내용이다. 이 비문의 내용과 비슷한 주장이 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 [강서, 영일]
서양 오랑캐가 침범해 온다. 싸우지 않으면 곧 화의하는 것이요 화의를 주장함은 나라를 파는 일이니라. 나는 우리 만대 자손에게 타이르노라, 병인년에 글을 짓고 신미년에 비를 세우다.
① 최익현의 5불가소② 지석영의 개화소
③ 이만손의 만인소④ 홍재학의 척왜상소
⑤ 이항로의 주전론
근대 사회의 발전 P. 79~119
1. ②
강화도 조약 이외에 조선이 서양과 맺은 조약도 대부분 불평등 조약이었다.
2. ②, ④
보기는 개화를 주장하는 한말 곽기락의 상소문이므로 개화와 상반된 주장을 고른다.
3. ④
개혁파 인사(진보적 지식인)-근대 정치 사상 수용, 과학 기술 중심의 서구 문화 도입에 관심
양반 유생-성리학적 지배 체제 유지에 급급
4. ④
황 쭌셴의 조선책략은 조선의 새로운 외교 전략을 논하고 있지만, 청의 조선에 대한 종주권 회복 의도가 작용하고 있다.
5. ②
강화도 조약은 일본의 침략적 의도를 드러낸 것으로, 특히 치외 법권의 인정, 해안 측량권의 허용은 조선의 주권에 대한 명백한 침해였다. 부산은 경제적, 원산은 경제적, 인천은 정치적 목적에서 개항을 요구하였다.
6. ⑤
대원군은 1863~1873년 간에 집권하였다. ① 1860, ② 1862, ③ 1832, ④ 1854, ⑤ 1866년의 사실들이다.
7. ①
척화비는 1871년 신미양요 직후 전국 각지에 건립되어 국민들의 경각심을 고취시켰고, 보수적인 유생층의 통상 반대와 척화 주전론은 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론을 강력하게 뒷받침하였다.
8. ⑤
흥선 대원군은 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을 부활시켜, 정치와 군사를 각각 담당하게 하였다.
9. 전제 왕권의 강화
10. ③
강화도 조약은 민씨 정권기에 체결되었다.
11. ③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는 지배 체제가 무너질 정도로 심각해진 부정부패를 제거하여, 왕조 중심의 지배 체제를 다시 정립하고, 밖으로부터의 도전을 막아 지배 질서를 유지하고자 한 것이다.
12. ④
흥선 대원군의 민생 정책은, 양반들의 지나친 특권을 줄이고 농민들의 요구를 어느 정도 수용하여 민생을 안정시킴으로써 국가 질서를 회복하려는 것임
13. ③
조선 중기 사림들의 세력 기반이었으나, 점차 지방 양반들이 부정과 불법을 일삼는 온상이 됨
14. ②
지방 양반들의 근거지로 국가로부터 면세면역의 특권을 받았으며, 백성들을 괴롭히는 장소가 되었다. 이에 흥선 대원군이 대대적인 개혁을 실시하였는데, 일부 양반으로부터는 불만을, 백성들로부터는 환영을 받았으며 국가 재정은 늘어났다.
15. ④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바탕으로 강렬한 자주성을 보여 주는 것이었다.
16. ① 17. ② 18. ①
19. ①
쇄국 정책은 외세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20. ③
일본 상인들은 보기의 내용외에도 일본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을 받으면서 약탈적인 무역 활동을 하였다.
21. ③
미국과의 수교나 별기군의 창설은 개항 이후의 사실이다. 박규수와 오경석은 서양 문물의 도입을 주장하였다.
22. ⑤
척화비의 내용이다. 서양에 대한 배격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이만손 등이 올린 ‘영남 만인소’에서 옹호되고 있다.
23. ④
세도 정치기에는 세도가의 독주를 견제할 세력이 없었다.
24. ④
중국은 아편 전쟁 이후 난징 조약을 체결하여 문호를 개방하였고, 애로 호 사건을 겪으면서 반식민지화가 촉진되어 갔다.
25. ③
정치 개혁세도 정치 일소
인재 등용
비변사 폐지
대전회통 편찬
경제 개혁호포제 실시
환곡제 개편
서원 정리
26. ①
지방 유생들의 근거지였던 서원을 정리하고, 양반에게 군포를 부담시켜 대원군은 양반들의 큰 반발을 샀다.
27. ⑤
강화도 조약은 근대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자본주의화를 서두르던 일본이 조선 침략을 위해 강압적으로 체결한 조약이었다는 점에 유의한다. ⑤는 1930년대의 침략 정책이었다.
28. ③, ⑤
갑신정변은 실패로 끝났지만, 우리 역사상 최초의 근대적 정치 개혁 운동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⑤는 서구의 기술, 문화의 도입만을 추구한 피상적 개혁이었다.
29. ②
제시된 자료는 이항로의 화서집에 실린 것으로, 당시 양반 유생층의 위정 척사 사상을 담고 있다고 하겠다.
30. ②
위정 척사 사상은 대원군의 쇄국 정책을 강력히 뒷받침하였다.
내신문제연구소
추천자료
조선 후기의 사회변동
[사회과학] 조선시대 조형의식
조선후기 나타난 근대사회의 변화와 그 한계
[조선대학교]매스컴과 정보사회 (뉴미디어를 어떻게 수용해야 하나?, 정보사회를 어떻게 볼 ...
[조선대학교]사회계약 론- 홉스, 로크, 루소에 대하여
[조선대학교]현대사회와 범죄
5)사회-유교 국가로서의 조선(약안)
5)사회-유교 전통이 자리 잡은 조선-조선의 건국과 한양
5)사회-3. 유교전통이 자리잡은 조선 - 조선의 건국과 한양에 대한 내용 정리하기
5)사회-유교전통이 자리잡은 조선-조선의 문화 발달
5)사회-유교전통이 자리잡은 조선-조선 전기 백성들의 생활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과 과학적 ...
5)사회-3. 유교전통이 자리잡은 조선 - 조선의 건국과 한양에 대한 내용 정리하기
21. 조선후기의 경제와 사회
대우조선해양 구조조정에 추가지원 찬반 논쟁 [사회과학, 경제, 경영 보고서 레포트 에세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