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고1) 05 모의고사 정답 해설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는 다르다.
70. [출제의도] 반성 유전의 특징과 색맹의 유전 방식을 설명할 수 있는 지를 묻는 문제이다.
색맹 유전자는 X염색체에 있기 때문에 남녀에 따라 나타나는 빈도가 다르다. 할머니와 할아버지 사이에 색맹인 아들(X'Y)이 태어났기 때문에 아들에게 X'염색체를 물려준 할머니는 색맹 유전자를 가진 보인자임을 알 수 있다. 할아버지가 색맹이므로 할아버지는 딸에게 색맹 유전자가 있는 X염색체를 물려주게 된다. 따라서 고모는 색맹 유전자를 가진 보인자이다. 철수의 색맹 유전자는 어머니에게서 물려받은 것이므로 할아버지로부터 유래된 것이 아니다.
71. [출제의도] 지진파의 전파 속도 분포 곡선을 분석하고 지구 내부의 구조를 알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지구 내부에서 전파되는 지진파는 P파와 S파이며, P파가 S파보다 전파 속도가 더 빠르므로 A는 P파, B는 S파이다. S파는 고체에서만 전파되므로 S파가 전파되지 않는 외핵은 액체 상태로 추정된다. 지진파의 속도는 각 층의 경계면에서 크게 변하는데, 맨틀과 외핵의 경계 부분에서 P파는 속도가 크게 감소하고 S파는 전파 속도가 0으로 전파되지 않으므로 지구 내부로 갈수록 지진파의 속도가 계속해서 증가한다고 할 수 없다.
72. [출제의도] 지질 단면도에 있는 지질 구조를 알고, 그 생성 순서를 묻는 문제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는 지질 구조는 습곡, 역단층, 부정합이다. 습곡은 지층이 휘어져 주름진 지질 구조이고, 역단층은 지층이 끊어진 단층면 위에 있는 상반이 밀려 올라간 지질 구조이며, 부정합은 퇴적이 중단되어 생긴 지질 구조이다. 지질 단면도에서 습곡된 지층이 끊어져 역단층이 형성되었으므로 역단층이 습곡보다 나중에 만들어졌고, 습곡과 역단층이 형성된 지층 위에 부정합면이 있으므로 부정합이 가장 나중에 만들어졌다.
73. [출제의도] 염분의 정의를 알고 염분비 일정의 법칙을 응용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염분은 해수 1kg에 녹아있는 전체 염류의 질량을 천분율로 나타낸 것이므로 그린란드 근해의 염분은 35‰, 홍해의 염분은 40‰, 동해의 염분은 33‰이며, 전체 해수의 평균 염분은 약 35‰이다. 해수의 염분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각 염류가 차지하는 질량비는 같으므로 35 : 27.1 = 40 : A의 관계가 성립한다. 따라서 홍해의 해수 1kg에 녹아있는 염화나트륨의 질량 A는 약 31.0g이다.
[오답풀이] ⑤ 염화마그네슘의 질량비는 그린란드 근해는 10.9%, 홍해는 11.0%, 동해는 10.9%로 거의 같다.
74. [출제의도] 포화 수증기량과 온도의 관계를 이해하고 공기의 습도와 응결 조건을 묻는 문제이다.
포화 수증기량은 공기 1m3에 최대로 포함될 수 있는 수증기의 질량으로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그림에서 공기 A, B, C가 포함하고 있는 수증기량을 비교하면 C>A=B이며, 포화 수증기량 곡선 위의 공기인 B와 C는 습도가 100%이므로 기온과 이슬점이 같다. 공기가 냉각되어 포화 수증기량 곡선과 만나 포화 상태가 되면 응결이 일어나기 시작하므로 공기 A가 냉각되어 20℃에 도달하면 응결이 일어나며, 이때의 온도를 이슬점이라고 한다.
[오답풀이] ㄹ. 공기 A와 C는 온도가 같고 포함하고 있는 수증기량이 다르다. 공기 A의 이슬점은 20℃, 공기 C의 이슬점은 30℃로 C가 A보다 더 높다.
75. [출제의도] 황도에서 분점과 지점의 위치를 알고, 하지 때 우리나라에서 낮의 길이와 태양의 남중 고도를 이해하는지 묻는 문제이다.
황도는 지구가 태양 둘레를 공전함에 따라 태양이 1년 동안 천구에서 움직이는 길로서 A는 춘분점, B는 하지점, C는 추분점, D는 동지점이다. 황도는 천구의 적도와 약 23.5° 어긋나 있으며, 북반구에 위치한 우리나라는 하지 때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높고 낮이 가장 길다.
[오답풀이] ④ 태양이 A에 있을 때는 춘분이므로 밤과 낮의 길이가 같다.
76. [출제의도] 기계적 풍화작용과 화학적 풍화작용을 이해하는지 묻는 문제이다.
물이 얼면 부피가 증가하므로 병의 내벽에 압력이 작용하여 병이 깨지게 된다. 이와 같이 물리적인 힘의 작용으로 암석이 풍화되는 현상을 기계적 풍화 작용이라고 한다. 산성비의 작용이나 석회 동굴의 형성은 화학 반응에 의해 암석이 풍화되는 화학적 풍화작용에 해당한다.
77. [출제의도] 계절에 따른 일기도의 특징을 알고 영향을 미치는 기단과 성질을 묻는 문제이다.
그림 (가)는 대륙에서 발달한 고기압의 영향을 받는 계절인 겨울철에 자주 나타나는 일기도이다. 우리나라는 겨울철에 한랭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는다. 기단 B는 저온 다습한 오호츠크해 기단, 기단 C는 온난 건조한 양쯔강 기단, 기단 D는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기단이다.
78. [출제의도] 달이 뜨고 지는 것을 관측한 결과로부터 달의 공전 궤도상의 위치를 묻는 문제이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햇빛을 반사하여 빛나므로 지구 공전 궤도상의 위치에 따라 보이는 모양과 달이 뜨고 지는 하늘의 방향 및 시각이 달라진다. 해가 지고 난 초저녁에 달이 동쪽 하늘에서 떠서 밤새 보이다가 새벽에 동쪽 하늘에서 태양이 뜰 때 서쪽 지평선 아래로 내려갔으므로 달은 태양과 반대쪽에 위치하고 있고, 이 때 달의 모양은 둥근 보름달이다.
79. [출제의도] 행성의 사진으로부터 행성을 구별할 수 있고, 행성의 특징을 알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행성 (가)는 양극에 극관이 있는 화성이고, 행성 (나)는 대기의 대류 현상으로 생긴 큰 붉은색의 점이 있는 목성으로 태양계의 행성 중에 가장 크며, 화성보다 태양에서 더 멀리 있다.
[오답풀이] ㄹ. 이산화탄소 대기의 온실 효과로 표면 온도가 높은 행성은 금성이다.
80. [출제의도] 별의 밝기와 등급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별의 밝기는 등급으로 나타내며, 1등급 사이의 밝기비는 약 2.5배로 등급이 낮을수록 더 밝다. 따라서 2등성인 별 A는 3등성인 별 C보다 1등급이 낮으므로 약 2.5배 더 밝고, 4등성인 별 B보다는 2등급이 낮으므로 2.52≒6.25배 더 밝다. 그림에서 밝은 별은 더 크게 나타냈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6.12.11
  • 저작시기200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13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